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감정: 뿌리깊은 집단 이기주의 - 발생원인과 문제점 규명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들어가며

II. 지역감정의 본질

III. 한국사회안의 지역감정 실태

IV. 지역감정의 뿌리

V. 해소방안 및 전망

VI. 결론

본문내용

잠시 초등학교 저학년 시절 충남 보령에 있는 할머니 댁에서 살았을 때의 경험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학교 뒤 담벼락이나 마을 어귀에는 ‘신민주 공화당’이었나 잘 생각나진 않지만 김종필 총재가 집권하던 당에서 나온 후보의 포스터가 도배되어 있었고, 선거가 끝나면 으레 그 쪽이 당선되곤 했다. 내가 제법 성장했을 때도 예외는 아니어서 후보가 누가 나오던지 돌멩이가 나오던 7살 짜리 꼬마가 나오던 항상 자민련 후보가 당선되었다. 제법 성장한 후에 보게 된 선거에서도 충남북 가릴 것 없이 결과는 모두 초록색으로 통일 되어 있었다. 누가 그렇게 하라고 투표장 앞에서 시킨 것도 아닐 텐데 말이다. 그리고 우리 할머니를 비롯하여 어머니, 큰 아버지, 사돈의 팔촌 가릴 것 없이 죄다 전라도, 전라도 사람을 은근히 싫어 했다. 외가는 전북과 매우 근접해 있어서 말투며, 말의 속도가 전라도 지역 사람들이 쓰는 그것과 닮은 점이 있었는데도 말이다. 어릴 땐 사실 뭐가 뭔지 몰랐지만 지금 생각해 보면 참으로 웃기는 노릇이다.
위는 나의 경험을 토대로 한 것이었고, 좀 주관적인 경험이라고도 할 수 있지만 보통 사람이라면 어느 정도 차이는 있을지라도 다들 경험한 바가 있을 것이다. 우선은 지역감정이란 존재가 대체 무엇인지 살펴 보기로 한다. 지역감정을 지칭하는 다른 말들로 지역 패권주의(남영신, 지역패권주의 연구, 1992), 지역 갈등 등이 있지만, 갈등보다 증폭된 개념인 감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겠다. 감정은 이성과 대칭되는 위치에 있으며 흥분과 충동의 덩어리로 볼 수 있다. 그럼으로 지역감정이 실질 정치나 정책집행에 있어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면 비이성적인 결정을 내리는 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지역감정이 실제 정치에 ‘시민의 의사를 반영하여’ 나타난 것은 ’87년 대선 때부터 이다. 이후, ’88년의 총선과 ‘91년의 지방의회선거, 올해의 8.8 재보궐 선거에 이르기까지 강약에 차이는 있지만 지역감정이 정당과 후보자를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쳤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2.11.09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2112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