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21세기 한국사회의 미래상
3. 새로운 변화의 성격
4. 사고구조 및 행동양식상의 변화
5. 개방사회의 발전 목표와 문제점
6. 미래 사회를 위한 교육과제
참고문헌
2. 21세기 한국사회의 미래상
3. 새로운 변화의 성격
4. 사고구조 및 행동양식상의 변화
5. 개방사회의 발전 목표와 문제점
6. 미래 사회를 위한 교육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를 갖고 문제를 풀어 나가기에는 전자의 경우가 바람직하나, 현금의 북한 사정을 감안해 볼 때 경제난·식량난 등 북한사회 내부문제로 인한 돌발적 몰락을 결코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가능성이 높을수록 신공동체의식에 대한 역할 기대가 커진다. 따라서 신공동체의식은 한반도 통일 이후 남북한 주민들간의 증오와 불신의 감정을 줄이고, 민족적 동질감을 회복하여, 궁극적으로 만인의 존엄성, 자유, 기회균등, 복지증진 등과 같은 보편적 가치를 지향하는 통일국가의 발전을 실현하는데 크게 기여하게 되리라 생각한다.
다. 문화적 창의력을 배양하기 위한 교육
삶의 질적 향상을 추구하는 현대 사회의 경쟁장에는 재화나 권력과 같은 정치경제적 요소는 물론이요, 기호, 취향, 품격 등의 사회문화적 요소들이 부가되어 가는데, 후자는 독립적으로나 또는 전자와 결합된 형태로서 다양한 사회갈등들을 촉발할 여지가 많다고 본다. 그런데 재화나 권력의 점유와 직결된 사회경제적 갈등은 원천적으로 양보나 타협을 통한 제도개선으로 해결책을 도모할 수 있는 길이 열려 있으나, 거기에 사회문화적 요소들까지 가미된 신사회갈등은 '결핍의 문제'를 넘어선 '의미의 문제'를 내포하고 있어 삶의 방식에 대한 발상 전환을 위한 교육의 역할을 절대적으로 필요로 한다.
즉, 향후 우리 사회에서는 "얼만큼 사느냐"라는 생활기회(life chance)의 문제를 지나서 "어떤 식으로 살아갈 것이냐"는 생활방식(lifestyle)의 문제가 보다 절실한 소재로 대두할 것으로 예견되는 바, 개개인이 의의 있다고 생각하는 생활목표 및 방식을 간택하여 자족할 수 있는 창조적 인생관의 개발능력을 육성하는 일이야말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의식교육의 최첨단 과제라고 판단된다.
창의력 교육이 온전히 발현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획일적, 패권적 사고를 조장하는 우리 사회의 과열·거품현상이 타파되어야 한다. 요컨대 고학력이나 일류교를 고집하는 학력주의, 협애한 출세가도에 집착하는 과잉 출세욕, 사치향락을 향한 낭비욕이나 허례허식주의 등의 허구성이 가정교육-학교교육-사회교육을 통해 각성되고 혁파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곧 주체적 인생관의 개발이라는 정명으로서 이어지는데, 특히 진-위, 선-악, 적-부, 미-추의 판단 기준이 불명해가는 탈근대화적 세태 아래서는 종전의 주입적·타율적 교육방안에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본다. 무분별한 기성·외래 문화의 범람, 더구나 상업주의로 점철된 문화환경 하에서는 공급 측면에 해당하는 총체적 환경변화를 시도하기에 앞서, 수요의 부문에 해당하는 문화적 각성을 도모하는 방안, 즉 비판적 학습과정을 통해 '판단하는 방법'을 습득케 함으로써 다양한 이견이나 대안들이 병존하는 상황에서 유의미한 가치판단을 단행할 수 있는 주체적 사고역량을 키워나가는 일이 선행되어야 할 것 같다. 따라서 한국 사회의 미래를 위한 교육과제 중에서는, 정형화된 목표달성에 천착하려는 도구적 교육관을 탈피해 사회적 부조리를 헤아려 판단할 수 있는 성찰적 교육관을 정초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한 사항이 아닐 까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고영복, "시민사회와 시민윤리", 아산사회사업복지재단 편, 『한국의 시민윤리』,
1991.
권태환·김태헌·최진호, 『한국의 인구와 가족』, 일신사, 1995.
김문조·박형준, "정보화사회의 부작용과 사회정책 방향", 『정책포럼』20집,
1996.
김정수, "국제환경의 변화와 한국 통상행정의 진로", 김호진 외,
『한국의 도전과 성격』, 나남, 1996.
김호기, "문화의 세계화와 한국사회", 『신인문』1호, 1996.
박성섭 편, 『세계화를 지향하는 한국 정치』, 나남, 1996.
세계화추진위원회, 『1996년도 세계화추진 종합보고서』, 1996.
임희섭, "한국사회의 집단이기주의 현상: 실천적 처방",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집단이기주의 현상과 극복 방안』, 1996.
통계청, 『한국의 인구규모와 구조: 인구변화에 따른 사회경제적 영향』, 1993.
------, 『OECD 국가의 주요 통계지표』, 1996.
한국가족문화학회, '97 추계 심포지움 "저속성장시대의 가족" 조사보고서,
1997.
한국사회학회 편, 『한국사회의 세대문제』, 1990.
황정규, "정보화와 교육혁신", 『정보사회연구』1-1, 1989.
Best, S., & Kellner, D., eds., Postmodern Theory: Critical Interrogations,
Macmillan, 1991.
Buckley, W., Sociology and Modern Systems Theory, Prentice-Hall, 1967.
Dahrendorf, R., Life Chances, 김병서 역, 『삶의 기회: 정치이론에의 접근』, 이화여대출판부, 1986.
Derrida, J., Speech Phenomena,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73.
Eco, U., A Theory of Semiotics, Indiana University Press, 1976.
Fromm, E., To Have or To Be, 김진홍 역, 『소유냐 삶이냐』, 홍성사, 1978.
Hochschild, A., The Managed Heart, California University Press, 1981.
Inglehart, R., Cultutre Shift in Advam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0.
Lyotard, J., Discourse, Figure, Klincksieck, 1971.
Masuda, Managing in the Information Society, Blackwell, 1990.
Moore, W., & Cook, R., eds., Readings on Social Change, Prentice-Hall, 1967.
Reich, C., The Greening of America, 황문수 역, 『젊은세대의 의식구조』,
문예출판사
Toffler, A., The Third Wave, 유재천 역, 『제3의 물결』, 학원사, 1981.
다. 문화적 창의력을 배양하기 위한 교육
삶의 질적 향상을 추구하는 현대 사회의 경쟁장에는 재화나 권력과 같은 정치경제적 요소는 물론이요, 기호, 취향, 품격 등의 사회문화적 요소들이 부가되어 가는데, 후자는 독립적으로나 또는 전자와 결합된 형태로서 다양한 사회갈등들을 촉발할 여지가 많다고 본다. 그런데 재화나 권력의 점유와 직결된 사회경제적 갈등은 원천적으로 양보나 타협을 통한 제도개선으로 해결책을 도모할 수 있는 길이 열려 있으나, 거기에 사회문화적 요소들까지 가미된 신사회갈등은 '결핍의 문제'를 넘어선 '의미의 문제'를 내포하고 있어 삶의 방식에 대한 발상 전환을 위한 교육의 역할을 절대적으로 필요로 한다.
즉, 향후 우리 사회에서는 "얼만큼 사느냐"라는 생활기회(life chance)의 문제를 지나서 "어떤 식으로 살아갈 것이냐"는 생활방식(lifestyle)의 문제가 보다 절실한 소재로 대두할 것으로 예견되는 바, 개개인이 의의 있다고 생각하는 생활목표 및 방식을 간택하여 자족할 수 있는 창조적 인생관의 개발능력을 육성하는 일이야말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의식교육의 최첨단 과제라고 판단된다.
창의력 교육이 온전히 발현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획일적, 패권적 사고를 조장하는 우리 사회의 과열·거품현상이 타파되어야 한다. 요컨대 고학력이나 일류교를 고집하는 학력주의, 협애한 출세가도에 집착하는 과잉 출세욕, 사치향락을 향한 낭비욕이나 허례허식주의 등의 허구성이 가정교육-학교교육-사회교육을 통해 각성되고 혁파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곧 주체적 인생관의 개발이라는 정명으로서 이어지는데, 특히 진-위, 선-악, 적-부, 미-추의 판단 기준이 불명해가는 탈근대화적 세태 아래서는 종전의 주입적·타율적 교육방안에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본다. 무분별한 기성·외래 문화의 범람, 더구나 상업주의로 점철된 문화환경 하에서는 공급 측면에 해당하는 총체적 환경변화를 시도하기에 앞서, 수요의 부문에 해당하는 문화적 각성을 도모하는 방안, 즉 비판적 학습과정을 통해 '판단하는 방법'을 습득케 함으로써 다양한 이견이나 대안들이 병존하는 상황에서 유의미한 가치판단을 단행할 수 있는 주체적 사고역량을 키워나가는 일이 선행되어야 할 것 같다. 따라서 한국 사회의 미래를 위한 교육과제 중에서는, 정형화된 목표달성에 천착하려는 도구적 교육관을 탈피해 사회적 부조리를 헤아려 판단할 수 있는 성찰적 교육관을 정초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한 사항이 아닐 까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고영복, "시민사회와 시민윤리", 아산사회사업복지재단 편, 『한국의 시민윤리』,
1991.
권태환·김태헌·최진호, 『한국의 인구와 가족』, 일신사, 1995.
김문조·박형준, "정보화사회의 부작용과 사회정책 방향", 『정책포럼』20집,
1996.
김정수, "국제환경의 변화와 한국 통상행정의 진로", 김호진 외,
『한국의 도전과 성격』, 나남, 1996.
김호기, "문화의 세계화와 한국사회", 『신인문』1호, 1996.
박성섭 편, 『세계화를 지향하는 한국 정치』, 나남, 1996.
세계화추진위원회, 『1996년도 세계화추진 종합보고서』, 1996.
임희섭, "한국사회의 집단이기주의 현상: 실천적 처방",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집단이기주의 현상과 극복 방안』, 1996.
통계청, 『한국의 인구규모와 구조: 인구변화에 따른 사회경제적 영향』, 1993.
------, 『OECD 국가의 주요 통계지표』, 1996.
한국가족문화학회, '97 추계 심포지움 "저속성장시대의 가족" 조사보고서,
1997.
한국사회학회 편, 『한국사회의 세대문제』, 1990.
황정규, "정보화와 교육혁신", 『정보사회연구』1-1, 1989.
Best, S., & Kellner, D., eds., Postmodern Theory: Critical Interrogations,
Macmillan, 1991.
Buckley, W., Sociology and Modern Systems Theory, Prentice-Hall, 1967.
Dahrendorf, R., Life Chances, 김병서 역, 『삶의 기회: 정치이론에의 접근』, 이화여대출판부, 1986.
Derrida, J., Speech Phenomena,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73.
Eco, U., A Theory of Semiotics, Indiana University Press, 1976.
Fromm, E., To Have or To Be, 김진홍 역, 『소유냐 삶이냐』, 홍성사, 1978.
Hochschild, A., The Managed Heart, California University Press, 1981.
Inglehart, R., Cultutre Shift in Advam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0.
Lyotard, J., Discourse, Figure, Klincksieck, 1971.
Masuda, Managing in the Information Society, Blackwell, 1990.
Moore, W., & Cook, R., eds., Readings on Social Change, Prentice-Hall, 1967.
Reich, C., The Greening of America, 황문수 역, 『젊은세대의 의식구조』,
문예출판사
Toffler, A., The Third Wave, 유재천 역, 『제3의 물결』, 학원사, 1981.
추천자료
[한국사회문제 (A+완성)]우리사회의 양극화 심화현상에 대한 고찰 및 해소방안 연구
[종교사회학]한국사회 종교적 세속화 현상에 관한 고찰
[한국사회문제]IMF이후 우리사회의 경제적 불평등이 심화되는 원인과 해결책에 대해 자신의 ...
(한국사회문제D)빈곤의 기준에 대한 논란의 비판적 검토와 현재 우리 사회에서 빈곤을 규정할...
사회복지정책 A+) 한국사회복지정책의 현황, 문제점, 개선과제, 발전방향
왜 한국사회의 청년실업 문제가 단순히 실업률의 문제가 아닌지에 대하여 설명하고, 사회적 ...
현대사회와 기술 - 한국사회의 문제 ‘다문화’에 대해서
[한국사회문제A형] 빈곤을 노인이나 청년등 특정세대의 문제로 보는 시각의 문제점을 지적하...
[한국사회 문제 A형] 빈곤을 노인이나 청년 특정 세대의 문제로 보는 시각의 문제점을 지적, ...
현재 한국사회의 에너지 문제는 어떤 상태인지 서술한 후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고 사회문제로...
현재 한국사회의 에너지 문제는 어떤 상태인지 서술한 후,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고, 사회문제...
현재 한국사회의 노동문제가 한 세대 전의 노동문제와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고, 사회문제로서...
최근 한국사회복지조직의 특성 변화에 대해 기술하시오 [사회복지행정]
2017년 성사랑사회B형] 한국사회에서 가정이나 일터 등 일상적인공간에서 성폭력이나 성희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