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공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가스 포집 시설

2. 가연성 쓰레기

3. 고칼로리 폐기물

4. 김포(해안) 매립지

5. 나무 젓가락

6. 난지도 쓰레기 매립장

7. 님비 신드롬(NIMBY SYNDROM : Not in my back yard)

8. 도시 쓰레기 소각장

9. 디스포저

10. 러브운하(Love Canal) 사건

11. 매립지 복토

12. 목동 열병합 발전소

13. 미국의 화물선(Mobro 2000호)

14. 방사성 폐기물

15. 불연성 쓰레기

16. 비닐

17. 산업쓰레기

18. 산업 쓰레기의 문제점

본문내용

맡기거나 불법으로 폐기하고 있는 실정으로 보도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처리업자들은 극도로 영세하여 산업쓰레기를 제대로 처리할 수가 없는 실정이며 매립할 곳이 없을 경우에 아무 데나 몰래 버리거나 한 군데에 쌓아둔 상태로 방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산업쓰레기는 생활쓰레기와는 달리 각종 해로운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서 환경피해가 훨씬 크게 마련이고, 생활쓰레기는 그나마 여러 매립장에 버려지고 있는데 반하여 매립에도 제한이 많아 그 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큰 환경문제가 되고 있다.
21. 생활 쓰레기
환경처의 자료에 의하면 1989년 우리나라 사람들이 버린 생활쓰레기의 양은 하루 78,000톤으로 1인당 2.2Kg꼴로 나타났다. 이 양은 외국의 선진국에 비하여 약 2배 정도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의 쓰레기 발생량이 많은 가장 큰 이유는 연탄재 때문으로 총 생활쓰레기 양의 43.3%를 차지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 많은 것은 음식물류로 21.5%를 차지하고 있으며 서울의 경우는 비닐류가 12% 등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식생활 습관이 반찬류가 많고 식사후 음식물이 많이 남게 되므로 다른 나라에 비해 많은 쓰레기를 발생시키고 있다. 생활 쓰레기 중 당장 어쩔 수 없는 연탄재와 음식물 쓰레기를 빼고 난 그 밖의 종이류, 목재류, 금속유리류, 폐비닐 등은 1일 23,575톤으로 생활 쓰레기의 약 35%, 전체 폐기물량의 21.6%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국내 쓰레기 배출의 특징은 비닐, 플라스틱류의 일회용품 남용과 상품의 과다포장에서 비롯된 쓰레기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분석이다.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11.04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03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