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근대소설과 도시 공간
2. <탁류>의 공간 지형학
3. <탁류>의 공간 구조와 현실 구조
4. 근대성 체험과 채만식의 현실 인식
참고문헌
**한글97
2. <탁류>의 공간 지형학
3. <탁류>의 공간 구조와 현실 구조
4. 근대성 체험과 채만식의 현실 인식
참고문헌
**한글97
본문내용
작품의 후반부에서 담론의 엽기적 성격이 강하게 부각되는 이유를 작가가 인물의 비극을 환경과 단절시킨 채 서술한 결과라고 지적한다. 결국 <탁류>는 초봉의 비극이 지닌 사회적 의미가 약화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만다. 김용재, 「<탁류>의 서술 특성 연구」, 『現代文學理論硏究』 8집, 1997. 189-193쪽 참조.
서울에서의 초봉의 파멸 또한 군산이라는 공간에서 잉태되었을 뿐이다. 이는 작가가 서울이 지니는 공간적 의미보다는 초봉의 운명, 즉 초봉의 파멸에 서술의 초점을 맞추고 있음과도 무관하지 않다. <탁류>의 이 같은 공간 설정은 이 소설의 후반부를 통속적이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있다. 작가가 서울이라는 공간이 군산과 마찬가지로 식민지적 모순을 배태하고 있는 전형적 공간으로 부각시켰다면, 이 소설이 일제 강점 하 도시 하층민들의 삶을 탁월하게 그려낸 리얼리즘 소설의 수작이 될 수 있었을 것이다.
<탁류>의 배경이 되고 있는 군산이라는 도시 공간과 그 속에서 살아가는 인물들의 삶은 조선인들의 근대성 체험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는 단순한 공간이 아니다. 그것은 하나의 정신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생활 스타일의 심벌이다.
) D. Bell, 김진욱 역, 『자본주의의 문화적 모순』, 문학세계사, 1990. 129-133쪽 참조.
<탁류>는 식민지 근대화론이 얼마나 허구적인가를 보여주는 소설이다.
결론적으로 말해, <탁류>는 타락한 세계에서 타락한 방식으로 살아가는 조선인들의 삶을 그린 소설이다. <탁류>를 통해 군산은 식민지 조선의 근대화 본질을 보여주는 전형적 도시 공간이 되었다. 우리는 이 소설의 내적 공간 속에서 시대의 탁류에 휩쓸려 살아가는 인간군상을 본다. 이처럼 현상적으로 보면 이 소설은 탁류 인생들의 삶을 그린 작품이다. 그렇지만 도시 공간을 중심으로 이 소설을 해석해 내면, <탁류>는 일제 강점 혹은 근대화로 인한 조선과 조선인들의 물적·정신적 황폐화를 그려낸 소설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소설은 무엇인가? 소설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는 소설 연구가들에게서 떠나지 않는 화두일 것이다. 필자는 한국 초기 자본주의 사회의 산물인 <탁류>를 해석하면서 근대성의 의미를 물은 셈이다. 시가 직관에 의존한다면, 소설은 논리에 바탕을 둔다. 또한 소설은 역사 철학적 성격을 지닌다. 그것은 지난 역사에 대한 성찰이며, 현상과 본질의 단절·분열을 극복하기 위한 지적 모험이다. 이전의 경향소설이 행동을 중시했다면, 이 소설은 사고를 중시한다. 장편 <탁류>는 관조, 즉 작가가 세계를 비실천적인 태도로 가만히 조망한 행위의 결과물이라는 생각이 든다. 따라서 사건 중심으로 이 소설을 읽으면 이 소설의 중요한 것들을 많이 놓치게 될 것이다. 인간이 사물을 생각할 때는 행동하지 않는다는 것은 유럽 형이상학의 구도이다. 달리 말하면 실천과 단절된 곳에서 사고가 가능해진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형이상학적 전통은 이미 성취된 세계를 관조하고 세계의 존재 의미를 생각해 나가는 것이다. 행동이 끝난 후에 비로소 사고가 시작된다. 철학은 세계가 다 발전된 후에 비로소 그 역사가 남긴 성과의 의미를 생각한다. 혹자는 이를 관념적이라고, 부르주아적이라고 말할지도 모른다. 그들은 세상은 생각하는 것만으로는 변하지 않는다, 의지로서밖에 변하지 않는다고 말하리라. 그렇지만 과거에 경험한 것을 내면화하는 회상 행위(anamnesis, Erinnerung)는 현재를 올바르게 인식하기 위한 적극적인 행위라고 말할 수 있다. 작가의 소설 쓰기 혹은 독자의 소설 읽기 행위가 '황혼에 날기 시작하는 미네르바의 올빼미'의 날개짓으로 이해되는 것은 이 때문이리라.
☞ 참고문헌
권용우 외, 『도시의 이해 - 도시지리학적 접근』, 박영사, 1998.
김용재, 「<탁류>의 서술 특성 연구」, 『現代文學理論硏究』 8집, 1997.
김윤식, 『김동리와 그의 시대』, 민음사, 1995.
김진송, 『서울에 딴스홀을 許하라 - 현대성의 형성』, 현실문화연구, 1999.
김치수 외 3인, 『현대기호학의 발전』, 서울대출판부, 1998.
이무용, 「도시공간의 문화정치」, 한국공간환경학회 엮음, 『현대도시이론의 전환』, 한울아카데미, 1998.
이상호, 「사회질서의 재생산과 상징권력」, 현택수 외, 『문화와 권력 - 부르디외 사회학의 이해』, 나남출판, 1998.
이어령, 「문학작품의 공간기호론적 독해」, 이승훈 엮음, 『한국문학과 구조주의』, 문학과비평사, 1988.
이진경,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푸른숲, 1997.
서울 사회과학 연구소, 『근대성의 경계를 찾아서』, 새길, 1997.
채만식, 우한용 해설·주석, <탁류>, 서울대출판부, 1997.
최병두, 『한국의 공간과 환경』, 한길사, 1991.
황국명, 「채만식소설의 현실주의적 전략 연구」, 부산대 박사논문, 1990.
「群山개항100년 -식민도시 群山」, 『전북일보』, 1998. 3. 16.
今村仁同, 이수정 역, 『근대성의 구조』, 민음사, 1999.
山邊健太郞, 이현희 역, 『일제강점하의 한국근대사』, 삼광출판사, 1998.
Bell, D, 김진욱 역, 『자본주의의 문화적 모순』, 문학세계사, 1990.
Benjamin, W, 반성완 편역,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1983.
Bourneuf, R & Ouellet, R, 김화영 편역, 『현대소설론』, 문학사상사, 1986.
Foucault, M, 오생근 역, 『감시와 처벌』, 나남, 1994.
Hartson, T. A, 안재학 역, 『도시학개론』, 새날, 1997.
Harvey, D, 초의수 역, 『도시의 정치경제학』, 한울, 1996.
Harvey, D, 최병두 역, 『자본의 한계-공간의 정치경제학』, 한울, 1995.
Luk cs, G, 이영욱 역, 『역사소설론』, 거름, 1987.
Savage, M & Warde, A, 김왕배·박세훈 역, 『자본주의 도시와 근대성』, 한울, 1996.
Tuan, Y-Fu, 구동회·심승희 역, 『공간과 장소』, 대윤, 1995.
Miller, J. H, Topographies, Stanford Univ. Press, 1995.
서울에서의 초봉의 파멸 또한 군산이라는 공간에서 잉태되었을 뿐이다. 이는 작가가 서울이 지니는 공간적 의미보다는 초봉의 운명, 즉 초봉의 파멸에 서술의 초점을 맞추고 있음과도 무관하지 않다. <탁류>의 이 같은 공간 설정은 이 소설의 후반부를 통속적이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있다. 작가가 서울이라는 공간이 군산과 마찬가지로 식민지적 모순을 배태하고 있는 전형적 공간으로 부각시켰다면, 이 소설이 일제 강점 하 도시 하층민들의 삶을 탁월하게 그려낸 리얼리즘 소설의 수작이 될 수 있었을 것이다.
<탁류>의 배경이 되고 있는 군산이라는 도시 공간과 그 속에서 살아가는 인물들의 삶은 조선인들의 근대성 체험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는 단순한 공간이 아니다. 그것은 하나의 정신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생활 스타일의 심벌이다.
) D. Bell, 김진욱 역, 『자본주의의 문화적 모순』, 문학세계사, 1990. 129-133쪽 참조.
<탁류>는 식민지 근대화론이 얼마나 허구적인가를 보여주는 소설이다.
결론적으로 말해, <탁류>는 타락한 세계에서 타락한 방식으로 살아가는 조선인들의 삶을 그린 소설이다. <탁류>를 통해 군산은 식민지 조선의 근대화 본질을 보여주는 전형적 도시 공간이 되었다. 우리는 이 소설의 내적 공간 속에서 시대의 탁류에 휩쓸려 살아가는 인간군상을 본다. 이처럼 현상적으로 보면 이 소설은 탁류 인생들의 삶을 그린 작품이다. 그렇지만 도시 공간을 중심으로 이 소설을 해석해 내면, <탁류>는 일제 강점 혹은 근대화로 인한 조선과 조선인들의 물적·정신적 황폐화를 그려낸 소설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소설은 무엇인가? 소설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는 소설 연구가들에게서 떠나지 않는 화두일 것이다. 필자는 한국 초기 자본주의 사회의 산물인 <탁류>를 해석하면서 근대성의 의미를 물은 셈이다. 시가 직관에 의존한다면, 소설은 논리에 바탕을 둔다. 또한 소설은 역사 철학적 성격을 지닌다. 그것은 지난 역사에 대한 성찰이며, 현상과 본질의 단절·분열을 극복하기 위한 지적 모험이다. 이전의 경향소설이 행동을 중시했다면, 이 소설은 사고를 중시한다. 장편 <탁류>는 관조, 즉 작가가 세계를 비실천적인 태도로 가만히 조망한 행위의 결과물이라는 생각이 든다. 따라서 사건 중심으로 이 소설을 읽으면 이 소설의 중요한 것들을 많이 놓치게 될 것이다. 인간이 사물을 생각할 때는 행동하지 않는다는 것은 유럽 형이상학의 구도이다. 달리 말하면 실천과 단절된 곳에서 사고가 가능해진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형이상학적 전통은 이미 성취된 세계를 관조하고 세계의 존재 의미를 생각해 나가는 것이다. 행동이 끝난 후에 비로소 사고가 시작된다. 철학은 세계가 다 발전된 후에 비로소 그 역사가 남긴 성과의 의미를 생각한다. 혹자는 이를 관념적이라고, 부르주아적이라고 말할지도 모른다. 그들은 세상은 생각하는 것만으로는 변하지 않는다, 의지로서밖에 변하지 않는다고 말하리라. 그렇지만 과거에 경험한 것을 내면화하는 회상 행위(anamnesis, Erinnerung)는 현재를 올바르게 인식하기 위한 적극적인 행위라고 말할 수 있다. 작가의 소설 쓰기 혹은 독자의 소설 읽기 행위가 '황혼에 날기 시작하는 미네르바의 올빼미'의 날개짓으로 이해되는 것은 이 때문이리라.
☞ 참고문헌
권용우 외, 『도시의 이해 - 도시지리학적 접근』, 박영사, 1998.
김용재, 「<탁류>의 서술 특성 연구」, 『現代文學理論硏究』 8집, 1997.
김윤식, 『김동리와 그의 시대』, 민음사, 1995.
김진송, 『서울에 딴스홀을 許하라 - 현대성의 형성』, 현실문화연구, 1999.
김치수 외 3인, 『현대기호학의 발전』, 서울대출판부, 1998.
이무용, 「도시공간의 문화정치」, 한국공간환경학회 엮음, 『현대도시이론의 전환』, 한울아카데미, 1998.
이상호, 「사회질서의 재생산과 상징권력」, 현택수 외, 『문화와 권력 - 부르디외 사회학의 이해』, 나남출판, 1998.
이어령, 「문학작품의 공간기호론적 독해」, 이승훈 엮음, 『한국문학과 구조주의』, 문학과비평사, 1988.
이진경,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푸른숲, 1997.
서울 사회과학 연구소, 『근대성의 경계를 찾아서』, 새길, 1997.
채만식, 우한용 해설·주석, <탁류>, 서울대출판부, 1997.
최병두, 『한국의 공간과 환경』, 한길사, 1991.
황국명, 「채만식소설의 현실주의적 전략 연구」, 부산대 박사논문, 1990.
「群山개항100년 -식민도시 群山」, 『전북일보』, 1998. 3. 16.
今村仁同, 이수정 역, 『근대성의 구조』, 민음사, 1999.
山邊健太郞, 이현희 역, 『일제강점하의 한국근대사』, 삼광출판사, 1998.
Bell, D, 김진욱 역, 『자본주의의 문화적 모순』, 문학세계사, 1990.
Benjamin, W, 반성완 편역,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1983.
Bourneuf, R & Ouellet, R, 김화영 편역, 『현대소설론』, 문학사상사, 1986.
Foucault, M, 오생근 역, 『감시와 처벌』, 나남, 1994.
Hartson, T. A, 안재학 역, 『도시학개론』, 새날, 1997.
Harvey, D, 초의수 역, 『도시의 정치경제학』, 한울, 1996.
Harvey, D, 최병두 역, 『자본의 한계-공간의 정치경제학』, 한울, 1995.
Luk cs, G, 이영욱 역, 『역사소설론』, 거름, 1987.
Savage, M & Warde, A, 김왕배·박세훈 역, 『자본주의 도시와 근대성』, 한울, 1996.
Tuan, Y-Fu, 구동회·심승희 역, 『공간과 장소』, 대윤, 1995.
Miller, J. H, Topographies, Stanford Univ. Press, 1995.
추천자료
일본근대문학(시,소설)
이청준의 소설 - &#65378;매잡이&#65379; 와 &#65378;잔인한 도시&#65379; ...
[도시림]도시림이란? 도시림의 이해와 활용, 녹지공간 확보를 위한 도시림 조성방안, 도시림...
2008년 1학기 소설창작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이태준의 패강랭과 근대인식)
2008년 1학기 소설창작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이태준의 복덕방과 근대인식)
도시조형기법의 전제조건과 공간구성의 기법
도시의 기능과 구조(물리공간적, 사회문화적 구조)
24,친수공간,하천개발,수변도시재생,워터프론티어,서울의기원,파리의기원,오스트리아빈,부다...
한국문학의 근대성을 바라보는 거울로서의 탐정소설][문제의 층위
[이청준 소설][흰옷][잔인한도시][소설]이청준의 글쓰기, 이청준의 소설 당신들의 천국 작품...
[일본문예론] 메이지 이후 소설 (明治時代以後の小說 - 大正時代의 소설) [근대문학의 사회적...
도시 속의 도시, 복합문화공간으로의 여행
[숲과 삶 A형] 도시에서 숲(도시 산림 포함한 녹지공간)이 점차 감소와 훼손 진행되어 도시생...
성장과 사회공간,도시재생의 현황,도시재생의 사례,도시재생 성공 사례,문화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