[경제학원론4] 소비자의 선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소비자의 선택

2.소비자의 선호와 효용

3.무차별곡선

4.예산선

5.소비자의 최적선택

6.대체효과와 소득효과

본문내용

소비자의 예산제약을 대표하고 있다는 뜻에서 豫算線(budget line)이라고 불림.
□ 쌀과 옷 가격이 각각
P_x` 원과 ~` P_y 원으로
주어져 있고 소비자의 한달 소득이 M원인 경우, 예산제약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음.
M~=~ P_x ``x~ +~ P_y``y

y~=~ - `P_x over P_y `x~+~ M over P_y
□ 예산선의 기울기는 두 상품 사이의 상대가격에
-
부호를 붙인 것과 같음. 그리고 수직축 위의 절편은 소득을 옷 가격으로 나눈 값이 되는데, 이 절편의 높이는 소비자가 최대한으로 살 수 있는 옷의 양 의미.
□ 엄밀하게 따져보면, 소비자는 예산선 위의 점 뿐 아니라 그 아래로 만들어진 회색 삼각형 안에 있는 어떤 점도 선택 가능. → 예산집합(budget set)
2. 예산선의 변화
(1) 소득의 변화
□ 쌀과 옷 가격에는 아무 변화가 없고 소득만 50만원에서 60만원으로 증가했으면 <그림 4-8>의 (i)에서 보는 것처럼 예산선은 바깥쪽으로 평행이동.
(2) 가격의 변화
□ 소득과 옷 가격에 아무 변화가 없고 오직 쌀 가격만 kg당 1만원에서 1만 2천 5백원으로 상승하면 <그림 4-8>의 (ii)에서 보는 것처럼 종전보다 기울기가 더욱 가팔라진 예산선.
<그림 4-8>
□ 쌀과 옷 가격이 동일 비율로 상승하는 것은 소득만 줄어든 것과 같은 효과.
□ 쌀과 옷 가격이 똑같은 비율로 증가하는 데다가 소득까지 이와 똑같은 비율로 상승하면 아무런 변화 없음.
제4절 소비자의 최적선택
1. 최적선택의 조건
□ 소비자는 예산제약이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효용을 가능한 한 크게 하려는 의도를 갖고 특정한 상품묶음을 선택. 예컨대 <그림 4-9>에 나와 있는 여러 점 중 a점, b점, E점은 선택할 수 있지만 c점은 선택할 수 없음.
<그림 4-9>
□ 원점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무차별곡선일수록 더 높은 효용수준을 뜻하므로 소비자는 가능하면 원점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무차별곡선 위의 한 점을 선택하려 함. → 최적선택은 E점이 대표하는 상품묶음(
x^*
만큼의 쌀과
y^*
만큼의 옷)
□ 이 최적선택점은 예산선과 무차별곡선의 접점과 일치. 효용극대화를 위해서는 무차별곡선의 기울기와 예산선의 기울기가 서로 같다는 조건이 충족되어야 함.
{M U_x} over {M U_y} ~ =~ P_x over P_y

{M U_x } over P_x ~= ~ {M U_y} over P_y
이 조건은 각 상품에 지출한 돈 마지막 1원당의 한계효용이 서로 같아지도록 선택을 함으로써 효용이 극대화된다는 것 의미.
□ 이 효용극대화의 조건은 수학에서 말하는 극대화의 제1계 필요조건에 해당. 이 조건이 충족되고 제2계 조건도 충족되어야만 비로소 효용이 극대화될 수 있음. 위에서 제시한 조건이 충족되었는데도 실제로는 효용이 극대화되지 않는 경우도 생길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위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고서도 효용이 극대화되는 수도 있음.
2. 가격의 변화와 최적선택
□ 예컨대 쌀 가격이 계속 변화하면 소비자의 선택점은 어떻게 이동해 가게 될까? <그림 4-10>의 (i)을 보면 선택점이
F_1
,
F_2
,
F_3
로 이동해 가는 것을 볼 수 있음. → 價格消費曲線(price-consumption curve)
<그림 4-10>
□ 가격소비곡선은 각각의 쌀 가격에서 소비자의 쌀 수요량이 얼마나 되는지를 보여줌. 이렇게 가격소비곡선에 담겨져 있는 수요에 관한 정보를 추출해냄으로써 어떤 상품에 대한 수요곡선 도출 가능. <그림 4-10>의 (ii)에서 보는 수요곡선 위의
G_1 , ~ G_2 , ~ G_3
점은 그림 (i)의
F_1 , ~ F_2 ,~ F_3
점과 각각 대응.
□ 지금까지의 논의에서 우리가 궁극적으로 목표를 삼았던 것은 수요곡선의 도출.
제5절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 수요곡선이 우하향하는 모양을 가졌다는 것은 어떤 상품의 가격이 내릴 때 소비자가 수요량을 종전보다 더 크게 늘릴 것임을 의미. 어떤 이유에서 이와 같은 결과가 나오게 되는가?
□ <그림 4-11>의 E점은 쌀 가격의 변화가 일어나기 전에 소비자가 선택하고 있던 점. 쌀 가격이 하락해 예산선이 굵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제 소비자의 선택점은
E prime
으로 이동. 쌀 수요량이 원래는
x_0
였는데 이제
x prime
으로 증가.
<그림 4-11>
□ 이와 같은 수요량의 변화를 개념적으로 다른 두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음.
(1) 쌀 가격이 하락해 옷에 비해 쌀이 상대적으로 더 싸진 데서 나오는 효과. → 代替效果(substitution effect)
(2) 쌀 가격이 하락함으로 인해 소비자의 실질소득(real income)이 증가한 것의 효과 → 所得效果(income effect)
□ 이 두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그림 4-11>에 푸른색의 가상적 예산선을 삽입. 이 예산선은 원래의 무차별곡선
i_0
에 접하면서 새로운 예산선과 똑같은 기울기를 갖도록 그린 것.
E
점으로부터
E`''
점으로의 움직임, 즉 쌀 수요량이
x_0
에서
x prime prime
으로 증가한 것은 대체효과에 해당.
E`''
점에서
E`'
점으로의 움직임, 즉 쌀 수요량이
x prime prime
에서
x prime
으로 증가한 것은 소득효과에 해당. 이처럼 가격효과(price effect)를 대체효과와 소득효과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볼 수 있음.
□ 소득효과의 경우에는 고려의 대상이 되는 상품이 어떤 성격을 가졌느냐에 따라 그 작용 방향이 달라짐. 정상재(normal goods)와 열등재(inferior goods). 반면에 대체효과는 언제나 상대적으로 더 싸진 상품의 소비를 늘리는 방향으로 작용. (다만 완전보완재일 경우에는 대체효과 0)
□ 대체효과의 절대적 크기가 소득효과의 절대적 크기보다 더 큰 한 수요의 법칙은 그대로 성립. 소득효과의 절대적 크기가 더 클 경우에는 가격이 떨어질 때 수요량이 줄어드는 예외적인 현상이 나타남. → 기픈재(Giffen goods).
* 열등재이면서 소득효과가 아주 커야 기픈재가 될 수 있음.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2.11.03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02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