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인본주의 이론
1. 배 경
2. 심리학에서의 인본의 혁명
Ⅱ. Maslow 의 인간동기론
1. 매슬로우의 인간의 욕구계층 이론
2. 자아실현에 대한 이해
3. 자기 실현자들의 특징
4. 자기 실현에 이르게 하는 행동
Ⅲ. Rogers 인간중심치료
1. 이론적 입장
2. 치료적 과정
3. 치료자의 태도
4. 평 가
Ⅳ. 인본주의 이론정리 및 사례
1. 배 경
2. 심리학에서의 인본의 혁명
Ⅱ. Maslow 의 인간동기론
1. 매슬로우의 인간의 욕구계층 이론
2. 자아실현에 대한 이해
3. 자기 실현자들의 특징
4. 자기 실현에 이르게 하는 행동
Ⅲ. Rogers 인간중심치료
1. 이론적 입장
2. 치료적 과정
3. 치료자의 태도
4. 평 가
Ⅳ. 인본주의 이론정리 및 사례
본문내용
이란 깊은 집중(full concentration)과 전념(total absorption)을 통해 완전하고, 생생하며, 사심없이 경험하는 것을 의미한다.
2. 人生을 일련의 선택들의 과정이라고 보았을 때, 각 기점에서 성장을 위한 선택(the growth choice)을 하는 것이다.
3. 자기 내면의 목소리에 귀기울이는 것이다.
4. 정직하고 책임을 지는 것이다.
5. 자신의 판단과 직관을 믿는 것이다.
6. 자기실현은 목표이기도 하나, 매순간 잠재력을 실현하는 부단한 과정이기도 하다.
7. 절정체험(peak experience)은 자기실현의 일시적 순간이다.
8. 방어기제를 파악하게 되므로 이를 버릴 용기를 얻게 된다.
Maslow의 연구는 아직 자기실현자와 초월적 자기실현자(transcending self-actualizers)를 명확히 구분하지 않고 있었다. 그의 이러한 미완의 연구는 그의 사후에 많은 초개아超個我적 사상가들에 의해 계승·발전되어 점차 세련되고 정교한 이론으로 체계화된다.
⊙ 자기실현적 인간들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한, Maslow의 '욕구의 계층이론(the Hierarchy of Needs)'
<성장욕구(growth-needs/meta-needs)>
6. 초개아超個我적 욕구(transpersonal needs)
5. 자기실현의 욕구(self-actualization needs)
<결핍욕구(deficiency-needs)>
4. 자기평가의 욕구(self-esteem needs)
3. 소속과 사랑의 욕구(needs for belongingness and love)
2. 안전의 욕구(safety needs)
1. 생리적 욕구(physiological needs)
◈참고 문헌
Thompson & Rudolph 공저 김영숙·이재연 역(1995), 아동을 위한 상담이론과 방법, 교육과학사.
William C. Crain저 서봉연 역(1994), 발달의 이론, 중앙적성출판사
이정덕(1995), 아동발달학, 수학사
이재연·김경희 공저(1997), 부모교육, 양서원
조대경 외(1999), 정신위생, 중앙적성출판사.
김광웅(1993), 유아생활지도, 교육과학사.
유안진(1994), 유아교육론, 창지사.
이재연·이옥 공저(1995), 아동 문제, 교육과학사.
◈참고 사이트
http://prome.snu.ac.kr/~instps/instps/ps/k_4_1_41-48.html
http://pakebi.pe.kr/politics/sketch/333.html
http://www.chejuline.co.kr/canaan/sul/sul28.htm
http://pro-web.suwon-c.ac.kr/~inchi/15.html
http://saved.pe.kr/quest13.htm
http://myhome.shinbiro.com/~KKI507/lon26.html
http://www.babo.pe.kr/kinds/human2-3.htm
http://exfile.co.kr/ptk05113.html
http://pro-web.suwon-c.ac.kr/~inchi/인본주의이론.htm
http://cmp.ajou.ac.kr/about/ajou.html
http://www.elim.net/~wonsul/chijh.htm
http://www.babo.pe.kr/kinds/human2-3.htm
http://pro-web.suwon-c.ac.kr/~inchi/16.html
http://simon.hoseo.ac.kr/notes_bb2040/role2/tsld009.htm
http://hyomin.dongeui.ac.kr/~philips/dic/dic2.htm
http://transpersonal.pe.kr/sub3/index3.html
http://simon.hoseo.ac.kr/stdwebppa/일등이조/이현진3.htm
http://simon.hoseo.ac.kr/notes_bb2040/role2/index.htm
http://members.tripod.co.kr/ysfc/rogers.html
http://user.netpark.co.kr/~samac/counselling_psychotherapy_2_1.htm
http://yongwoo.co.kr/chp2/w-2-3-3.htm
http://sanno.co.kr/html/data/needs1.htm
http://members.tripod.co.kr/changdj2/page2/report10.htm
http://transpersonal.pe.kr/sub2/index1.html
http://simon.hoseo.ac.kr/notes_bb2040/role2/tsld008.htm
http://garamp.chc.ac.kr/교직원/용홍출/major/자아초월/역사.htm
http://myhome.shinbiro.com/~KKI507/jun01.html
http://www.pusan-e.ac.kr/won/term1/인간발달1.htm
http://www.ksa.or.kr/CourseBook/doc/wmmb/wmmb0204-009.html
http://www.sinra.co.kr/home/ganho/index.html
http://members.tripod.co.kr/goto777/doc3/gaeyo2.htm
http://members.tripod.co.kr/balha99/menu/tourism/Maslow/Maslow.html
http://www.keriss.re.kr/~jin/ET/교육방법 서론1.htm
http://xxx.snu.ac.kr/abs/patt-sol/9510003
http://www.elim.net/~wonsul/chijh.htm
http://pakebi.pe.kr/politics/sketch/333.html
http://yongwoo.co.kr/chp11/11-2-1.htm
http://www.yj.co.kr/member/html/uni-2-3-7-2-5.htm
http://venus.kangnam.ac.kr/~hni/MA5/tsld018.htm
http://www.dongnam.ac.kr/part/part16_1.html
2. 人生을 일련의 선택들의 과정이라고 보았을 때, 각 기점에서 성장을 위한 선택(the growth choice)을 하는 것이다.
3. 자기 내면의 목소리에 귀기울이는 것이다.
4. 정직하고 책임을 지는 것이다.
5. 자신의 판단과 직관을 믿는 것이다.
6. 자기실현은 목표이기도 하나, 매순간 잠재력을 실현하는 부단한 과정이기도 하다.
7. 절정체험(peak experience)은 자기실현의 일시적 순간이다.
8. 방어기제를 파악하게 되므로 이를 버릴 용기를 얻게 된다.
Maslow의 연구는 아직 자기실현자와 초월적 자기실현자(transcending self-actualizers)를 명확히 구분하지 않고 있었다. 그의 이러한 미완의 연구는 그의 사후에 많은 초개아超個我적 사상가들에 의해 계승·발전되어 점차 세련되고 정교한 이론으로 체계화된다.
⊙ 자기실현적 인간들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한, Maslow의 '욕구의 계층이론(the Hierarchy of Needs)'
<성장욕구(growth-needs/meta-needs)>
6. 초개아超個我적 욕구(transpersonal needs)
5. 자기실현의 욕구(self-actualization needs)
<결핍욕구(deficiency-needs)>
4. 자기평가의 욕구(self-esteem needs)
3. 소속과 사랑의 욕구(needs for belongingness and love)
2. 안전의 욕구(safety needs)
1. 생리적 욕구(physiological needs)
◈참고 문헌
Thompson & Rudolph 공저 김영숙·이재연 역(1995), 아동을 위한 상담이론과 방법, 교육과학사.
William C. Crain저 서봉연 역(1994), 발달의 이론, 중앙적성출판사
이정덕(1995), 아동발달학, 수학사
이재연·김경희 공저(1997), 부모교육, 양서원
조대경 외(1999), 정신위생, 중앙적성출판사.
김광웅(1993), 유아생활지도, 교육과학사.
유안진(1994), 유아교육론, 창지사.
이재연·이옥 공저(1995), 아동 문제, 교육과학사.
◈참고 사이트
http://prome.snu.ac.kr/~instps/instps/ps/k_4_1_41-48.html
http://pakebi.pe.kr/politics/sketch/333.html
http://www.chejuline.co.kr/canaan/sul/sul28.htm
http://pro-web.suwon-c.ac.kr/~inchi/15.html
http://saved.pe.kr/quest13.htm
http://myhome.shinbiro.com/~KKI507/lon26.html
http://www.babo.pe.kr/kinds/human2-3.htm
http://exfile.co.kr/ptk05113.html
http://pro-web.suwon-c.ac.kr/~inchi/인본주의이론.htm
http://cmp.ajou.ac.kr/about/ajou.html
http://www.elim.net/~wonsul/chijh.htm
http://www.babo.pe.kr/kinds/human2-3.htm
http://pro-web.suwon-c.ac.kr/~inchi/16.html
http://simon.hoseo.ac.kr/notes_bb2040/role2/tsld009.htm
http://hyomin.dongeui.ac.kr/~philips/dic/dic2.htm
http://transpersonal.pe.kr/sub3/index3.html
http://simon.hoseo.ac.kr/stdwebppa/일등이조/이현진3.htm
http://simon.hoseo.ac.kr/notes_bb2040/role2/index.htm
http://members.tripod.co.kr/ysfc/rogers.html
http://user.netpark.co.kr/~samac/counselling_psychotherapy_2_1.htm
http://yongwoo.co.kr/chp2/w-2-3-3.htm
http://sanno.co.kr/html/data/needs1.htm
http://members.tripod.co.kr/changdj2/page2/report10.htm
http://transpersonal.pe.kr/sub2/index1.html
http://simon.hoseo.ac.kr/notes_bb2040/role2/tsld008.htm
http://garamp.chc.ac.kr/교직원/용홍출/major/자아초월/역사.htm
http://myhome.shinbiro.com/~KKI507/jun01.html
http://www.pusan-e.ac.kr/won/term1/인간발달1.htm
http://www.ksa.or.kr/CourseBook/doc/wmmb/wmmb0204-009.html
http://www.sinra.co.kr/home/ganho/index.html
http://members.tripod.co.kr/goto777/doc3/gaeyo2.htm
http://members.tripod.co.kr/balha99/menu/tourism/Maslow/Maslow.html
http://www.keriss.re.kr/~jin/ET/교육방법 서론1.htm
http://xxx.snu.ac.kr/abs/patt-sol/9510003
http://www.elim.net/~wonsul/chijh.htm
http://pakebi.pe.kr/politics/sketch/333.html
http://yongwoo.co.kr/chp11/11-2-1.htm
http://www.yj.co.kr/member/html/uni-2-3-7-2-5.htm
http://venus.kangnam.ac.kr/~hni/MA5/tsld018.htm
http://www.dongnam.ac.kr/part/part16_1.html
추천자료
(로저스의 인간중심이론) 로저스의 인간중심이론에 관한 고찰
가족복지론, 구조기능주의, 체계이론, 해결중심가족치료, 사례
인간중심상담에서 말하는 성격 변화의 필요, 충분조건- 로저스의 인간중심 이론
[교과중심교육과정][선택중심교육과정][구조중심교육과정][인간중심교육과정][지역사회교육과...
[제재곡중심교육][학습자중심교육][경험중심교육][인간중심교육][상황중심교육][실험활동중심...
해결중심단기가족치료에서 문제해결을 위해 사용하는 (1) 질문기법들의 개념과 (2) 각 기법들...
인간중심상담이란-정의,인간관,성격구조(로저스)
[상담심리학] 정신분석상담, 행동주의상담, 인간중심상담의 인간관에 대해서 비교하고 인간...
로저스(Carl Rogers)의 인간중심상담(사람-중심상담)의 주요개념, 성격의 구조, 자기실현경향...
[상담심리학 2016]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 상담이론, 행동수정이론을 비교·설명한 후...
1. 로저스의 인간 중심 상담의 인간관에 대하여 논하세요. 2.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이론의 ...
인간중심상담이 학습자 자신에게 의미하는 바는 무엇이며, 인간중심상담이 상담에 미친 긍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