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목차
Ⅰ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Ⅱ 앤디워홀의 예술론
1. 시대적 배경
2. 앤디워홀의 예술세계
3. 반복과 복제
Ⅲ 대중매체를 이용한 이미지 차용
1. 앤디워홀의 대중성
2. 앤디 워홀의 이미지 차용방법 및 기법
1) 이미지 차용
① 만화
② 대중스타
③ 상표 및 대량 생산품
④ 죽음과 재난이미지
2) 기법과 양식
① 번지기 선 기법 (Blotted Line)
② 실크스크린 (Silk Screen)
Ⅳ 앤디워홀의 미술사적 의의
Ⅴ 결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Ⅱ 앤디워홀의 예술론
1. 시대적 배경
2. 앤디워홀의 예술세계
3. 반복과 복제
Ⅲ 대중매체를 이용한 이미지 차용
1. 앤디워홀의 대중성
2. 앤디 워홀의 이미지 차용방법 및 기법
1) 이미지 차용
① 만화
② 대중스타
③ 상표 및 대량 생산품
④ 죽음과 재난이미지
2) 기법과 양식
① 번지기 선 기법 (Blotted Line)
② 실크스크린 (Silk Screen)
Ⅳ 앤디워홀의 미술사적 의의
Ⅴ 결론
본문내용
he Bachelors》 New York, Viking Press, 1974.
Andy Warhol, Heckett Pat 공저《Popism,The Warhol Sixties》 New York and London, HBJ book, 1980.
이주영 저 《미국사》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86.
박무성 저 《미국 현대사》 대학문화사, 1985.
Lynn Thorpe, Andy Warhol 공저《Critical Evaluation of His Images and Books》 Phd Dissertation, Cornell University, 1980.
키네스톤 맥샤인 저 《앤디워홀의 회고(Andy Warhol A Retrospestive) 》 현대미술관, 뉴욕, 1989.
강홍구 저《거울을 가진 마술사의 신화, 앤디워홀》 재원, 1995.
Crow Thomas 저《Saturday, Dister, Trace and Reference in Early Warhol》 Art in America, May, 1987.
Klaus Honnef 저 《Andy Warhol, Commerce into Art》Benedict Tasehem, 1993.
Fried Micheal 저 《New York Letter》 Art International, 1962.
강현두 역 《대중시대의 문화와 예술》 홍성사, 1980.
로즈마리 램버트 저, 김창규 역 《20세기의 미술》 예경산업사, 1996.
강 사현, 채백 공저 《대중매체의 이해와 활용》 한나래, 1993.
Ashton Dore 저《American Art Since 1945》 New York, Oxford University, 1982.
저《American Painting,1900 - 1970》 New York, Oxford University, 1982.
저《Twentieth Century Artist on Art》 New York, Pantheon Book, 1985.
Carter Ratcliff 저 《Andy Worhol》New York, Cross River Press, 1983.
Patrick Smith 저 《Andy Warhol's Art and Films》 Michigan, Ann Arbor, UMI Reserch Press, 1986.
Goldburger Clenn 저《We Talk to Warhol》 Mademoiselle, 1987.
Calvin Tomkins 저 《Ragged Andy》 New York, Graphic Society LTD, 1970.
Benjamin H D Buchloh 저 《Andy Warhol's one Dimensinal Art》 The Musenm Art, 1989.
Andy Warhol and Hackett 공저《Popism, The World 60s》 New York Harcout Brace Jovanovich, 1980.
Gene Swenson 저《What is Pop Art?》 Art News, 62, November, 1963.
Marco Livingstone 저 《Pop Art》 New York, H N A brams, 1990.
Robert Rosenblum 저《"Warhol as Art History"》 Andy Warhol, A Retrospective.
Thomas Crow 저《"Early Warhol, The systematic Evaluation of the Impersonal Style "》Art Forum, 8, March,1970.
김 춘일 저《팝 아트 와 현대인》 열화당, 미술문고 36.
2. 논문.
오진경 저 《앤디워홀의 작품속에 나타난 이미지의 반복》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1993.
박형동 저 《앤디워홀의 회화에 나타난 반복적 이미지 특 성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1987.
이홍원 저 《팝 아트 - 시대적측면에서 본 고찰》 동국대학교 석사논문, 1982.
양종석 저 《미국 팝 아트와 매스미디어의 관련성에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1987.
이희원 저 《앤디워홀의 죽음과 재난 연작 연구》 홍익대학교, 1995.
남택문 저 《앤대워홀의 대중적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 석사논문, 1994.
신경순 저 《Andy Warho 예술의 대중매체적 특성에 관한 연구》 영남대하교 석사논문, 1995.
정수연 저 《Andy Warhol의 회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논문, 1992.
이홍원 저 《팝 아트 - 시대적 측면에서 본 고찰》 동국대학교 석사논문, 1982.
정점식 저 《대중문화예술》 예술논문집 제 27 권, 대한민국예술원, 1988.
표승현 저 《팝 아트의 시대적 필연성과 그 전개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논문, 1981.
3. 정기 간행물
박용복 《새로운 속물주의 미학, 앤디워홀》 공간미술, 1984년 10월호.
강태희 《뒤샹의 샘, 현대미술의 신화인가?》 월간미술, 1992년 11월호.
김주영 《현대이미지의 마술사》 가나아트, 1990.
송미숙 《대량소비사회와 대중미술》 계간미술, 1987년 8월호.
강태희 《앤디워홀, 그는 우리에게 무엇을 남겼는가?》 월간미술, 1992년 12월호.
신지영 《해외작가 연구편》 미술세계, 1994년 9월호.
이영철 《위기의 육체와 성》 가나아트, 1992년 10월호.
윤난지 《형태반복의 반복과 의미》 월간미술, 1992.
《현대미술 용어사전》 중앙일보사 출판사, 계간미술 아트북3, 1994.
Ashton Dore 《Blinding with Gold Dust》 Art International, Summer, 1989.
David Bourdon 《Andy Warhol, Harry N Abrams》 INC, New York.
·----------- 《Andy Warhol and the Society Icon》 Art in America, Jaunary, 1975.
Ratcliff Carter 《Master of Modern Paradox》 Art International, Summer, 1989.
Wallis Brian 《Absolute Warhol-Art in America》 March 1989.
Andy Warhol, Heckett Pat 공저《Popism,The Warhol Sixties》 New York and London, HBJ book, 1980.
이주영 저 《미국사》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86.
박무성 저 《미국 현대사》 대학문화사, 1985.
Lynn Thorpe, Andy Warhol 공저《Critical Evaluation of His Images and Books》 Phd Dissertation, Cornell University, 1980.
키네스톤 맥샤인 저 《앤디워홀의 회고(Andy Warhol A Retrospestive) 》 현대미술관, 뉴욕, 1989.
강홍구 저《거울을 가진 마술사의 신화, 앤디워홀》 재원, 1995.
Crow Thomas 저《Saturday, Dister, Trace and Reference in Early Warhol》 Art in America, May, 1987.
Klaus Honnef 저 《Andy Warhol, Commerce into Art》Benedict Tasehem, 1993.
Fried Micheal 저 《New York Letter》 Art International, 1962.
강현두 역 《대중시대의 문화와 예술》 홍성사, 1980.
로즈마리 램버트 저, 김창규 역 《20세기의 미술》 예경산업사, 1996.
강 사현, 채백 공저 《대중매체의 이해와 활용》 한나래, 1993.
Ashton Dore 저《American Art Since 1945》 New York, Oxford University, 1982.
저《American Painting,1900 - 1970》 New York, Oxford University, 1982.
저《Twentieth Century Artist on Art》 New York, Pantheon Book, 1985.
Carter Ratcliff 저 《Andy Worhol》New York, Cross River Press, 1983.
Patrick Smith 저 《Andy Warhol's Art and Films》 Michigan, Ann Arbor, UMI Reserch Press, 1986.
Goldburger Clenn 저《We Talk to Warhol》 Mademoiselle, 1987.
Calvin Tomkins 저 《Ragged Andy》 New York, Graphic Society LTD, 1970.
Benjamin H D Buchloh 저 《Andy Warhol's one Dimensinal Art》 The Musenm Art, 1989.
Andy Warhol and Hackett 공저《Popism, The World 60s》 New York Harcout Brace Jovanovich, 1980.
Gene Swenson 저《What is Pop Art?》 Art News, 62, November, 1963.
Marco Livingstone 저 《Pop Art》 New York, H N A brams, 1990.
Robert Rosenblum 저《"Warhol as Art History"》 Andy Warhol, A Retrospective.
Thomas Crow 저《"Early Warhol, The systematic Evaluation of the Impersonal Style "》Art Forum, 8, March,1970.
김 춘일 저《팝 아트 와 현대인》 열화당, 미술문고 36.
2. 논문.
오진경 저 《앤디워홀의 작품속에 나타난 이미지의 반복》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1993.
박형동 저 《앤디워홀의 회화에 나타난 반복적 이미지 특 성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1987.
이홍원 저 《팝 아트 - 시대적측면에서 본 고찰》 동국대학교 석사논문, 1982.
양종석 저 《미국 팝 아트와 매스미디어의 관련성에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1987.
이희원 저 《앤디워홀의 죽음과 재난 연작 연구》 홍익대학교, 1995.
남택문 저 《앤대워홀의 대중적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 석사논문, 1994.
신경순 저 《Andy Warho 예술의 대중매체적 특성에 관한 연구》 영남대하교 석사논문, 1995.
정수연 저 《Andy Warhol의 회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논문, 1992.
이홍원 저 《팝 아트 - 시대적 측면에서 본 고찰》 동국대학교 석사논문, 1982.
정점식 저 《대중문화예술》 예술논문집 제 27 권, 대한민국예술원, 1988.
표승현 저 《팝 아트의 시대적 필연성과 그 전개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논문, 1981.
3. 정기 간행물
박용복 《새로운 속물주의 미학, 앤디워홀》 공간미술, 1984년 10월호.
강태희 《뒤샹의 샘, 현대미술의 신화인가?》 월간미술, 1992년 11월호.
김주영 《현대이미지의 마술사》 가나아트, 1990.
송미숙 《대량소비사회와 대중미술》 계간미술, 1987년 8월호.
강태희 《앤디워홀, 그는 우리에게 무엇을 남겼는가?》 월간미술, 1992년 12월호.
신지영 《해외작가 연구편》 미술세계, 1994년 9월호.
이영철 《위기의 육체와 성》 가나아트, 1992년 10월호.
윤난지 《형태반복의 반복과 의미》 월간미술, 1992.
《현대미술 용어사전》 중앙일보사 출판사, 계간미술 아트북3, 1994.
Ashton Dore 《Blinding with Gold Dust》 Art International, Summer, 1989.
David Bourdon 《Andy Warhol, Harry N Abrams》 INC, New York.
·----------- 《Andy Warhol and the Society Icon》 Art in America, Jaunary, 1975.
Ratcliff Carter 《Master of Modern Paradox》 Art International, Summer, 1989.
Wallis Brian 《Absolute Warhol-Art in America》 March 1989.
추천자료
대중매체 속에서의 성차별
대중매체가 청소년 소비문화에 미친 영향
대중매체와 사회를 읽고나서
대중매체의 특성과 사례-우리나라여성은 성형미인이다?
대중매체의 이해 잡지
대중매체의 영향력에 대한 나의생각
대중매체와 교육
대중매체와 성 -상품광고의 남성을 중심으로
대중매체에 대해서 (음란물 중심으로)
대중매체와 바람직한 청년문화
대중매체에 나타난 여성의 이미지
대중매체, TV, 컴퓨터 전자기기가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ppt
대중매체(TV와 컴퓨터)가 아동발달(아동기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해결방안
대중매체가 아동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선행연구, 연구방법 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