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매체와 성 -상품광고의 남성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중매체와 성 -상품광고의 남성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 론

Ⅱ 본 론

1. 텔레비전과 광고

2. 텔레비전 광고 속의 남성이미지

Ⅲ 결 론

본문내용

고에서는 남성이 자상한 아버지로, 남편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외모는 여성의 관심분야라는 고정관념에서 탈피하여 남성의 준수한 외모에 더 호감을 표시하여 남성도 외모를 가꾸고 중시할 필요가 있다는 새로운 가치를 생산한다. 현대사회에서 가정의 역할이 중요시되자 남성이 가정에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하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지는 것도 광고가 제시하는 남성이미지의 한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 광고는 우리 사회의 가치를 생성하고 각 사회집단의 모습을 특정적으로 묘사하고 어떤 아이디어를 전파한다. 광고는 또한 사회 각 집단의 모습을 반영하여 대표적 이미지를 보여준다. 이렇게 봤을 때 우리는 공고에서 남서의 이미지가 어떻게 묘사되고 어떤 가치를 전파하는지에 대해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광고에 반영되는 남성의 모습이 얼마나 정확하고 현실에 대해 대표성을 띠는지를 검증해야 한다. 광고는 남성다움이란 이데올로기를 생산하여 남성우위의 가치를 전파해 왔고 그러한 남성의 이상적인 모습을 상징화하였다. 이로써 광고는 현실의 남성상을 왜곡시킬 뿐만 아니라 수용자들이 의식적으로 인식하지 않는 편집, 카메라 앵글, 의상 및 음향효과 등을 이용하여 과장된 남성이미지를 상식적인 것으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한다. 남성의 과장된 이미지는 남성과 여성의 관계를 왜곡시킬 뿐만 아니라 남성상에 대한 현실과 이상의 괴리로 남성에게 무거운 짐과 콤플렉스만을 안겨주었다.
※참고문헌
박정순, 김훈순 1997 ,『대중매체와 성의 상징질서』나남
여성을 위한 모임 (1994 ~ 1995)
1996 ,『대중매체의 여성차별지표개발』 한국여성개발원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2.16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56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