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문체론의 전개
1. 고유어의 活用
2. 시적 서정성의 문장
3. 시점의 美學
4. 문장의 간결성과 객관적 서술
Ⅲ. 결 론
참고문헌
Ⅱ. 문체론의 전개
1. 고유어의 活用
2. 시적 서정성의 문장
3. 시점의 美學
4. 문장의 간결성과 객관적 서술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 특징을 몇 가지로 나누어 고찰하였는데, 결과적으로 황순원 소설의 문체적 특징은 작가 황순원이 문장에 대하는 태도에서 엿볼 수 있었다. 즉 그는 문장을 지나치리만큼 꼼꼼하게 다듬었으며, 기존 문장의 형태에서 탈피하여 창조적인 문장을 개발하여 사용하려고 노력한 작가임이 드러났다.
◇ 참고문헌
1. 기본자료
황순원, 『황순원 전집』1∼10, 문학과 지성사, 1985.
2. 단행본
권영민, 『소설과 운명의 언어』, 현대소설사, 1992.
김윤식, 김 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1973.
김상태, 『문체의 이론과 해석』, 새문사, 1982.
, 『언어와 문학세계』, 이우출판사, 1989.
김욱동, 『대화적 상상력』, 문학과 지성사, 1988.
김정자, 『한국근대소설의 문체론적 연구』, 삼지원, 1985.
오생근외, 『황순원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85.
이인모, 『문체론』, 이우출판사, 1980,
이재선, 『한국현대소설사』, 홍성사, 1982.
황순원외, 『말과 삶과 자유』, 문학과 지성사, 1985.
한국소설학회편, 『현대소설 시점의 시학』, 새문사, 1996.
Victor Erlich, "Russian Formalism : History, Doctrine", 박거용 역, 『러시아 형식주의-역사와 이론』, 문학과 지성사, 1983.
Franz K. Stanzel, "Theorie des Erzahlens", 김정신 역, 『소설의 이론』, 탑출판사, 1990.
3. 논문·기타
권영민, 「일상적 경험과 소설의 수법」, 『전집 4권』, 문학과 지성사, 1982.
, 「황순원의 문체, 그 소설적 미학」, 『말과 삶과 자유』, 문학과 지성사. 1985.
김 현, 「안과 밖의 변증법」, 『전집 1권』, 문학과 지성사, 1980.
, 「계단만으로 된 집」, 『말과 삶과 자유』, 문학과 지성사. 1985.
, 「소박한 수락」, 『황순원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85.
김치수, 「소설의 사회성과 서정성」, 『말과 삶과 자유』, 문학과 지성사, 1985.
, 「소설의 조직성」, 『전집 10권』, 문학과 지성사, 1982.
, 「외로움과 그 극복의 문제」, 『황순원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85.
김병익, 「순수문학과 그 역사성」, 『황순원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85.
김상태, 「한국현대소설의 문체변화」, 『말과 삶과 자유』, 문학과 지성사. 1985.
박해경, 「황순원 소설의 미학」,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973.
박선미, 「황순원의 문체 연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986.
성민엽, 「존재론적 고독의 성찰」, 『전집 8권』, 문학과 지성사, 1983.
유종호, 「겨레의 기억」, 『전집 2권』, 문학과 지성사, 1986.
이보영, 「황순원의 세계」, 『황순원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85.
이태동, 「실존적 현실과 미학적 현현」, 『황순원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85.
임종수, 「이효석 소설의 문체 고찰」, 『삼척대학교 논문집 29집』, 1996.
, 「김동인 소설의 문체 고찰」, 『삼척대학교 논문집 30집』, 1997.
이호숙, 「황순원 소설의 서술시점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987.
이현주, 「황순원 단편소설에 나타난 서술 양상 연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993.
조남현, 「'나무들 비탈에 서다'의 외연과 내포」, 『황순원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85.
장현숙, 「황순원, '민족 현실과 이상과의 괴리'」, 『황순원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85.
정과리, 「사랑으로 감싸는 의식의 외로움」, 『전집 5권』, 문학과 지성사, 1976.
, 「현실의 구조화」, 『말과 삶과 자유』, 문학과 지성사, 1985.
진형준, 「모성으로 감싸기, 그에 안기기」, 『황순원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85.
장현숙, 「황순원 작품 연구」, 경희대 박사학위논문, 1994.
조기원, 「현대단편소설의 문체론적 연구」, 고려대 교육학 석사학위논문, 1982.
천이두, 「황순원의 문학」, 『신한국문학전집14』, 어문각, 1974.
, 「종합에의 의지」, 『황순원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85.
최옥남, 「황순원 소설의 기법 연구」, 서울대 교육학 석사학위논문, 1986.
홍정선, 「이야기의 소설화와 소설의 이야기화」, 『말과 삶과 자유』, 문학과 지성사, 1985.
황순원, 「'그'와 '그네'」, 『황순원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85.
한효연, 「황순원 작품의 문체론적 연구」, 고려대 교육학 석사학위논문, 1991.
A study on the Style of Hwang Soon Won's novels
Lim, Jong-soo
Hwang Soon Won has been regarded as a writer who is seeking for mainly technical accomplishment rather than ideology and thoughts, and describing mostly the character's inside view.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ing wholy such stylistic of hwang Soon Won' works thought analyzing style.
First, in individual words especially traditional at words and net created words are appeared frequently.
Second, in figure of speech, I considered the aspect of trops and its aesthetic effect.
Third, in point of view and narrater, these novels show the character's internal life which the characters meditate deeply to look for their selves.
Forth, in cohesion and context, I considered the aspect of the free indirect speech.
◇ 참고문헌
1. 기본자료
황순원, 『황순원 전집』1∼10, 문학과 지성사, 1985.
2. 단행본
권영민, 『소설과 운명의 언어』, 현대소설사, 1992.
김윤식, 김 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1973.
김상태, 『문체의 이론과 해석』, 새문사, 1982.
, 『언어와 문학세계』, 이우출판사, 1989.
김욱동, 『대화적 상상력』, 문학과 지성사, 1988.
김정자, 『한국근대소설의 문체론적 연구』, 삼지원, 1985.
오생근외, 『황순원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85.
이인모, 『문체론』, 이우출판사, 1980,
이재선, 『한국현대소설사』, 홍성사, 1982.
황순원외, 『말과 삶과 자유』, 문학과 지성사, 1985.
한국소설학회편, 『현대소설 시점의 시학』, 새문사, 1996.
Victor Erlich, "Russian Formalism : History, Doctrine", 박거용 역, 『러시아 형식주의-역사와 이론』, 문학과 지성사, 1983.
Franz K. Stanzel, "Theorie des Erzahlens", 김정신 역, 『소설의 이론』, 탑출판사, 1990.
3. 논문·기타
권영민, 「일상적 경험과 소설의 수법」, 『전집 4권』, 문학과 지성사, 1982.
, 「황순원의 문체, 그 소설적 미학」, 『말과 삶과 자유』, 문학과 지성사. 1985.
김 현, 「안과 밖의 변증법」, 『전집 1권』, 문학과 지성사, 1980.
, 「계단만으로 된 집」, 『말과 삶과 자유』, 문학과 지성사. 1985.
, 「소박한 수락」, 『황순원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85.
김치수, 「소설의 사회성과 서정성」, 『말과 삶과 자유』, 문학과 지성사, 1985.
, 「소설의 조직성」, 『전집 10권』, 문학과 지성사, 1982.
, 「외로움과 그 극복의 문제」, 『황순원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85.
김병익, 「순수문학과 그 역사성」, 『황순원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85.
김상태, 「한국현대소설의 문체변화」, 『말과 삶과 자유』, 문학과 지성사. 1985.
박해경, 「황순원 소설의 미학」,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973.
박선미, 「황순원의 문체 연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986.
성민엽, 「존재론적 고독의 성찰」, 『전집 8권』, 문학과 지성사, 1983.
유종호, 「겨레의 기억」, 『전집 2권』, 문학과 지성사, 1986.
이보영, 「황순원의 세계」, 『황순원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85.
이태동, 「실존적 현실과 미학적 현현」, 『황순원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85.
임종수, 「이효석 소설의 문체 고찰」, 『삼척대학교 논문집 29집』, 1996.
, 「김동인 소설의 문체 고찰」, 『삼척대학교 논문집 30집』, 1997.
이호숙, 「황순원 소설의 서술시점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987.
이현주, 「황순원 단편소설에 나타난 서술 양상 연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993.
조남현, 「'나무들 비탈에 서다'의 외연과 내포」, 『황순원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85.
장현숙, 「황순원, '민족 현실과 이상과의 괴리'」, 『황순원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85.
정과리, 「사랑으로 감싸는 의식의 외로움」, 『전집 5권』, 문학과 지성사, 1976.
, 「현실의 구조화」, 『말과 삶과 자유』, 문학과 지성사, 1985.
진형준, 「모성으로 감싸기, 그에 안기기」, 『황순원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85.
장현숙, 「황순원 작품 연구」, 경희대 박사학위논문, 1994.
조기원, 「현대단편소설의 문체론적 연구」, 고려대 교육학 석사학위논문, 1982.
천이두, 「황순원의 문학」, 『신한국문학전집14』, 어문각, 1974.
, 「종합에의 의지」, 『황순원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85.
최옥남, 「황순원 소설의 기법 연구」, 서울대 교육학 석사학위논문, 1986.
홍정선, 「이야기의 소설화와 소설의 이야기화」, 『말과 삶과 자유』, 문학과 지성사, 1985.
황순원, 「'그'와 '그네'」, 『황순원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85.
한효연, 「황순원 작품의 문체론적 연구」, 고려대 교육학 석사학위논문, 1991.
A study on the Style of Hwang Soon Won's novels
Lim, Jong-soo
Hwang Soon Won has been regarded as a writer who is seeking for mainly technical accomplishment rather than ideology and thoughts, and describing mostly the character's inside view.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ing wholy such stylistic of hwang Soon Won' works thought analyzing style.
First, in individual words especially traditional at words and net created words are appeared frequently.
Second, in figure of speech, I considered the aspect of trops and its aesthetic effect.
Third, in point of view and narrater, these novels show the character's internal life which the characters meditate deeply to look for their selves.
Forth, in cohesion and context, I considered the aspect of the free indirect spee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