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아
한국사회의 문화형성에 있어 기독교의 문화적 주도권이 박탈된
느낌을 갖게 합니다.
상상을 해 보십시오! 영상에 비쳐지는 기독교, 불교, 유교, 무
속 종교 등을 말입니다.
그러기에 우리는 한국교회사에 가장 큰 변화의 상황 속에서 교
회 교육에 대한 사명을 맡은 자들입니다.
2) 종교적인 문제
한국 종교의 주도적 판도가 달라지고 있습니다.
이는 문화적인 문제와 정치적인 문제, 사회적인 문제 등의 문제
는종교적인 주도권이 달라지게 하고 있습니다.
지방자치제가 시작이 되었습니다. 지방자치제를 맞이한 한국 기
독교는 새로운 대처가 필요해지고 있습니다.
지방자치제는 기독교적으로 두가지의 입장을 맞게될 것입니다.
첫째는 일부의 교회들이 득세할 수 있는 상황이 만들어진다는
점입니다.
둘째는 일반적 교회들이 압제를 받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원인은 대단위 속에서는 무관심해 지던것이 소단위화되
어질 때 첨예한 대립을 가져오기 때문입니다.
한 태도는 종교적인 입장에서도 매일반일 것입니다.
그러한 입장에서 기독교의 교사들은 올바른 신앙을 가르쳐 기독
교인들이 사회에 사랑을 실천하는 교회로 발전하게 하는 책임이
있다할 것입니다.
3) 사회적인 문제
예로 말한다면 한국 기독교 100년사가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우
리의 주위에 기독교인의 기업이 있고 기독교인이 운영하는 기관
은 있으나 교회 교육을 받은 자가 필요한 기업과 기관은 없다는
것은
대단히 중시되어야 할 과제입니다.
왜 그런가 하면 기독교 교육의 필요성이 없어지기 때문에 그냥
교회의 교육은 교회로 끝이 날 것입니다.
현실성이 없는 교회교육을 만들지 말고 기독 교사들의 부단한
노력으로 기독교의 교육이 되어 있지않은 사람과 기독교의 교육
이 되어 있는 기독교인과의 차이가 벌어지고 우대받는 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부단한 교사들의 수고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7. 교사의 준비성
교사는 자신의 사명을 감당하기 위하여 언제나 늘 준비하는 자
세가 필요합니다.
(1) 외적인 준비
(2) 정신적인 준비
(3) 영적인 준비
교사는 영혼들을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하고 그리스도 안에서 자
라게 하는 목적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는 교회의 한 직분
입니다.
또한 영혼들을 하나님의 교회로 인도하는 사명을 가진 직분입니
다.
마지막으로 말씀을 보며 성경에 나타난 교사상에 대한 말씀을
마치려 합니다.
다같이 찾아서 한 목소리로 읽겠습니다.
(엡4:13-16) 우리가 다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것과 아는 일에
하나가 되어 온전한 사람을 이루어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이
충만한데까지 이르리니(엡4:14)
이는 우리가 이제부터 어린 아이가 되지 아니하여 사람의 궤술
과 간사한 유혹에 빠져 모든 교훈의 풍조에 밀려 요동치 않게
하려 함이라(엡4:15)
오직 사랑 안에서 참된 것을 하여 범사에 그에게까지 자랄지라
그는 머리니 곧 그리스도라(엡4:16)
그에게서 온 몸이 각 마디를 통하여 도움을 입음으로 연락하고
상합하여 각 지체의 분량대로 역사하여 그 몸을 자라게 하며 사
랑 안에서 스스로 세우느니라 충만한데까지 이르리니
한국사회의 문화형성에 있어 기독교의 문화적 주도권이 박탈된
느낌을 갖게 합니다.
상상을 해 보십시오! 영상에 비쳐지는 기독교, 불교, 유교, 무
속 종교 등을 말입니다.
그러기에 우리는 한국교회사에 가장 큰 변화의 상황 속에서 교
회 교육에 대한 사명을 맡은 자들입니다.
2) 종교적인 문제
한국 종교의 주도적 판도가 달라지고 있습니다.
이는 문화적인 문제와 정치적인 문제, 사회적인 문제 등의 문제
는종교적인 주도권이 달라지게 하고 있습니다.
지방자치제가 시작이 되었습니다. 지방자치제를 맞이한 한국 기
독교는 새로운 대처가 필요해지고 있습니다.
지방자치제는 기독교적으로 두가지의 입장을 맞게될 것입니다.
첫째는 일부의 교회들이 득세할 수 있는 상황이 만들어진다는
점입니다.
둘째는 일반적 교회들이 압제를 받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원인은 대단위 속에서는 무관심해 지던것이 소단위화되
어질 때 첨예한 대립을 가져오기 때문입니다.
한 태도는 종교적인 입장에서도 매일반일 것입니다.
그러한 입장에서 기독교의 교사들은 올바른 신앙을 가르쳐 기독
교인들이 사회에 사랑을 실천하는 교회로 발전하게 하는 책임이
있다할 것입니다.
3) 사회적인 문제
예로 말한다면 한국 기독교 100년사가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우
리의 주위에 기독교인의 기업이 있고 기독교인이 운영하는 기관
은 있으나 교회 교육을 받은 자가 필요한 기업과 기관은 없다는
것은
대단히 중시되어야 할 과제입니다.
왜 그런가 하면 기독교 교육의 필요성이 없어지기 때문에 그냥
교회의 교육은 교회로 끝이 날 것입니다.
현실성이 없는 교회교육을 만들지 말고 기독 교사들의 부단한
노력으로 기독교의 교육이 되어 있지않은 사람과 기독교의 교육
이 되어 있는 기독교인과의 차이가 벌어지고 우대받는 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부단한 교사들의 수고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7. 교사의 준비성
교사는 자신의 사명을 감당하기 위하여 언제나 늘 준비하는 자
세가 필요합니다.
(1) 외적인 준비
(2) 정신적인 준비
(3) 영적인 준비
교사는 영혼들을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하고 그리스도 안에서 자
라게 하는 목적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는 교회의 한 직분
입니다.
또한 영혼들을 하나님의 교회로 인도하는 사명을 가진 직분입니
다.
마지막으로 말씀을 보며 성경에 나타난 교사상에 대한 말씀을
마치려 합니다.
다같이 찾아서 한 목소리로 읽겠습니다.
(엡4:13-16) 우리가 다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것과 아는 일에
하나가 되어 온전한 사람을 이루어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이
충만한데까지 이르리니(엡4:14)
이는 우리가 이제부터 어린 아이가 되지 아니하여 사람의 궤술
과 간사한 유혹에 빠져 모든 교훈의 풍조에 밀려 요동치 않게
하려 함이라(엡4:15)
오직 사랑 안에서 참된 것을 하여 범사에 그에게까지 자랄지라
그는 머리니 곧 그리스도라(엡4:16)
그에게서 온 몸이 각 마디를 통하여 도움을 입음으로 연락하고
상합하여 각 지체의 분량대로 역사하여 그 몸을 자라게 하며 사
랑 안에서 스스로 세우느니라 충만한데까지 이르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