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교회와 주일학교
3. 주일학교 교사의 자격
4. 교사의 역할
5. 기독교 교육과 주일 학교
2. 교회와 주일학교
3. 주일학교 교사의 자격
4. 교사의 역할
5. 기독교 교육과 주일 학교
본문내용
평생 교회를
떠나지 않고 신앙생활을 잘 할 수 있도록 되기만 하면
교사의 일은 다한 것이다.
3) 기독교 신앙의 중계자로서의 교사
4) 배우는 자로서의 교사
5) 종으로서의 교사
참 교사는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교사는
학생들을 위하여 모든 것을 교육하려고 온갖 힘을 다
쏟지만 교사가 학생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은 얼마나
되겠는가 ? 학생들은 태어나면서 부터 배운다.
우리는 그들에게 모든 것을 다 가르칠 수 는 없다.
그러기에 교사는 하나님의 말씀의 종으로서 말씀을
통하여 교육을 수행해 가자.
5. 기독교 교육과 주일 학교
교회 교육은 기독교 교육이다. 기독교의 사명은 "
복음 선포 " 이다. 그러므로 교회교육은 복음을 전달하고
수용하는 기독교 교육의 포괄적인 행위 중에 하나님과
동시에 교회라는 . 거견 공동체를 현장으로 하여
시행하는 특수하고도 구체적인 기독교 교육 행위이다.
교육이란 채워주는 과정으로서의 사상의 계발, 이념의
형성을 꾀하는 것이다. 또한 이끌어내는 과정으로서의 피
교육자의 선천적인 재질과 흥미를 발견하여 활동, 유희,
실험을 통하여 창조적 독자적 생활 방식을 수립하는
것이다.
주일학교의 교육은 " 복음 " 을 살아있는 영적 교훈으로
하여 어린이로 하여금 그리스도의 인격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주일학교 교육은 기독교의 신앙진리와 생활
방식을 이해하며 받아들이고 증거.할 수 있도록 추구하는
것이며 그대로 실천하는 신자로서의 생활을 기대케 하는
것이다. 또한 주일학교의 관심은 피교육자로 하여금
인간이 조물주에 의해서 창조됨과 동시에 그 창조된 높은
문명 속에 돌아가 하나님의 형상인 자신을 완성시켜
가도록 하기 위하여 어린이를 하나님의 사람으로 기르는
것이다.
일본의 어느학교 정문에 " 하나님을 모르는 교육은
고상한 악마를 성장시키는 것이다. " 라고 씌여 있다고
한다.
사실상 인간의 창조와 섭리와 인간의 목적을 모르는 자의
교육은 정상적인 목표에도달할 수 없다.
그렇다.면 어떤한 인간을 형성할 것인가 ?
많은 학자들은 인간을 어떻게 보아야 하며 어떤 인간을
형성할 것인가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있다.
쥴리언 헉슬리는 진화속의 인간을
칼 마르크스는 경제적인 인간을
지그운드 프로이드는 심리학적 인간을
피렌 키엘케골은 실존적 인간을
마르틴 부버는 대화 속의 인간을
라인 홀드니버는 죄인으로서의 인간을 주장하고 있다.
기독교는 삶 그 자체이다. 기독교 교육은 도덕적인
원칙보다 삶의 방법을 제시하며 새로운 삶의 힘을 준다.
기독교교육의 필요성
수없이 방치된 어린이들을 누가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할
것인가 ?
한마리 잃어버린 양을 찾기 위하여 하늘 보좌를 버리시고
낮고 천한 마굿간에 탄생하시고 십자가의 고난을 기뻐
받으시며 인류를 구속하신 그리스도 사망 권세를
깨뜨리시고 부활 승천 하시므로 우리에게 영생과 복락을
선물하신 그리스도를 만나보지 못한 사람은 어느 누구도
이 어린이들을 인도할 수 가 없다. 누가 뭐래도 할 수
없다. 다만 그리스도를 만나고 체험한 그래서 그분으로
부터 부름 받은 교사만이 이 일을 할 수 있다.
떠나지 않고 신앙생활을 잘 할 수 있도록 되기만 하면
교사의 일은 다한 것이다.
3) 기독교 신앙의 중계자로서의 교사
4) 배우는 자로서의 교사
5) 종으로서의 교사
참 교사는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교사는
학생들을 위하여 모든 것을 교육하려고 온갖 힘을 다
쏟지만 교사가 학생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은 얼마나
되겠는가 ? 학생들은 태어나면서 부터 배운다.
우리는 그들에게 모든 것을 다 가르칠 수 는 없다.
그러기에 교사는 하나님의 말씀의 종으로서 말씀을
통하여 교육을 수행해 가자.
5. 기독교 교육과 주일 학교
교회 교육은 기독교 교육이다. 기독교의 사명은 "
복음 선포 " 이다. 그러므로 교회교육은 복음을 전달하고
수용하는 기독교 교육의 포괄적인 행위 중에 하나님과
동시에 교회라는 . 거견 공동체를 현장으로 하여
시행하는 특수하고도 구체적인 기독교 교육 행위이다.
교육이란 채워주는 과정으로서의 사상의 계발, 이념의
형성을 꾀하는 것이다. 또한 이끌어내는 과정으로서의 피
교육자의 선천적인 재질과 흥미를 발견하여 활동, 유희,
실험을 통하여 창조적 독자적 생활 방식을 수립하는
것이다.
주일학교의 교육은 " 복음 " 을 살아있는 영적 교훈으로
하여 어린이로 하여금 그리스도의 인격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주일학교 교육은 기독교의 신앙진리와 생활
방식을 이해하며 받아들이고 증거.할 수 있도록 추구하는
것이며 그대로 실천하는 신자로서의 생활을 기대케 하는
것이다. 또한 주일학교의 관심은 피교육자로 하여금
인간이 조물주에 의해서 창조됨과 동시에 그 창조된 높은
문명 속에 돌아가 하나님의 형상인 자신을 완성시켜
가도록 하기 위하여 어린이를 하나님의 사람으로 기르는
것이다.
일본의 어느학교 정문에 " 하나님을 모르는 교육은
고상한 악마를 성장시키는 것이다. " 라고 씌여 있다고
한다.
사실상 인간의 창조와 섭리와 인간의 목적을 모르는 자의
교육은 정상적인 목표에도달할 수 없다.
그렇다.면 어떤한 인간을 형성할 것인가 ?
많은 학자들은 인간을 어떻게 보아야 하며 어떤 인간을
형성할 것인가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있다.
쥴리언 헉슬리는 진화속의 인간을
칼 마르크스는 경제적인 인간을
지그운드 프로이드는 심리학적 인간을
피렌 키엘케골은 실존적 인간을
마르틴 부버는 대화 속의 인간을
라인 홀드니버는 죄인으로서의 인간을 주장하고 있다.
기독교는 삶 그 자체이다. 기독교 교육은 도덕적인
원칙보다 삶의 방법을 제시하며 새로운 삶의 힘을 준다.
기독교교육의 필요성
수없이 방치된 어린이들을 누가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할
것인가 ?
한마리 잃어버린 양을 찾기 위하여 하늘 보좌를 버리시고
낮고 천한 마굿간에 탄생하시고 십자가의 고난을 기뻐
받으시며 인류를 구속하신 그리스도 사망 권세를
깨뜨리시고 부활 승천 하시므로 우리에게 영생과 복락을
선물하신 그리스도를 만나보지 못한 사람은 어느 누구도
이 어린이들을 인도할 수 가 없다. 누가 뭐래도 할 수
없다. 다만 그리스도를 만나고 체험한 그래서 그분으로
부터 부름 받은 교사만이 이 일을 할 수 있다.
추천자료
[학교안전사고][학교안전교육]학교안전사고의 정의, 학교안전사고의 요인, 학교안전사고의 유...
[학부모참여][학부모학교교육참여]학부모참여(학부모학교교육참여)의 변천과정과 유의점, 학...
[교육문제연구론]우리나라의 현행학교교육과 관련하여 교육본위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논의...
[제7차교육과정][학교교육과정][수준별교육과정][특별활동][재량활동]제7차교육과정 개요, 제...
[제7차교육과정][학교교육과정][재량활동][수준별교육과정][특별활동]제7차교육과정의 학교교...
[학교운영위원회][학교교육][학교경영]학교운영위원회의 역할, 학교운영위원회의 기능, 학교...
[학문중심교육][학교중심교육][인간중심교육][상황중심교육][선택중심교육][경험중심교육]학...
[교육체제][학교교육체제][신교육체제][영재교육체제][사이버교육체제][학습자중심교육체제]...
[소비자교육][학교소비자교육][소비자교육 성격][소비자교육 내용]소비자교육의 정의, 소비자...
[교육과정][학교교육과정][학교교육][공교육]교육과정의 정의, 교육과정의 관점, 교육과정의 ...
[교육과정][학교교육과정][학교교육][교육정책][공교육][교육개혁]교육과정의 개념, 교육과정...
[교육학의 기본이념][교육학의 학교교육이론][교육학과 철학심리학][교육학과 교육원리][교육...
(교육문제연구론)우리나라의현행학교교육과관련하여교육본위의관점에서비판적으로논의하시오-...
학교는 자본주의 경제구조의 재생산도구,평등한 교육기회,학교교육에 대한 비판,학교교육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