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영 미문학 개별 작품 문제
본문내용
는 것을 바라보았다.
<전> : 호수와 수선화의 즐거운 정경과 시인의 감흥
- 물결이 출렁이고, 수선화들도 따라 출렁이었다.
- 기쁨에 겨워 계속 보고 또, 보았다.
<결> : 수선화에 대한 회상과 교감
- 자리에 멍하게 누워 있을 때, 수선화들이 떠올라 내 마음이 기쁨에 넘친다.
2000년도 임용시험 - 영국시(William Butler Yeats)문제
18. 다음은 William Butler Yeats의 시 "Sailing to Byzantium"의 일부이다. 시인이 Byzantium으로 온 이유를 주제와 관련하여 답안지 두 줄 정도로 쓰시오.(2점)
Sailing to Byzantium
that is no country for old men. the yong
In one another's arms, birds in the trees
-Those dying generations-at their song,
The salmon-falls, the mackerel-crowded seas,
Fish, Flesh, or fowl, commend all summer long
Whatever is begotten, born, and dies.
Caught in that sensual music and neglect
Moments of unaging intellect.
An aged man is but a paltry thing,
A tattered coat upon a stick, unless
Soul clap its hands and sing , and louder sing
For every tatter in its mortal dress,
Nor is there sining school but studying
Monuments of its own magnificence:
And therefore I have sailed the seats and come
To the holy city of Byzantium.
<해설>
이젠 언급하기에도 민망하지만 고등학교<문학> 교과서에 "비잔티움의 항해"로 번역되어 실린 작품입니다. 이 시를 처음 접한 수험생에게는 '비잔티움'과 '항해하는 행위'가 상징하는 것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았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또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대한교과서)에서 배우고 있다는 사실이 충격으로 다가왔을 것입니다.William Butler Yeats의 시중에서 후기의 작품에 해당하며 영원히 변하지 않는 것을 추구하고자하는 시인의 갈망이 비잔티움으로 항해하는 과정으로 상징되어 있습니다.
이 시는 시인이 직접 겪었던 이야기가 아니며 나래 속에서 형상화된 작품입니다. 시인은 비잔티움을 실제로 방문하지 않았으며, 여기서 비잔티움은 시인이 도달하고자 하는, 영원히 변치 않는 진리이거나 마음으로 기원하는 세계일 수 있고, '항해'는 그 곳까지 가기 위한 과정을 의미하는 고도의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
<모범답안>
<18> 시인은 비잔티움을 현실이 아니라 영원히 변하지 않는 꿈과 예술의 이상적인 세계로 여기기 때문이다.
<전> : 호수와 수선화의 즐거운 정경과 시인의 감흥
- 물결이 출렁이고, 수선화들도 따라 출렁이었다.
- 기쁨에 겨워 계속 보고 또, 보았다.
<결> : 수선화에 대한 회상과 교감
- 자리에 멍하게 누워 있을 때, 수선화들이 떠올라 내 마음이 기쁨에 넘친다.
2000년도 임용시험 - 영국시(William Butler Yeats)문제
18. 다음은 William Butler Yeats의 시 "Sailing to Byzantium"의 일부이다. 시인이 Byzantium으로 온 이유를 주제와 관련하여 답안지 두 줄 정도로 쓰시오.(2점)
Sailing to Byzantium
that is no country for old men. the yong
In one another's arms, birds in the trees
-Those dying generations-at their song,
The salmon-falls, the mackerel-crowded seas,
Fish, Flesh, or fowl, commend all summer long
Whatever is begotten, born, and dies.
Caught in that sensual music and neglect
Moments of unaging intellect.
An aged man is but a paltry thing,
A tattered coat upon a stick, unless
Soul clap its hands and sing , and louder sing
For every tatter in its mortal dress,
Nor is there sining school but studying
Monuments of its own magnificence:
And therefore I have sailed the seats and come
To the holy city of Byzantium.
<해설>
이젠 언급하기에도 민망하지만 고등학교<문학> 교과서에 "비잔티움의 항해"로 번역되어 실린 작품입니다. 이 시를 처음 접한 수험생에게는 '비잔티움'과 '항해하는 행위'가 상징하는 것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았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또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대한교과서)에서 배우고 있다는 사실이 충격으로 다가왔을 것입니다.William Butler Yeats의 시중에서 후기의 작품에 해당하며 영원히 변하지 않는 것을 추구하고자하는 시인의 갈망이 비잔티움으로 항해하는 과정으로 상징되어 있습니다.
이 시는 시인이 직접 겪었던 이야기가 아니며 나래 속에서 형상화된 작품입니다. 시인은 비잔티움을 실제로 방문하지 않았으며, 여기서 비잔티움은 시인이 도달하고자 하는, 영원히 변치 않는 진리이거나 마음으로 기원하는 세계일 수 있고, '항해'는 그 곳까지 가기 위한 과정을 의미하는 고도의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
<모범답안>
<18> 시인은 비잔티움을 현실이 아니라 영원히 변하지 않는 꿈과 예술의 이상적인 세계로 여기기 때문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영국소설에 대하여 : 영국문학사
독일 페미니즘 문학비평의 경향
1930년대 한국문학의 문예사조개관
중국의 현대문학의 이해
프랑스 문학의 이해 - 나치수용소를 중심으로
Glossary of Literary Terms(문학용어 풀이)
문화적 문학적 배경: 미국의 경험의 유형 [A++]
현대 문학의 어제와 오늘 11주차 과제물
[제국주의][군국주의][파쇼다사건]제국주의의 의미, 제국주의의 형태, 제국주의의 이론, 제국...
초기 영국 소설문학 - 문명인 로빈슨 크루소의 정체성과 타자 지배 논리
영국 제국주의와 영국 문학 (맨스필드 파크, 제인 에어, 대니얼 데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