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형태론(Morphology) : 단어
2.통사론(syntax) : 문장형태
3. 음운론( Phonology) : 언어음의 바탕
4. 음성학(phonetics) : 언어음
5. 의미론(semantics)
2.통사론(syntax) : 문장형태
3. 음운론( Phonology) : 언어음의 바탕
4. 음성학(phonetics) : 언어음
5. 의미론(semantics)
본문내용
존재하지 않는 단어는 그 지시 대응물이 존재하지 않게 되는데 그렇게 되면 추상명사는 대응물이 없게 된다. 그럼 인간은 그 의미를 어떻게 파악할까에 대한 답으로 영상이론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화자나 청자의 머릿속에 있는 영상에 의해서 단어의 의미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장 이론은 어떤 단어가 독자적으로 지니고 있는 의미도 있지만, 다른 단어들과의 관계에 의해서 밝혀지는 의미도 있다. 이처럼 한 언어 내에서 모든 단어들의 의미가 다른 단어들의 의미와 관련하여 정의되는 것을 장 이론이라고 한다.
성분분석은 한 단어의 의미를 장 이론에서 하듯이 다른 어휘들과 연관시키지 않고, 그 단어를 구성하고 있는 의미성분 만으로 단어의 의미를 분석하는 방법을 말한다.의미 성분들은 어떤 의미에서 변별적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의미 성분을 의미 자질이라고도 부른다. 성분 분석을 이용하면 문장들의 의미상 변칙성에 대해 설명 할 수 있다.
(4) 중의성과 모호성
하나의 표현에 둘 이상의 의미가 존재할 때 중의성이 생기는데 어휘적 중의성, 구조적 중의성, 영향권에 의한 중의성이 있다. 모호성은 지시하는 대응물이 명확하게 정해져 있지 않고모호 하여 나온 지시적 모호성, 소유자와 소유되는 것 사이의 관계가 불확실하기 때문에 생기게 되는 의미의 불확실성, 어휘 항목의 구체적 의미가 명시되지 않은 경우에 생기는 명시성의 결여 등이 있다.
(5)화용론
상황이 어떻게 해석에 영향을 끼치는가에 대한 일반연구를 화용론이라고 한다. 화용론은 담화문을 해석할 때 한 문장의 대명사가 다른 문장의 명사구와 동일한 지시물을 가지는지 판단할 때 중요하다. 화용론에는 화행, 전제, 및 직시가 포함된다. 화행이론은 어떤 발화가 말하는 것 이상의 어떤 일을 하는가에 대한 연구다. 행해지는 것의 결과를 그 발화의 언표내적 효력이라고 한다. 전제는 어떤 발화에 수반되는 묵시적 가정이다. 전제는 정보를 간접적으로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대화나 담화문에서 주고받는 정보 중 많은 것이 이런 종류의 것이다. 대화 후에 우리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던 어떤 것을 알게 되었음을 깨닫는다. 그 어떤 것이 종종 전제가 된다. you, there, now 와 같은 직시어는 그 지시물을 이해하기 위해 발화상황에 대한 지식을 필요로 한다. 머든 언어에서 많은 단어와 표현들의 지시는 전적으로 발화의 상황에 의존하며 이 상황에비추어서만 이해될 수 있다. 화용론의 이러한 면을 직시라고 한다. 직시는 인칭 직시와 시간직시, 장소직시 등이 있다.
(6)담화
언어지식은 음소를 결합하여 형태소를 만들고, 형태소를 결합하여 단어를 만들고, 단어를 결합하여 문장을 만들 수 있는 화자의 능력을 말한다. 언어지식은 또한 문장을 결합하여 복잡한 사고와 개념을 표현하게 한다. 이 큰 언어단위를 담화라고 한다. 담화의 연구, 즉 담화분석은 화자들이 어떻게 문장을 결합하여 더 큰 언어단위를 만드는가와 관련된다. 담화분석은 문법특징과 함께 문체, 적절성, 응집력, 수사력, 주제/부주제 구조, 문어와 구어담화의 차이와 관련된다.
성분분석은 한 단어의 의미를 장 이론에서 하듯이 다른 어휘들과 연관시키지 않고, 그 단어를 구성하고 있는 의미성분 만으로 단어의 의미를 분석하는 방법을 말한다.의미 성분들은 어떤 의미에서 변별적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의미 성분을 의미 자질이라고도 부른다. 성분 분석을 이용하면 문장들의 의미상 변칙성에 대해 설명 할 수 있다.
(4) 중의성과 모호성
하나의 표현에 둘 이상의 의미가 존재할 때 중의성이 생기는데 어휘적 중의성, 구조적 중의성, 영향권에 의한 중의성이 있다. 모호성은 지시하는 대응물이 명확하게 정해져 있지 않고모호 하여 나온 지시적 모호성, 소유자와 소유되는 것 사이의 관계가 불확실하기 때문에 생기게 되는 의미의 불확실성, 어휘 항목의 구체적 의미가 명시되지 않은 경우에 생기는 명시성의 결여 등이 있다.
(5)화용론
상황이 어떻게 해석에 영향을 끼치는가에 대한 일반연구를 화용론이라고 한다. 화용론은 담화문을 해석할 때 한 문장의 대명사가 다른 문장의 명사구와 동일한 지시물을 가지는지 판단할 때 중요하다. 화용론에는 화행, 전제, 및 직시가 포함된다. 화행이론은 어떤 발화가 말하는 것 이상의 어떤 일을 하는가에 대한 연구다. 행해지는 것의 결과를 그 발화의 언표내적 효력이라고 한다. 전제는 어떤 발화에 수반되는 묵시적 가정이다. 전제는 정보를 간접적으로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대화나 담화문에서 주고받는 정보 중 많은 것이 이런 종류의 것이다. 대화 후에 우리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던 어떤 것을 알게 되었음을 깨닫는다. 그 어떤 것이 종종 전제가 된다. you, there, now 와 같은 직시어는 그 지시물을 이해하기 위해 발화상황에 대한 지식을 필요로 한다. 머든 언어에서 많은 단어와 표현들의 지시는 전적으로 발화의 상황에 의존하며 이 상황에비추어서만 이해될 수 있다. 화용론의 이러한 면을 직시라고 한다. 직시는 인칭 직시와 시간직시, 장소직시 등이 있다.
(6)담화
언어지식은 음소를 결합하여 형태소를 만들고, 형태소를 결합하여 단어를 만들고, 단어를 결합하여 문장을 만들 수 있는 화자의 능력을 말한다. 언어지식은 또한 문장을 결합하여 복잡한 사고와 개념을 표현하게 한다. 이 큰 언어단위를 담화라고 한다. 담화의 연구, 즉 담화분석은 화자들이 어떻게 문장을 결합하여 더 큰 언어단위를 만드는가와 관련된다. 담화분석은 문법특징과 함께 문체, 적절성, 응집력, 수사력, 주제/부주제 구조, 문어와 구어담화의 차이와 관련된다.
추천자료
영어공용화와 한국어
[영어교육]영어발달사
활동중심학습(활동중심교육) 환경, 상황중심영어학습(상황중심영어교육), 상황중심놀이학습(...
협동학습 국어과 교육(국어교육), 협동학습 영어과 교육(영어교육), 협동학습 수학과 교육(수...
열린교육의 국어과 지도(국어교육), 열린교육의 영어과 지도(영어교육), 열린교육의 수학과 ...
[수업전략][수업방법][교육]수업의 개념, 좋은 수업의 개념, 영어과(영어교육) 수업전략, 국...
[명사][품사][힌디어][영어][일본어]국어 품사 명사의 종류, 국어 품사 범주명사, 국어 품사 ...
[수업전략][국어과][영어과][수학과][웹기반교육][STS][영재교육]국어과교육 수업전략, 영어...
[컴퓨터활용교육]컴퓨터활용 영어교육(영어과교육), 컴퓨터활용 수학교육(수학과교육), 컴퓨...
[학습평가][교육평가]국어과(국어교육)의 학습평가, 영어과(영어교육)의 학습평가, 수학과(수...
영어과와 국어과 멀티미디어 지도자료(교수학습자료), 과학과와 사회과 멀티미디어 지도자료(...
영어과, 국어과 ICT(정보통신기술)활용학습지도, 수학과, 사회과 ICT(정보통신기술)활용학습...
[학당 교육적 의의][학당 특징][배재학당 역사][배재학당 교육과정][영어학교][이화학당]학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