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경찰활동 도입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차>

Ⅰ들어가는말

Ⅱ지역사회 경찰활동과 그 정의
⑴출현배경
(2)지역사회 경찰의 정의
1)일반적 정의
2)학자들이 내린 정의
(3)지역사회 경찰활동의 목적과 특징
(4)지역사회 경찰활동의 문제점

Ⅲ우리나라 경찰의 지역사회 활동실태와 문제점
(1)민경협력 활동실태
1)지역사회 경찰활동 조직
2)주민 자유방범 현황
3)민경협력 방범 Program
4)지역주민에 대한 봉사활동
(2)민경협력활동의 문제점
1)민경협력활동지도 전담부서 부재
2)경찰과 지역주민광의 접촉기회 감소
3)주민의 자츄방범의식 미약
4)지역주민과 우호적 관계유지 미흡
5)민경협력 Program 시행의 일과성
6)지역주민과 대화식 경찰홍보 부족

Ⅳ지역사회경찰활동의 활성화 방안
(1)민경협력 지도 전담부서 신설
(2)외근경찰관 지역주민과 점촉기회 확대
(3)파출소 기본 근무시 지역사회 경찰활동 내실화
(4)정착한 대화기법 전문화 교육 실시
(5)지속적, 일관성있는 민경협력 Program 추진

Ⅴ결어

본문내용

동에서 지역주민의 개념은 더이상 수동적으로 받기만 하는 존재가 아니라 경찰관의 파트너로서 함께 치안유지를 해나가는 것이다.
우리나라 경찰관들은 수행해야하는 일들이 상당히 많다. 하지만 그에따른 경찰인력은 터무니 없이 부족하다. 따라서 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주민들과 함께 해나가는 지역사회경찰활동이 추앙받고 있는것이다.
우리는 미래에 지역사회가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노력 속에서 좀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는 기대를 할 수 있다, 지역사회는 어떤 문제와 범죄가 우선하는가를 결정할 것이도, 지역사회에서 일할 경찰관으로서 누가 고용될 것인가를 결정하는 데 관계될 것이다. 그들은 범죄예방에 좀더 책임감을 지닐 것이며, 범죄와 무질서뿐만 아니라, 길거리나 구역을 포함하여 지역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문제들에 대한 통제를 할 것이다.
경찰관과 협력해 나아가면서 주민들은 낙서와 버려진 차를 제거할 것이고 지역에 어떠한 무규범의 출현도 제거하고자 노력할 것이다, 결국, 지역사회중심 경찰활동은 지역사회 중심으로 전개될 것이다.
이러한 지역사회 경찰활동이 시행되었을때에는 문제점도 드러날 것이다. 그리고, 국가 경찰제도를 취하고 있는 우리나라 에서 걸맞지 않다고 비판할련지도 모른다. 하지만 경찰인력이 부족하고 주민들의 서비스 향상이 시급한 현재, 앞에서 제시한 해결방안을 중심으로 하여 하나하나 해결해 나간다면 분명 성공적인 지역사회 경찰활동이 이루어 질수 있을거라고 믿는다.
<참고 문헌>
<국외 참고 문헌>
Dennis P. Rosenbaum and Arthur J. Lurigio, "An Inside Look at Community Policing Reform : Definitions, Organizational Changes, and Evaluation Finding," Crime and Delinquency, Vol. 40,No. 3, July 1994
George Kelling, Policing and Communities : The Quiet Revolution(Washington, D. C :U. S. Department of Justice, 1990)
G. S. Arenberg & J. Hosford Jr, American Policing Chiefs, Sheriffs and Command Officers (North Miami: National Assocition of Chiefs of Police, 1987)
Harvey Wallace, Cliff Robertson and Craig Stickler, Fundamentals of Police Administration(Englewood Cliffs, NJ : Prentice Hall, 1995)
Heike Gramkow and Joan Jacoby, " Community Policing: A Model fodr Local Governments," Dieter Dolling and Thomas Feltes, ed. Community Policing : Comparative ASspects of Community Oriented Police Work (Holzkirchen/Obb : Felix, 1993)
James Garofalo & Maureen McLeod,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Neighborhood Watch Program in the United States," Crime & Delinquency, No.35, 1989
J. Brown, Insecure Societies-Delinquency in Troubled Times(New York : Macmillan, 1990)
John E. Eck and Dennis P. Rosenbaum, "The New Police Order :Effectiveness, Equity, and Efficiency in Community Policing", Dennis P. Rosenbaum, ed op. cit, p. 3.
마이클 J. 팔미오토. 지역사회 경찰활동론 (21세기의 경찰활동 전략) 대영문화사 p312-319
Malcolm K Sparrow, Implementing Community Policing(Washington, D. C: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 1988)
Peter K. Manning, " Community Policing", Roger G. Dunham and Geoffrey P. Alpert, Critical Issues in policing : Contemporary Readings(Prospect Heights, Ill. : Waveland Press, Inc., 1989)
Robert C. Trojanowicz and David L. Cater, The Philosophy and Role of Community Policing(East Lansing, MI : National Center for Community Policing, 1998), p.17 ; John Eck and William Spelman, Problem-Solving(Washington, D. C : Police Executive Research Forum, 1987).
Senna & L. J. Siegel, Introduction to Criminal Justice(New York : West Publishing Company, 1990)
S. Pennell, "Guardian Angels : A Unique Approach to Crime Prevention", Crime & Delinquency, 35(1989)
<국내 참고 문헌>
경찰대학, 경찰방범론 (서울: 대한문화사, 2001)
이 기우. 지방경찰제도의 개선방안 인하대학교 교수. 한국지방 자치학회. 1998
한상암, 'A study on the Alternatives to Activate Community Policing focused on the Citizen-police Cooperation',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2.11.05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04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