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1) 제4차 표준보육과정의 개요
(2) 2019 개정 누리과정의 개요
(3) 놀이의 의미와 교사역할에 대한 상호작용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1) 제4차 표준보육과정의 개요
(2) 2019 개정 누리과정의 개요
(3) 놀이의 의미와 교사역할에 대한 상호작용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통해 명확히 밝혔다. 그렇기에 교사는 아이의 주도적인 놀이에 관심을 가지고 이해하며 지원하는 수준에서의 상호작용이 가장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3. 결론
본고에서는 유아교육으로써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 과정’과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이해하고 이러한 제도를 바탕으로 놀이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아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과 유아교육의 목적 등에 비추어 놀이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다시 한번 깨닫고, 유아가 자신의 관심과 흥미를 바탕으로 놀이를 찾고 참여하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스스로 터득하고 소통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방임의 태도를 보여서는 안 되고, 아이의 성장과 발전 가능성을 전적으로 믿어 주며 아이를 관찰하고 지원해야 한다. 유아교육에 있어서 유아 중심·놀이 중심 교육과정이 우선적으로 중요하지만, 그 외에도 내용구성의 간략화, 현장 자율성 확대, 교사의 실행력 지원 등에 대한 특성이 있으며, 지면의 한계로 언급하지 못했다.
유아교육 과정에 대한 근거가 처음 제시된 1969년 이래로 대내외 환경은 끊임없이 변해왔고, 앞으로도 급속도로 변화될 것이다. 최근의 사례로도 알 수 있듯이,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코로나19가 발생한 이후 전 세계의 경제와 문화 등이 격변했지만 ‘뉴노멀(New Normal)’이라는 이름으로 빠르게 적응하며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렇듯 예측할 수 없는 미래를 살아갈 유아들을 위해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연구해 나가며 미래 사회에 부응하는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함께 고민해야 할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1) 보건복지부(2020), 보건복지부 고시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해설서
(2) 교육부 외(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3) 김영옥(전남대학교),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변천과 개정 누리과정의 과제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5권 제2호(2020. 4.)
(4)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1-2호(2021. 1. 5.)
(5) 교육부 고시 제2019-189호(2019. 7. 24.)
(6) 교육부(2011. 7. 14.), ‘이제 5세 누리과정으로 불러주세요’ 보도자료
(7) 교육부 외(2019. 7. 19.), ‘2019 개정 누리과정 확정·발표’ 보도자료
(8) EBS(2018. 9. 12.), [유아들의 꿈은 놀이에서 자란다] 1부. 우리 아이, 놀게 해도 될까요?
3. 결론
본고에서는 유아교육으로써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 과정’과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이해하고 이러한 제도를 바탕으로 놀이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아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과 유아교육의 목적 등에 비추어 놀이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다시 한번 깨닫고, 유아가 자신의 관심과 흥미를 바탕으로 놀이를 찾고 참여하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스스로 터득하고 소통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방임의 태도를 보여서는 안 되고, 아이의 성장과 발전 가능성을 전적으로 믿어 주며 아이를 관찰하고 지원해야 한다. 유아교육에 있어서 유아 중심·놀이 중심 교육과정이 우선적으로 중요하지만, 그 외에도 내용구성의 간략화, 현장 자율성 확대, 교사의 실행력 지원 등에 대한 특성이 있으며, 지면의 한계로 언급하지 못했다.
유아교육 과정에 대한 근거가 처음 제시된 1969년 이래로 대내외 환경은 끊임없이 변해왔고, 앞으로도 급속도로 변화될 것이다. 최근의 사례로도 알 수 있듯이,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코로나19가 발생한 이후 전 세계의 경제와 문화 등이 격변했지만 ‘뉴노멀(New Normal)’이라는 이름으로 빠르게 적응하며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렇듯 예측할 수 없는 미래를 살아갈 유아들을 위해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연구해 나가며 미래 사회에 부응하는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함께 고민해야 할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1) 보건복지부(2020), 보건복지부 고시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해설서
(2) 교육부 외(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3) 김영옥(전남대학교),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변천과 개정 누리과정의 과제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5권 제2호(2020. 4.)
(4)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1-2호(2021. 1. 5.)
(5) 교육부 고시 제2019-189호(2019. 7. 24.)
(6) 교육부(2011. 7. 14.), ‘이제 5세 누리과정으로 불러주세요’ 보도자료
(7) 교육부 외(2019. 7. 19.), ‘2019 개정 누리과정 확정·발표’ 보도자료
(8) EBS(2018. 9. 12.), [유아들의 꿈은 놀이에서 자란다] 1부. 우리 아이, 놀게 해도 될까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