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형성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적 반사

2.로프와 그 동료 개들

3.과정

4.적 조건형성

5.결과

6.화된 조건형성 설비

7.과정

8.계획

9. 강화와 부적 강화

10.강화와 회피행동

11.인 처벌의 예

12.성 연구의 새로운 방향

본문내용

이다. 그런데 여기서 강화는 그 사람이 받은 것이지 관찰자가 받은 것은 아니다. 주장적으로 흥정했기 때문에 좋은 차를 구입하게 되었고(강화) 관찰자는 간접적으로 강화받은 것이다.
<그림 8.21> 관찰학습. 관찰학습하기 위해서 관찰자는 모델 행동의 정신적 표상과 그 결과를 주의하고 저장해야 한다. 모델의 행동결과가 강화적이었다면 관찰자가 그 행동을 할 경향은 증가한다.
기본 과정
Bandura는 관찰학습의 과정을 네가지로 구분하였다.
처음 두과정은 학습에 있어서 인지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첫째, 주의과정으로 관찰자는 모델의 행동과 그 결과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둘째, 파지과정으로 관찰한 반응을 몇주 또는 몇 달 동안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관찰자는 그 내용을 정신적 표상으로 저장해야 한다.
셋째, 재생산 과정으로 관찰한 모델의 행동을 자신이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이 과정은 저장한 정신적 표상을 외현적인 행동으로 변환시키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는 관찰자의 능력이 다분히 요구되기 때문에 관찰했다고 해서 모든 행동을 자신이 실행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마이클 조던이 농구하는 모습을 관찰했다고 해서 마이클 조던처럼 멋진 덩크슛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넷째, 동기화 과정으로 동기화되지 않으면 관찰한 반응을 재생할 수 없다. 이러한 동기화 과정은 관찰자가 관찰한 행동을 할 때 얻을 수 있는 이득에 따라 다르다. 관찰학습은 복잡한 인간 행동을 설명하는데 아주 유용하다. 그러나 인간만 관찰을 통해 학습하는 것은 아니다.
획득과 수행
Bandura는 상황에 따라서 학습한 행동을 수행할 수도 있고 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관찰하였다. 그래서 그는 반응의 획득과 수행을 구분하였다.
그는 강화는 반응획득보다는 반응수행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고 주장하였다. 즉 사람들은 강화받을 가능성이 높은 행동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교수는 공정하게 시험문제를 출제한다고 기대하면 공부를 열심히 하겠지만 부당한 시험문제를 출제한다고 생각하면 공부하지 않거나 아예 책을 펴지도 않을 것이다. 그렇게 되면 높은 점수(강화)를 받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는 수반강화가 다르기 때문에 전혀 다른 행동이 나타나는 예이다.
이처럼 Bandura는 Skinner와 마찬가지로 강화가 행동의 주요 결정인이라고 생각하였으나, 그는 강화가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더 강조하였다.
응용
Bandura의 관찰학습 이론은 여러 인간행동을 설명하는데 유용하다.
예컨대, 부모가 아동을 체벌한 결과 공격행동이 증가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부모들은 자녀가 다른 아이를 때릴 때에도 체벌을 한다. 이런 체벌은 아이의 공격행동을 감소시키려는 의도에서 비롯된 행동이지만 은연중에 부모는 공격행동의 모델이 될 수 있다. 부모가 자신의 아이를 때려서 공격행동이 멈춰진다면 이를 관찰하고 있는 아동은 공격행동이 강화받는 것을 관찰하는 셈이다. 이런 경우 아동의 공격행동은 증가한다.
TV가 인간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관찰학습 때문이다.
TV의 영향력은 아동이 어릴수록 더 크고, 아동들은 TV 모델로부터 많은 반응을 모방한다(Huston & Wright, 1982).
이러한 사실 때문에 TV에 방영되고 있는 공격행동에 대해서 많은 논쟁이 있었다.
TV 폭력과 공격은 분명한 관계가 있고 관찰학습은 고전적 및 조작적 조건형성 외에 또 다른 제3의 학습유형이다.
침팬지의 통찰학습을 보여주는 예: 작은 막대기로 긴 막대기를 꺼내고, 결국 사과를 꺼낸다.
원숭이와 사람이 의사소통을 하다
통찰하는 침팬지
주요개념 강화(reinforcement)
강화계획(schedule of reinforcement)
고전적 조건형성(classical conditioning)
고정간격 강화계획(fixed-interval schedule, FI)
고정비율 강화계획(fixed-ratio schedule, FR)
고차 조건형성(higer-order conditioning)
공포증(phobias)
관찰학습(observational learning)
누가기록기(cumulative recorder)
도구적 조건형성(instrumental learning)
도피학습(escape learning)
무조건반응(unconditioned response, UCR)
무조건자극(unconditioned stimulus, UCS)
방출된 반응(emitted response)
변동간격 계획(variate-interval schedule, VI)
변동비율 계획(variate-ratio schedule, VR)
변별자극(discriminate stimuli)
본능적 표류(instinctive drift)
부분강화(partial reinforcement)
부적 강화(negative reinforcement)
소거(extinction) 소거에 대한 저항(resistance to extinction)
수반강화(reinforcement contingency)
스키너 상자(Skinner box)
시행(trial)
연속강화(continuous reinforcement)
유도된 반응(elicited response)
이차 강화물(secondary reinforcer)
일차 강화(primary reinforcement)
자발적 회복(spontaneous recovery)
정적 강화(positive reinforcement)
조건반응(conditioned response, CS)
조건자극(conditioned stimulus, CS)
조건화된 강화물(conditioned reinforcer)
조성(shaping)
차단(blocking)
처벌(punishment)
프로그램 학습(programmed learning)
학습(learning)
회피학습(avoidance learning)
획득(acquisition)
효과의 법칙(law of effect)
http://www-3.knu.ac.kr/intro_psy/p8_learning.html#고전적%20조건형성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02.11.08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10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