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1) 해리성 정체감 장애의 증상과 진단
(2) 산후우울증으로 야기된 열등감 극복 방안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1) 해리성 정체감 장애의 증상과 진단
(2) 산후우울증으로 야기된 열등감 극복 방안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대한 회피 성향을 갖게 하거나 혹은 극단적인 무기력함의 발로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렇다면 산후우울증과 육아우울증의 근본적인 해결은 어디서부터 시작되어야 하는가.
첫째, 가족 구성원의 절대적인 지지와 협조가 필요하다.
누군가의 희생으로 점철되어야만 유지되는 일상이 아닌 더불어 행복하게 사는 삶을 지향하기 위해서는 결국 가족 구성원 모두의 이해와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 특히 남편이 절대적인 조력자가 되어 아내의 신체적, 정서적 변화에 대한 민감함을 잘 헤아려주고 공감해 줄 수 있는 기본자세가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둘째, 고정된 성 역할에서 오는 부당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사회 전반적인 제도 확립이 필요하다.
아이 한 명을 키우기 위해서는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아프리카 속담도 있듯이 산후/육아 우울증으로 인해 정신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엄마들에게 이를 단지 개인의 문제로만 국한할 것이 아닌 국가 차원의 시스템 정비와 적극적인 후원이 필요하다. 특히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육아에 도움을 받기 어려운 취약계층, 다자녀 가정 혹은 전문적인 상담과 치료를 필요로 하는 산후우울증 환자 혹은 그 잠재적 대상에게도 세심한 관찰과 도움을 줄 수 있는 사회적 시스템 확립과 정비가 반드시 필요하다.
3. 결론
기본적으로 인간은 사회적인 동물이며 끊임없이 자신의 가치를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있다. 그러므로 결혼과 동시에 임신과 출산으로 이어지는 여성의 신체적, 심리적, 환경적 변화에 대한 고충을 가족 구성원 모두가 적극적으로 공감하고 어려움을 함께 나눌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를 단순히 개인의 고충으로만 치부할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공론화하여 개선시킬 수 있도록 사회 전반적인 인식 전환과 실질적인 제도의 확립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인구 감소를 우려하는 작금의 상황에서 생명을 탄생시키고 성장시키는 어머니의 역할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시대를 초월하는 가치로서 여전히 숭고하고 위대한 것이다. 그러므로 그 일련의 과정을 누구나 겪는 당연한 것으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어려움을 겪는 사람에 대한 존중과 배려의 자세가 다시금 필요함을 느낀다. 그 아픔에 공감하고 같이 해결책을 찾아 나가려 노력할 때 사회 구성원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더 밝고 건강한 사회를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해리성 정체감 장애 [dissorciative identity disorder], 서울대학교병원
그렇다면 산후우울증과 육아우울증의 근본적인 해결은 어디서부터 시작되어야 하는가.
첫째, 가족 구성원의 절대적인 지지와 협조가 필요하다.
누군가의 희생으로 점철되어야만 유지되는 일상이 아닌 더불어 행복하게 사는 삶을 지향하기 위해서는 결국 가족 구성원 모두의 이해와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 특히 남편이 절대적인 조력자가 되어 아내의 신체적, 정서적 변화에 대한 민감함을 잘 헤아려주고 공감해 줄 수 있는 기본자세가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둘째, 고정된 성 역할에서 오는 부당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사회 전반적인 제도 확립이 필요하다.
아이 한 명을 키우기 위해서는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아프리카 속담도 있듯이 산후/육아 우울증으로 인해 정신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엄마들에게 이를 단지 개인의 문제로만 국한할 것이 아닌 국가 차원의 시스템 정비와 적극적인 후원이 필요하다. 특히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육아에 도움을 받기 어려운 취약계층, 다자녀 가정 혹은 전문적인 상담과 치료를 필요로 하는 산후우울증 환자 혹은 그 잠재적 대상에게도 세심한 관찰과 도움을 줄 수 있는 사회적 시스템 확립과 정비가 반드시 필요하다.
3. 결론
기본적으로 인간은 사회적인 동물이며 끊임없이 자신의 가치를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있다. 그러므로 결혼과 동시에 임신과 출산으로 이어지는 여성의 신체적, 심리적, 환경적 변화에 대한 고충을 가족 구성원 모두가 적극적으로 공감하고 어려움을 함께 나눌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를 단순히 개인의 고충으로만 치부할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공론화하여 개선시킬 수 있도록 사회 전반적인 인식 전환과 실질적인 제도의 확립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인구 감소를 우려하는 작금의 상황에서 생명을 탄생시키고 성장시키는 어머니의 역할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시대를 초월하는 가치로서 여전히 숭고하고 위대한 것이다. 그러므로 그 일련의 과정을 누구나 겪는 당연한 것으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어려움을 겪는 사람에 대한 존중과 배려의 자세가 다시금 필요함을 느낀다. 그 아픔에 공감하고 같이 해결책을 찾아 나가려 노력할 때 사회 구성원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더 밝고 건강한 사회를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해리성 정체감 장애 [dissorciative identity disorder], 서울대학교병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