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배드민턴의 역사
2. 배드민턴(Badminton) 의 특징
3. 배드민턴 경기장
4. 배드민턴 용구
5. 경기방법
6. 경기의 진행
7. 서비스의 분류
8. 스트로크
9. 플라이트의 분류
10. 풋 워크
2. 배드민턴(Badminton) 의 특징
3. 배드민턴 경기장
4. 배드민턴 용구
5. 경기방법
6. 경기의 진행
7. 서비스의 분류
8. 스트로크
9. 플라이트의 분류
10. 풋 워크
본문내용
: 라켓을 쥐고있는 손과 같은 몸쪽에서 셔틀콕 을 치는 스트로크.
② 백핸드 스트로크(Backhand stroke) : 라켓을 쥐고 있는 손과 반대되는 몸쪽에서 셔틀콕을 치는 스트로크.
2) 셔틀콕을 치는 위치의 높이에 따른 분류
① 오버 헤드 스트로크(Overhead stroke) : 셔틀콕을 머리 위 높은 위치에서 치는 스 트로크.
② 사이드 암 스트로크(Side arm stroke) : 셔틀콕을 대강 어깨에서 허리의 높이 정 도 까지의 위치에서 몸 옆에서 치는 스트로크.
③ 언더 핸드 스트로크(Under hand stroke) : 셔틀콕을 낮은 위치에서 윗방향으로 치 는 스트로크.
④ 하이 백핸드 스트로크(High backhand stroke) : 어깨보다 높은 위치에서 치는 백 핸드 스트로크.
⑤ 라운드 더 헤드 스트로크(Round the head stroke) : 오버 헤드 스트로크의 변형으 로 몸의 좌측에서 머리 위에 날아온 셔틀콕을 포핸드로 치는 방법.
9. 플라이트의 분류
플라이트는 셔틀콕이 날아가는 방법이란 뜻이다. 셔틀콕은 그 구조상에서 생기는 독특한 비행성을 가지고 있고 치는 법에 따라 다양하다. 그러나 배드민턴 게임에 보여지는 원칙적인 플라이트 비행코스에 따라 분류하면 대개 다음과 같이 된다.
1) 클리어(Clear) : 셔틀콕이 상대의 백 바운더리 라인 가까이까지 높고 빠르게 포물선 을 그리는 듯한 플라이트로써 다음의 두 가지가 있다.
① 하이 클리어(High clear) : 셔틀콕이 높게 올라가서 백 바운더리 라인에 거의 수직 으로 낙하하는 듯한 플라이트.
② 드리블 클리어(Driven clear) : 상대의 라켓이 적당히 닿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어 느 정도의 스피드를 가지고 코트의 안쪽 깊숙이 낙하하는 듯한 플라이트.
2) 스매시(Smash) : 높은 위치에서 대단한 스피드로 상대의 코트 면에 예각적으로 일직 선으로 셔틀콕이 돌진하는 듯한 플라이트.
3) 드롭(Drop) : 네트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위치에서 친 셔틀콕이 네트를 넘는 것과 동시에 스피드를 떨어뜨려서 네트를 따라 상대의 코트에 낙하하는 듯한 플라이트.
4) 드라이브(Drive) : 셔틀콕이 네트 위 가장자리의 닿을 듯 말 듯한 높이로 되도록 코 트면에 평행으로 상당한 스피드로 나는 듯한 플라이트.
5) 네트 샷(Net shot) : 네트 가까이에 떨어뜨려진 셔틀콕을 천천히 스피드를 죽여서 다 시 네트 위의 가장자리를 아슬아슬하게 넘는 것과 동시에 네트를 따라 상대의 코트에 낙하하는 듯한 플라이트로써 다음의 두 종류로 나누어진다.
① 헤어핀 샷(Hairpin shot) : 셔틀콕이 네트에 대하여 직각으로 넣는 듯한 플라이트.
② 크로스 네트 샷(Cross net shot) : 셔틀콕이 네트를 비스듬히 넘어서 상대의 사이 드라인 가까이로 낙하하는 듯한 플라이트.
10. 풋 워크
풋 워크는 셔틀콕이 날아오는 지점을 예측하여, 경쾌한 발 이동이 되도록 빨리, 정확한 스트로크를 하기에 가장 좋은 위치에 도달하고, 밸런스가 이루어진 안정된 자세로 준비하여, 타구 후에는 되도록 빨리 홈 포지션(코트 중앙부 수비의 기본위치)로 가는 동작이다. 실제 게임에서는 거의 정지하는 일 없이 상대로부터 반구된 셔틀콕을 따라가서 코트 내를 이동하고 있다. 정위치에서 기본 스트로크가 일단 될 수 있어도 풋 워크가 동반되지 않으면 모처럼의 기본 스트로크의 연습 효과를 발휘할 수가 없고 공연히 상대에게 농락당하는 결과가 되기 쉬우므로 스트로크와 풋워크와는 떠놓을 수 없는 밀접한 관계를 이루고 있다. 풋 워크의 기본적인 스텝은 러닝 스텝, 슬라이드 스텝, 홉 스텝, 피보트로 나눌 수 있다.
② 백핸드 스트로크(Backhand stroke) : 라켓을 쥐고 있는 손과 반대되는 몸쪽에서 셔틀콕을 치는 스트로크.
2) 셔틀콕을 치는 위치의 높이에 따른 분류
① 오버 헤드 스트로크(Overhead stroke) : 셔틀콕을 머리 위 높은 위치에서 치는 스 트로크.
② 사이드 암 스트로크(Side arm stroke) : 셔틀콕을 대강 어깨에서 허리의 높이 정 도 까지의 위치에서 몸 옆에서 치는 스트로크.
③ 언더 핸드 스트로크(Under hand stroke) : 셔틀콕을 낮은 위치에서 윗방향으로 치 는 스트로크.
④ 하이 백핸드 스트로크(High backhand stroke) : 어깨보다 높은 위치에서 치는 백 핸드 스트로크.
⑤ 라운드 더 헤드 스트로크(Round the head stroke) : 오버 헤드 스트로크의 변형으 로 몸의 좌측에서 머리 위에 날아온 셔틀콕을 포핸드로 치는 방법.
9. 플라이트의 분류
플라이트는 셔틀콕이 날아가는 방법이란 뜻이다. 셔틀콕은 그 구조상에서 생기는 독특한 비행성을 가지고 있고 치는 법에 따라 다양하다. 그러나 배드민턴 게임에 보여지는 원칙적인 플라이트 비행코스에 따라 분류하면 대개 다음과 같이 된다.
1) 클리어(Clear) : 셔틀콕이 상대의 백 바운더리 라인 가까이까지 높고 빠르게 포물선 을 그리는 듯한 플라이트로써 다음의 두 가지가 있다.
① 하이 클리어(High clear) : 셔틀콕이 높게 올라가서 백 바운더리 라인에 거의 수직 으로 낙하하는 듯한 플라이트.
② 드리블 클리어(Driven clear) : 상대의 라켓이 적당히 닿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어 느 정도의 스피드를 가지고 코트의 안쪽 깊숙이 낙하하는 듯한 플라이트.
2) 스매시(Smash) : 높은 위치에서 대단한 스피드로 상대의 코트 면에 예각적으로 일직 선으로 셔틀콕이 돌진하는 듯한 플라이트.
3) 드롭(Drop) : 네트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위치에서 친 셔틀콕이 네트를 넘는 것과 동시에 스피드를 떨어뜨려서 네트를 따라 상대의 코트에 낙하하는 듯한 플라이트.
4) 드라이브(Drive) : 셔틀콕이 네트 위 가장자리의 닿을 듯 말 듯한 높이로 되도록 코 트면에 평행으로 상당한 스피드로 나는 듯한 플라이트.
5) 네트 샷(Net shot) : 네트 가까이에 떨어뜨려진 셔틀콕을 천천히 스피드를 죽여서 다 시 네트 위의 가장자리를 아슬아슬하게 넘는 것과 동시에 네트를 따라 상대의 코트에 낙하하는 듯한 플라이트로써 다음의 두 종류로 나누어진다.
① 헤어핀 샷(Hairpin shot) : 셔틀콕이 네트에 대하여 직각으로 넣는 듯한 플라이트.
② 크로스 네트 샷(Cross net shot) : 셔틀콕이 네트를 비스듬히 넘어서 상대의 사이 드라인 가까이로 낙하하는 듯한 플라이트.
10. 풋 워크
풋 워크는 셔틀콕이 날아오는 지점을 예측하여, 경쾌한 발 이동이 되도록 빨리, 정확한 스트로크를 하기에 가장 좋은 위치에 도달하고, 밸런스가 이루어진 안정된 자세로 준비하여, 타구 후에는 되도록 빨리 홈 포지션(코트 중앙부 수비의 기본위치)로 가는 동작이다. 실제 게임에서는 거의 정지하는 일 없이 상대로부터 반구된 셔틀콕을 따라가서 코트 내를 이동하고 있다. 정위치에서 기본 스트로크가 일단 될 수 있어도 풋 워크가 동반되지 않으면 모처럼의 기본 스트로크의 연습 효과를 발휘할 수가 없고 공연히 상대에게 농락당하는 결과가 되기 쉬우므로 스트로크와 풋워크와는 떠놓을 수 없는 밀접한 관계를 이루고 있다. 풋 워크의 기본적인 스텝은 러닝 스텝, 슬라이드 스텝, 홉 스텝, 피보트로 나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