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제와 풀이및 답안
본문내용
er, and understand (B)his meaning, we will return his gesture of friendly interest by showing equal friendliness, and in a short while he may be helping us to change the tire. In a similar way, many situation in life demand that we pay no attention to what the words say, since the meaning may often be a great deal more intelligent and intelligible than the surface sense of the words themselves.
(1) (A)와 같은 뜻을 나타내는 부분을 본문 속에서 골라라.
(2) (B)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다른 영어로 써라.
◈ 일반 영어 모범답안 및 해설 ◈
[모범 답안]
1-(1). The Population Crisis
1-(2). 인구증가는 현재와 미래의 문명을 파괴한다. 이것을 방지하려면 출생률을 저하시킬 필요가 있다.
2-(1). the surface sense of the words themselves
2-(2). May I help you to change the tire?
1. 인구 위기가 지금 여기 있다(닥쳐 왔다). 그리고 그것은 현재와 미래 문명의 파괴이다. 세상 사람들에게는 두 가지의 선택이 있다. 우리가 결혼과 산아(産兒)에 대한 우리의 개념과 그것들에 결부된 관습을 철저하게 변경하여 한 가구당 어린아이 두 명만 가지든가, 부유층이 증가 일로에 있는 비율로 계속해서 가난한 사람들을 삼켜버리든가 하는 둘 중의 하나다. 동시에 환경은 점점 더 악화될 것이고, 그리하여 부양할 수 있는 사람은 점점 더 적어질 것이다. 왜 이러한 위기가 존재하며 무엇이 그것을 야기시켰는가? 세계의 현재의 인구 과잉에 대한 주된 원인은 인간의 지력, 과학 그리고 기술의 덕택으로, 우리가 낮은 사망률을 달성했다는 것이다. 과학적으로 적용된 인도주의에 의한 요절의 억제가 스스로 살아나가는 괴물을 창출해 내었다. 오늘날의 갓난아기들은 자기들 차례가 되어 아이를 낳을 만큼 충분히 오래 살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러므로 인구 폭발이 일어난다. 얼마 전만 하더라도, 태어난 매 1,000명의 갓난아이들 중에서 250~300명이 유아 시절에 죽었다. 지금은 그 전 같으면 죽는 것이 보통이었던 갓난아이들의 5분의 4 내지는 10분의 9까지 살아 남는다.
만약 우리가 낮은 사망률 문화를 갖고자 하면--또 물론 우리 모두는 우리의 아기들이 살아 남기를 원한다--그러자면 우리들은 또한 낮은 출생률 문화를 채택해야만 된다. 만약 미래의 갓난아기들을 살게 하고자 한다면, 그들의 수가 보다 적어야만 한다. 아무리 식량이 많이 있더라도, 산아률(産兒率)이 계속 사망률을 초과할 수 없다는 것은 명백하다.
2. 가령 우리가 길가에서 빵꾸난 타이어를 가지고 애쓰고 있다고 가정하자. 그다지 영리하게 생기지는 않았으나 우호적인 청년이 다가와서 "타이어가 빵꾸났어요?"라고 묻는다. 만약 우리가 그의 말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기를 고집한다면, 우리는 이것을 지극히 어리석은 질문으로 여길 것이고, 우리의 대답은 아마 이렇게 될 것이다. "이 어리석은 소 같은 녀석아, 그래 빵꾸난 것을 보면 몰라?" 그러나, 만약 우리가 그 말이 말하는 것(그 말의 표면상의 의미)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그가 뜻하고자 하는 것을 이해한다면, 우리는 마찬가지의 우호적인 태도를 보임으로써 호의적인 관심을 나타내는 그의 거동에 답할 것이다. 그리하여 잠시 후에 아마 그는 우리가 타이어를 바꾸는 것을 도와주고 있게 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생활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상황은 우리가 낱말 그 자체가 뜻하는 것 (낱말의 표면상의 의미)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을 것을 요구한다. 왜냐하면 (내포되어 있는) 그 의미가 그 낱말 자체의 표면적인 의미보다 훨씬 더 지적이며 이해하기 쉬운 경우가 흔히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5강 영어학>
실전문제 1
다음 예문은 동일한 표면구조임을 보여 준다. 하지만, 원어민 화자는 두 문장들에 대해 서로 상이한 구조로 분석하는데 그 차이를 통사론적으로 설명하고 예를 들어 보이시오.
a. I don't like my coffee black
b. I don't know the people present
모범답안 및 해설
(1) (a) I don't like [S [NP my coffee] [AP black]]
(b) I don't know [NP the people present]
위에서 (a)는 like는 두 개의 구성소(constituent)를 보어로 취한다. 즉, NP와 AP를 보어로 취하는 것이다. NP와 PP 사이엔 to be가 생략된 것이다. 기저의 모습을 살핀다면, 다음과 같을 것이다.
(2) [S I don't like [S [NP my coffee] [VP (to be) [AP black]]]
AP 자리에 [AP hot] 같은 게 들어갈 수 있겠다.
반면에 (b)는 하나의 NP이다. know는 하나의 NP를 보어로 취하므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겠다.
(3) [S I don't [VP [V know [NP [Det the] [N people] [AP present]]]]
이와 같은 NP 구조를 경험적으로 확인하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겠다.
(4) (a) court martial
(b) heir apparent
(c) attorney general
(d) time immemorial
(e) vice-chancellor designate
(f) postmaster general
(g) president elect
(h) notary public
(i) body politic
N 다음에 나오는 AP는 NP에 의해 직접 관할되는(immediately dominated) 구성소로 복합명사(compound nouns)를 이룬다. 그런 점에서 (1) (a)의 AP(VP에 의해 직접 관할됨)와는 서로 다른 것이다.
(1) (A)와 같은 뜻을 나타내는 부분을 본문 속에서 골라라.
(2) (B)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다른 영어로 써라.
◈ 일반 영어 모범답안 및 해설 ◈
[모범 답안]
1-(1). The Population Crisis
1-(2). 인구증가는 현재와 미래의 문명을 파괴한다. 이것을 방지하려면 출생률을 저하시킬 필요가 있다.
2-(1). the surface sense of the words themselves
2-(2). May I help you to change the tire?
1. 인구 위기가 지금 여기 있다(닥쳐 왔다). 그리고 그것은 현재와 미래 문명의 파괴이다. 세상 사람들에게는 두 가지의 선택이 있다. 우리가 결혼과 산아(産兒)에 대한 우리의 개념과 그것들에 결부된 관습을 철저하게 변경하여 한 가구당 어린아이 두 명만 가지든가, 부유층이 증가 일로에 있는 비율로 계속해서 가난한 사람들을 삼켜버리든가 하는 둘 중의 하나다. 동시에 환경은 점점 더 악화될 것이고, 그리하여 부양할 수 있는 사람은 점점 더 적어질 것이다. 왜 이러한 위기가 존재하며 무엇이 그것을 야기시켰는가? 세계의 현재의 인구 과잉에 대한 주된 원인은 인간의 지력, 과학 그리고 기술의 덕택으로, 우리가 낮은 사망률을 달성했다는 것이다. 과학적으로 적용된 인도주의에 의한 요절의 억제가 스스로 살아나가는 괴물을 창출해 내었다. 오늘날의 갓난아기들은 자기들 차례가 되어 아이를 낳을 만큼 충분히 오래 살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러므로 인구 폭발이 일어난다. 얼마 전만 하더라도, 태어난 매 1,000명의 갓난아이들 중에서 250~300명이 유아 시절에 죽었다. 지금은 그 전 같으면 죽는 것이 보통이었던 갓난아이들의 5분의 4 내지는 10분의 9까지 살아 남는다.
만약 우리가 낮은 사망률 문화를 갖고자 하면--또 물론 우리 모두는 우리의 아기들이 살아 남기를 원한다--그러자면 우리들은 또한 낮은 출생률 문화를 채택해야만 된다. 만약 미래의 갓난아기들을 살게 하고자 한다면, 그들의 수가 보다 적어야만 한다. 아무리 식량이 많이 있더라도, 산아률(産兒率)이 계속 사망률을 초과할 수 없다는 것은 명백하다.
2. 가령 우리가 길가에서 빵꾸난 타이어를 가지고 애쓰고 있다고 가정하자. 그다지 영리하게 생기지는 않았으나 우호적인 청년이 다가와서 "타이어가 빵꾸났어요?"라고 묻는다. 만약 우리가 그의 말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기를 고집한다면, 우리는 이것을 지극히 어리석은 질문으로 여길 것이고, 우리의 대답은 아마 이렇게 될 것이다. "이 어리석은 소 같은 녀석아, 그래 빵꾸난 것을 보면 몰라?" 그러나, 만약 우리가 그 말이 말하는 것(그 말의 표면상의 의미)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그가 뜻하고자 하는 것을 이해한다면, 우리는 마찬가지의 우호적인 태도를 보임으로써 호의적인 관심을 나타내는 그의 거동에 답할 것이다. 그리하여 잠시 후에 아마 그는 우리가 타이어를 바꾸는 것을 도와주고 있게 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생활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상황은 우리가 낱말 그 자체가 뜻하는 것 (낱말의 표면상의 의미)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을 것을 요구한다. 왜냐하면 (내포되어 있는) 그 의미가 그 낱말 자체의 표면적인 의미보다 훨씬 더 지적이며 이해하기 쉬운 경우가 흔히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5강 영어학>
실전문제 1
다음 예문은 동일한 표면구조임을 보여 준다. 하지만, 원어민 화자는 두 문장들에 대해 서로 상이한 구조로 분석하는데 그 차이를 통사론적으로 설명하고 예를 들어 보이시오.
a. I don't like my coffee black
b. I don't know the people present
모범답안 및 해설
(1) (a) I don't like [S [NP my coffee] [AP black]]
(b) I don't know [NP the people present]
위에서 (a)는 like는 두 개의 구성소(constituent)를 보어로 취한다. 즉, NP와 AP를 보어로 취하는 것이다. NP와 PP 사이엔 to be가 생략된 것이다. 기저의 모습을 살핀다면, 다음과 같을 것이다.
(2) [S I don't like [S [NP my coffee] [VP (to be) [AP black]]]
AP 자리에 [AP hot] 같은 게 들어갈 수 있겠다.
반면에 (b)는 하나의 NP이다. know는 하나의 NP를 보어로 취하므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겠다.
(3) [S I don't [VP [V know [NP [Det the] [N people] [AP present]]]]
이와 같은 NP 구조를 경험적으로 확인하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겠다.
(4) (a) court martial
(b) heir apparent
(c) attorney general
(d) time immemorial
(e) vice-chancellor designate
(f) postmaster general
(g) president elect
(h) notary public
(i) body politic
N 다음에 나오는 AP는 NP에 의해 직접 관할되는(immediately dominated) 구성소로 복합명사(compound nouns)를 이룬다. 그런 점에서 (1) (a)의 AP(VP에 의해 직접 관할됨)와는 서로 다른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영어학] 언어란 무엇인가? What is language?
[영어학] Syntax: The sentence Patterns of Language ,구문론 영어학개론
[영어학]Morphology: The Words of Language 형태론 형태학에 관한 이론
영어학의 분류 ,
영어학개론-음성학. 음성학 : 언어음 , Phonetics: The Sounds of Language
영어학이란 무엇인가? - 영어학개론. 영어학.
영어학배경-그리스로마 신 정리-이지훈
(영어학의이해) 통사론 의미론 형태론 음운론 사회언어학 심리언어학
영어학개론(5장 영어문법론 I)
-영어학개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