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을 갖게 하고 깨달은 진리를 일상생활에서 체험, 적용하도
록 하며 또한 경험의 세계에서 부터 무한한 세계를 사고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성경을 암송한다든가 반복해서 인식한다든가 하는 학습단
계는 성경을 통해서 하나님과 만나는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에 까지
이르게 하며 실제 삶 속에서 실현할 수 있는 교수가 되도록 계속 노력해야 한
다. 성서 사실에 집중하는 교육에서 성서의 미에 집중하는 교육으로, 또 하나
님에 관해서 아는 것(knowing about God)으로부터 하나님을 아는 (knowing of
God) 교육으로 이어지는 교수- 학습이 되기 위해서 교사는 인지적, 정서적, 행
위적 세차원을 모두 포괄하는 전인적 통합방법을 터득해야 할 것이다.
4. 결 론
어린이도 성경을 통해 하나님 말씀인 계시와 만나는 체험을 해야만 새로운
삶의 변화와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어린이를 위한 성서교수법은 "성
서를 가르치는 것"에서 부터 성서로부터의 경험을 가르치는 것에 더 초점을 맞
추어 실시되어야 한다. 성서의 개념과 언어가 어린이들의 제한된 지능에 비교
해 볼 때 너무 복잡하고 어렵다는 것을 인식하고 어린이의 특성에 맞추어 정서
적인 면에 더 관심을 두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신앙이란 신념, 신뢰, 행위란
세차원을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한편에 치우치지 않도록 하며 신앙
의 세차원이 골고루 조화있게 성장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버리지 말아야 한다.
성서속에 들어있는 자료들을 모두 가르쳐야 한다는 생각을 버리고 학습자의
특징과 욕구와 관심에 따라 선택된 자료들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성서적 언
급과 삶의 경험이 병행되어 강조되어 상호연결이 되고 서로 조화와 보충이 이
루어지는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교수법은 내용 중심,교사중심 방법
인 획일적 주입식 강의법같은 방법을 지양하고, 학습자가 직접 참여하여 학습
과정을 통해 산 경험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고안해야 할 것이다.
학습에 필요한 여러가지 자료와 기재들을 충분히 마련하고 학습자로 하여금
직접 찾아보고 또 생각해 보고 서로 공부한 것을 발표하고 서로 교환할수 있도
록 하는 교육 방법, 교사가 최선의 도움과 격려를 안지 않는 개방교육방법
(Open Education)과 같은 방법이 어린이 성서교육에 바람직하다고 말할수 있
다.
또한 선택된 성서 교육방법이 다만 성서지식을 얻는 교육이나 결국에가서는
도덕교육으로 귀결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어린이들을 위한 성서교수법이 언제
나 참신하고 생기가 있고 흥미가 있어서 학습 동기유발이 계속 일어나는 창조
적 교수법이 되기 위해 계속 연구하고 개발하려는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 참고 문헌 **
1. 완스워드 B.J [삐아제의 인지발달론] 정태위(역) 교육신서19 서울:
배영사 1976.
2. 은준관(1976) [교육신학] 서울 :기독교서회
3. 대한 기독교 협의회 [기독교 교육 한국 기독교 교육학회편]
PC에서 TTY수신종료(Capture off)를 하시고 리턴키를 치십시오. >
록 하며 또한 경험의 세계에서 부터 무한한 세계를 사고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성경을 암송한다든가 반복해서 인식한다든가 하는 학습단
계는 성경을 통해서 하나님과 만나는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에 까지
이르게 하며 실제 삶 속에서 실현할 수 있는 교수가 되도록 계속 노력해야 한
다. 성서 사실에 집중하는 교육에서 성서의 미에 집중하는 교육으로, 또 하나
님에 관해서 아는 것(knowing about God)으로부터 하나님을 아는 (knowing of
God) 교육으로 이어지는 교수- 학습이 되기 위해서 교사는 인지적, 정서적, 행
위적 세차원을 모두 포괄하는 전인적 통합방법을 터득해야 할 것이다.
4. 결 론
어린이도 성경을 통해 하나님 말씀인 계시와 만나는 체험을 해야만 새로운
삶의 변화와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어린이를 위한 성서교수법은 "성
서를 가르치는 것"에서 부터 성서로부터의 경험을 가르치는 것에 더 초점을 맞
추어 실시되어야 한다. 성서의 개념과 언어가 어린이들의 제한된 지능에 비교
해 볼 때 너무 복잡하고 어렵다는 것을 인식하고 어린이의 특성에 맞추어 정서
적인 면에 더 관심을 두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신앙이란 신념, 신뢰, 행위란
세차원을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한편에 치우치지 않도록 하며 신앙
의 세차원이 골고루 조화있게 성장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버리지 말아야 한다.
성서속에 들어있는 자료들을 모두 가르쳐야 한다는 생각을 버리고 학습자의
특징과 욕구와 관심에 따라 선택된 자료들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성서적 언
급과 삶의 경험이 병행되어 강조되어 상호연결이 되고 서로 조화와 보충이 이
루어지는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교수법은 내용 중심,교사중심 방법
인 획일적 주입식 강의법같은 방법을 지양하고, 학습자가 직접 참여하여 학습
과정을 통해 산 경험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고안해야 할 것이다.
학습에 필요한 여러가지 자료와 기재들을 충분히 마련하고 학습자로 하여금
직접 찾아보고 또 생각해 보고 서로 공부한 것을 발표하고 서로 교환할수 있도
록 하는 교육 방법, 교사가 최선의 도움과 격려를 안지 않는 개방교육방법
(Open Education)과 같은 방법이 어린이 성서교육에 바람직하다고 말할수 있
다.
또한 선택된 성서 교육방법이 다만 성서지식을 얻는 교육이나 결국에가서는
도덕교육으로 귀결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어린이들을 위한 성서교수법이 언제
나 참신하고 생기가 있고 흥미가 있어서 학습 동기유발이 계속 일어나는 창조
적 교수법이 되기 위해 계속 연구하고 개발하려는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 참고 문헌 **
1. 완스워드 B.J [삐아제의 인지발달론] 정태위(역) 교육신서19 서울:
배영사 1976.
2. 은준관(1976) [교육신학] 서울 :기독교서회
3. 대한 기독교 협의회 [기독교 교육 한국 기독교 교육학회편]
PC에서 TTY수신종료(Capture off)를 하시고 리턴키를 치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