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마이크로소프트 정보화 사례
2. 샤프 정보화 사례
2. 샤프 정보화 사례
본문내용
. 그 의도는 사용자 측의 가치관으로부터 나온 새로운 컨셉을 각 사업부에 보내는 것이다. 샤프에서는 신제품 개발의 시장조사를 조사회사에 의뢰하지 않고 기획개발 담당자가 스스로 수행한다. 생활소프트기획본부는 단순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곳이 아니라 고객과 함께 체험을 축적하면서 고객의 생각이나 암묵지를 컨셉이나 언어로 만들어 각 사업부에 보내는, 고객의 지(知)를 내부화하기 위한 기관이다.
사회의 성숙화가 진전되면 질 높은 니즈일수록 언어로 표현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고객을 섞은 패널이나 시제품을 매개로 한 실험을 공유함으로써 질 높은 니즈를 끌어내는 일이 중요하다. 구체적으로는 한 사람 한 사람의 생활실태를 철저히 파악하는 600명의 등록 모니터, 신제품에 대한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는 ‘센스 리더 제도’(리드 유저를 조직화하여 사외 스탭으로 만든다), 액정 비전 등 일반 사람에게는 들을 수 없는 신기술·신상품에 대해서 매니아나 프로들과 함께 사원이 직접 생활 속에서 사용해 보는 ‘라이프 크리에이터 제도’(사용자와 하나가 되는 ‘생활실험’형 상품개발의 장), 다른 업종간의 공동연구 등이 수행되고 있다. 요컨대 이 부문 자체가 지식변환을 수행하고 지식기반을 제공하며 조직 전체의 지식공유를 도모하는 매개자의 기능을 수행한다.
샤프가 이상과 같은 조직을 운용하게 된 배경에는 일찍이 강력한 사업부제를 시행하면서 사업부와 사업부의 중간영역에서 사업기회를 놓쳤다는 과거에 대한 반성이 있었다. 퍼스널 컴퓨터가 상징적인 예이다. 80년대 초반, 초창기의 퍼스널 컴퓨터 사용자가 NEC의 PC - 8000이나 샤프의 MZ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던 시기가 있었다. 실제 MZ는 모니터나 기억용 테이프 레코더를 내장한 독특한 상품이었다. 그러나 결국 MZ 시리즈는 생산을 중지하게 되었다. 이 회사에는 가정용 X 시리즈도 있었는데 MZ 시리즈는 컴퓨터사업부에서, X 시리즈는 텔레비전사업부에서 담당하였다. 그 결과 양 사업부는 부품공통화 등으로 연대할 수 없었다.
샤프는 원래 전자식 탁상계산기와 같은 독보적인 시장을 창조하여 다른 회사가 쫓아올 수 없는 경쟁력을 갖추고자 노력해 왔다. 그것은 창업 이래의 독창적이고 기민한 상품개발이라는 이념에 의해 떠받쳐져 왔다. 그러나 경쟁이 격화되고 환경변화의 속도가 빨라져 단일한 상품개발 영역만으로 대응할 수 없게 되었을 때, 샤프가 고안해 낸 것은 조직 디자인에 의해서 대응을 고도화하는 것이었다.
사회의 성숙화가 진전되면 질 높은 니즈일수록 언어로 표현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고객을 섞은 패널이나 시제품을 매개로 한 실험을 공유함으로써 질 높은 니즈를 끌어내는 일이 중요하다. 구체적으로는 한 사람 한 사람의 생활실태를 철저히 파악하는 600명의 등록 모니터, 신제품에 대한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는 ‘센스 리더 제도’(리드 유저를 조직화하여 사외 스탭으로 만든다), 액정 비전 등 일반 사람에게는 들을 수 없는 신기술·신상품에 대해서 매니아나 프로들과 함께 사원이 직접 생활 속에서 사용해 보는 ‘라이프 크리에이터 제도’(사용자와 하나가 되는 ‘생활실험’형 상품개발의 장), 다른 업종간의 공동연구 등이 수행되고 있다. 요컨대 이 부문 자체가 지식변환을 수행하고 지식기반을 제공하며 조직 전체의 지식공유를 도모하는 매개자의 기능을 수행한다.
샤프가 이상과 같은 조직을 운용하게 된 배경에는 일찍이 강력한 사업부제를 시행하면서 사업부와 사업부의 중간영역에서 사업기회를 놓쳤다는 과거에 대한 반성이 있었다. 퍼스널 컴퓨터가 상징적인 예이다. 80년대 초반, 초창기의 퍼스널 컴퓨터 사용자가 NEC의 PC - 8000이나 샤프의 MZ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던 시기가 있었다. 실제 MZ는 모니터나 기억용 테이프 레코더를 내장한 독특한 상품이었다. 그러나 결국 MZ 시리즈는 생산을 중지하게 되었다. 이 회사에는 가정용 X 시리즈도 있었는데 MZ 시리즈는 컴퓨터사업부에서, X 시리즈는 텔레비전사업부에서 담당하였다. 그 결과 양 사업부는 부품공통화 등으로 연대할 수 없었다.
샤프는 원래 전자식 탁상계산기와 같은 독보적인 시장을 창조하여 다른 회사가 쫓아올 수 없는 경쟁력을 갖추고자 노력해 왔다. 그것은 창업 이래의 독창적이고 기민한 상품개발이라는 이념에 의해 떠받쳐져 왔다. 그러나 경쟁이 격화되고 환경변화의 속도가 빨라져 단일한 상품개발 영역만으로 대응할 수 없게 되었을 때, 샤프가 고안해 낸 것은 조직 디자인에 의해서 대응을 고도화하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