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1.2. 연구의 방법
2. 만화의 정의와 그 기원
2.1. 만화의 정의
2.2. 만화의 기원
3. 수업매체로서의 만화
3.1. 수업매체의 교육적 기능
3.2.수업매체로서 만화의 특성
3.3. 만화의 교육적 효과
3.4. 만화의 교육적 활용의 실제
4. 만화의 부정적 효과
4.1. 만화의 부정적 효과
4.2. 부정적 효과를 줄이는 대책
5. 결론
1.1. 연구의 목적
1.2. 연구의 방법
2. 만화의 정의와 그 기원
2.1. 만화의 정의
2.2. 만화의 기원
3. 수업매체로서의 만화
3.1. 수업매체의 교육적 기능
3.2.수업매체로서 만화의 특성
3.3. 만화의 교육적 효과
3.4. 만화의 교육적 활용의 실제
4. 만화의 부정적 효과
4.1. 만화의 부정적 효과
4.2. 부정적 효과를 줄이는 대책
5. 결론
본문내용
이런 것보다는 더 연구해 볼 충분한 여러 가지가 있다고 봐요. 추상화는 추상화대로 사실화는 사실화대로 그런 게 다 일리가 있죠.
기진호 : 아무튼 만화가 의미있다는 것을 느끼기만 해도 충분히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것에 대한 설명이 충분히 됐다고 생각하고요. 마지막으로 지금 국내 만화영화가 많이 실패하고 있는 데 오돌또기는 어떻게 되고 있는지요? 캐릭터가 굉장히 한국적인 느낌이던데요.
박재동 : 오돌또기의 캐릭터는 주위 사람들에서 뽑아내고 있습니다.이것은 우리의 독창성 문제거든요. 사람들은 일본만화 같은 것을 볼라면 일본만화를 보면 되었지, 왜 한국사람이 만든 일본아류를 볼 필요가 있느냐고 말합니다. 나는 이게 아주 정확한 지적이라고 봐요. 좋은 건 영향을 받고 배울 건 배워야 되지만 우리는 우리의 냄새 우리의 표정, 우리의 삶의 모습들 이런 것으로 성공를 해 볼려고 합니다. 그런 역사적 배경, 그런 의상, 그런 표정, 그런 캐릭터, 그런 음악으로 한번 해 보자, 이거죠. 빨라도 한 2년 생각하고 있습니다.
기진호 : 만화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어떤 연수 프로그램도, 아이들에게 투입할 수 있는 커리큘럼도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물론 만화를 연구해서 학습의 장에 투입할 수 있는 정신적, 시간적 여건도 없었구요. 오늘 이 이야기가 학교 현장에 만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바쁘신 중에도 시간을 내 주셔서 감사합니다.
<별첨자료 2>
교사를 위한 만화이론서 (초등 우리교육)
1) 만화 내 사랑, 박재동, 지인
“하나의 가치있는 문화로서 온당하게 평가받지 못해왔던 만화, 때로는 공부의 방해물로, 불량도서로, 그야말로 ‘천덕꾸러기’로 낙인찍혀왔던 만화”에 대한 고민을 담고 있는 책으로 현장교사이기도 했던 지은이 자신의 삶과 생각이 잔잔하게 담겨져 있다. 적은 분량이긴 하지만 “만화도 교과서에 실어야 한다” 논거를 볼 수 있다.
2) 만화의 이해, 스콧 매클루드, 아름드리
만화는 만화책이나, 연재만화와 같은 특정형태로서가 아니라, 그 자체를 하나의 매체로 정의해야 한다는 기본인식을 바탕으로 만화를 어떻게 정의할지, 만화의 기본 요소가 뭔지, 만화 언어를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하는 것을 다룬 만화로 그린 돋보이는 만화이론서이다.
3) 만화프로테크닉, 김영배 외, 다섯수레
만화의 재료와 도구, 기법 등을 설명하고 있다. 박재동, 이희재, 황미나 등의 치열한 고민과 작법을 담은 취재 기사도 싣고 있어 만화에 좀 더 가깝게 접근하게 해 준다. 여러 기법과 만화가를 다양하게 접할 수 있는 책이다.
4) 신나게 그려보자, 김충원, 진선
아이들을 위해 나온 책이지만, 만화를 지도하는 교사들에게 쓰임새가 많은 책이다. 저자는 사람들이 좋은 그림을 못 그리는 것이 아니고 다만 좋은 그림을 그릴 수 있는 훈련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좋지 않은 그림을 그릴 수밖에 없다면서 그 훈련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얼굴, 손발, 몸, 동작 표현 등을 다양하게 구체적으로 싣고 있어 쓰기에 따라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5) 기타
만화와 커뮤니케이션, 랜달 P. 해리슨, 이론과 실천
한국근현대만화사, 최열, 열화당 3권
한국만화통사, 손상익
한국 만화 50인 인터뷰,
만화를 위한 책, 박인하, 교보
만화산업연구, 한창완, 글논그림밭
< 별첨자료 3 >
삶이 있는 만화 (초등 우리 교육)
1) 간판스타, 이희재, 글논그림밭
“그 천진한 웃음 안에는 삶을 곧게 보는 내철한 눈이 있고, 웃음 뒤에는 그 웃음을 지켜내는 진실과 옳음을 움켜잡아 놓지 않는 쇠말뚝같은 팔뚝이 있다”는 박재동의 말처럼 우리 가까운 일상에 천착해서 이야기를 풀어가는 한국 최고의 리얼리스트라는 지은이의 마음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책이다. 더불어『나의 라임오렌지 나무』는 원작을 다시 그린 어린이용 작품이지만 원작보다도 더 어린이의 마음을 울리는 작품으로 꼭 구해서 보기를 권한다.
2) 부자의 그림일기, 오세영, 글논그림밭
“언어가 문학의 전달기호이고 영상이 영화의 언어인 것처럼 만화의 경우는 당연히 그림이 교감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작가의 주장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책이다. 월북작가들의 단편을 형상화한 작품이 실려 있기도 한 이 책에서 ‘완벽한 한국적인 회화성을 보여주는 만화가’ 라는 세평을 확인할 수 있다. “아! 이것은 예술이다”라고 박재동이 감탄하기도 한 「고샅을 지키는 아이」도 실려 있다.
3) 쥐, 아트 슈피겔만, 아름드리
1992년 퓰리처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히틀러 치하의 유럽에서 살아 남은 유태인 생존자인 아버지와 그의 아들인 지은이의 생활이 과거와 현실을 넘나들며 펼쳐지고 있다. 유태인을 쥐로, 독일인을 고양이로 그린 것은 일종의 억압구조를 상징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유태인의 영혼에 옭아매어 있는 지은이 스스로를 오랜 세월 각고와 자료수집으로 형상화시켰다.
4) 반쪽이의 육아일기, 최정현, 여성신문사
여성신문에 연재했던 것을 묶어 놓은 육아일기이다. 애를 키우는 데 벌어지는 일상을 보면서 지은이가 가정에서 스스로 싸워가며 자신의 삶의 몫을 다하려는 메시지가 전달된다. ‘남자 망신 다 시킨다’는 악평을 듣기도 했다는 지은이는 성적인 편견을 가진 사람들에게 자신의 생활은 어떠한지 돌아보게 한다.
5) 목 긴 사나이, 박재동, 글논그림밭
한겨레 그림판 등에 연재했던 만화를 모아 놓은 책으로 지은이의 기지와 품세에 다시 한번 푹 빠질 수 있다. 특히 한겨레에 있을 때 교사에 대한 애정 표현이 지나치다는 지적을 받을 정도로 교사에 대한 이해가 깊고 여기서 다시 확인할 수 있다. 시사만화의 특성상 소재가 넓으므로 경우에 따라서 현장에서 폭넓게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6) 여성 그리고 노동자, 한국여성노동자협의회
아시아여성위원회에서 아시아 지역의 여성노동자들을 위해 발간한 교육용 교재를 번역한 것이다. 여성으로서 노동자로서 이 세상을 살아 가는 여성들의 삶의 모습을 다양하게 그리고 있다. 그림은 거칠지만 만화가 어떻게 이용될 수 있는지 잘 보여주는 책이다.
7) 기타
임꺽정, 이두호, 프레스빌
기억상실, 주완수, 글논그림밭
박흥용,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대원
기진호 : 아무튼 만화가 의미있다는 것을 느끼기만 해도 충분히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것에 대한 설명이 충분히 됐다고 생각하고요. 마지막으로 지금 국내 만화영화가 많이 실패하고 있는 데 오돌또기는 어떻게 되고 있는지요? 캐릭터가 굉장히 한국적인 느낌이던데요.
박재동 : 오돌또기의 캐릭터는 주위 사람들에서 뽑아내고 있습니다.이것은 우리의 독창성 문제거든요. 사람들은 일본만화 같은 것을 볼라면 일본만화를 보면 되었지, 왜 한국사람이 만든 일본아류를 볼 필요가 있느냐고 말합니다. 나는 이게 아주 정확한 지적이라고 봐요. 좋은 건 영향을 받고 배울 건 배워야 되지만 우리는 우리의 냄새 우리의 표정, 우리의 삶의 모습들 이런 것으로 성공를 해 볼려고 합니다. 그런 역사적 배경, 그런 의상, 그런 표정, 그런 캐릭터, 그런 음악으로 한번 해 보자, 이거죠. 빨라도 한 2년 생각하고 있습니다.
기진호 : 만화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어떤 연수 프로그램도, 아이들에게 투입할 수 있는 커리큘럼도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물론 만화를 연구해서 학습의 장에 투입할 수 있는 정신적, 시간적 여건도 없었구요. 오늘 이 이야기가 학교 현장에 만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바쁘신 중에도 시간을 내 주셔서 감사합니다.
<별첨자료 2>
교사를 위한 만화이론서 (초등 우리교육)
1) 만화 내 사랑, 박재동, 지인
“하나의 가치있는 문화로서 온당하게 평가받지 못해왔던 만화, 때로는 공부의 방해물로, 불량도서로, 그야말로 ‘천덕꾸러기’로 낙인찍혀왔던 만화”에 대한 고민을 담고 있는 책으로 현장교사이기도 했던 지은이 자신의 삶과 생각이 잔잔하게 담겨져 있다. 적은 분량이긴 하지만 “만화도 교과서에 실어야 한다” 논거를 볼 수 있다.
2) 만화의 이해, 스콧 매클루드, 아름드리
만화는 만화책이나, 연재만화와 같은 특정형태로서가 아니라, 그 자체를 하나의 매체로 정의해야 한다는 기본인식을 바탕으로 만화를 어떻게 정의할지, 만화의 기본 요소가 뭔지, 만화 언어를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하는 것을 다룬 만화로 그린 돋보이는 만화이론서이다.
3) 만화프로테크닉, 김영배 외, 다섯수레
만화의 재료와 도구, 기법 등을 설명하고 있다. 박재동, 이희재, 황미나 등의 치열한 고민과 작법을 담은 취재 기사도 싣고 있어 만화에 좀 더 가깝게 접근하게 해 준다. 여러 기법과 만화가를 다양하게 접할 수 있는 책이다.
4) 신나게 그려보자, 김충원, 진선
아이들을 위해 나온 책이지만, 만화를 지도하는 교사들에게 쓰임새가 많은 책이다. 저자는 사람들이 좋은 그림을 못 그리는 것이 아니고 다만 좋은 그림을 그릴 수 있는 훈련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좋지 않은 그림을 그릴 수밖에 없다면서 그 훈련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얼굴, 손발, 몸, 동작 표현 등을 다양하게 구체적으로 싣고 있어 쓰기에 따라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5) 기타
만화와 커뮤니케이션, 랜달 P. 해리슨, 이론과 실천
한국근현대만화사, 최열, 열화당 3권
한국만화통사, 손상익
한국 만화 50인 인터뷰,
만화를 위한 책, 박인하, 교보
만화산업연구, 한창완, 글논그림밭
< 별첨자료 3 >
삶이 있는 만화 (초등 우리 교육)
1) 간판스타, 이희재, 글논그림밭
“그 천진한 웃음 안에는 삶을 곧게 보는 내철한 눈이 있고, 웃음 뒤에는 그 웃음을 지켜내는 진실과 옳음을 움켜잡아 놓지 않는 쇠말뚝같은 팔뚝이 있다”는 박재동의 말처럼 우리 가까운 일상에 천착해서 이야기를 풀어가는 한국 최고의 리얼리스트라는 지은이의 마음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책이다. 더불어『나의 라임오렌지 나무』는 원작을 다시 그린 어린이용 작품이지만 원작보다도 더 어린이의 마음을 울리는 작품으로 꼭 구해서 보기를 권한다.
2) 부자의 그림일기, 오세영, 글논그림밭
“언어가 문학의 전달기호이고 영상이 영화의 언어인 것처럼 만화의 경우는 당연히 그림이 교감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작가의 주장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책이다. 월북작가들의 단편을 형상화한 작품이 실려 있기도 한 이 책에서 ‘완벽한 한국적인 회화성을 보여주는 만화가’ 라는 세평을 확인할 수 있다. “아! 이것은 예술이다”라고 박재동이 감탄하기도 한 「고샅을 지키는 아이」도 실려 있다.
3) 쥐, 아트 슈피겔만, 아름드리
1992년 퓰리처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히틀러 치하의 유럽에서 살아 남은 유태인 생존자인 아버지와 그의 아들인 지은이의 생활이 과거와 현실을 넘나들며 펼쳐지고 있다. 유태인을 쥐로, 독일인을 고양이로 그린 것은 일종의 억압구조를 상징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유태인의 영혼에 옭아매어 있는 지은이 스스로를 오랜 세월 각고와 자료수집으로 형상화시켰다.
4) 반쪽이의 육아일기, 최정현, 여성신문사
여성신문에 연재했던 것을 묶어 놓은 육아일기이다. 애를 키우는 데 벌어지는 일상을 보면서 지은이가 가정에서 스스로 싸워가며 자신의 삶의 몫을 다하려는 메시지가 전달된다. ‘남자 망신 다 시킨다’는 악평을 듣기도 했다는 지은이는 성적인 편견을 가진 사람들에게 자신의 생활은 어떠한지 돌아보게 한다.
5) 목 긴 사나이, 박재동, 글논그림밭
한겨레 그림판 등에 연재했던 만화를 모아 놓은 책으로 지은이의 기지와 품세에 다시 한번 푹 빠질 수 있다. 특히 한겨레에 있을 때 교사에 대한 애정 표현이 지나치다는 지적을 받을 정도로 교사에 대한 이해가 깊고 여기서 다시 확인할 수 있다. 시사만화의 특성상 소재가 넓으므로 경우에 따라서 현장에서 폭넓게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6) 여성 그리고 노동자, 한국여성노동자협의회
아시아여성위원회에서 아시아 지역의 여성노동자들을 위해 발간한 교육용 교재를 번역한 것이다. 여성으로서 노동자로서 이 세상을 살아 가는 여성들의 삶의 모습을 다양하게 그리고 있다. 그림은 거칠지만 만화가 어떻게 이용될 수 있는지 잘 보여주는 책이다.
7) 기타
임꺽정, 이두호, 프레스빌
기억상실, 주완수, 글논그림밭
박흥용,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대원
추천자료
[온라인토론수업]웹토론학습(가상토론수업, 인터넷)의 개념과 종류, 웹토론학습(가상토론수업...
[교실수업개선,장학활동,놀이활동]교실수업개선의 정의, 교실수업개선의 조건, 교실수업개선...
역사신문만들기학습(역사신문제작수업) 개념, 역사신문만들기학습(역사신문제작수업) 과정, ...
독서토론학습(독서토론수업)의 의의, 독서토론학습(독서토론수업)의 준비와 진행, 독서토론학...
STS학습모형(수업,과학기술사회)의 개념, 특성, 중요성, STS학습모형(수업,과학기술사회)의 ...
역사신문제작학습(역사신문만들기수업)의 필요성, 역사신문제작학습(역사신문만들기수업)의 ...
NIE(신문활용수업, 신문활용교육) 주안점, NIE(신문활용수업, 신문활용교육) 총체적언어교육...
WBI(웹기반수업,학습, 웹기반교육) 교육적 가치와 특징, WBI(웹기반수업,학습, 웹기반교육) ...
신문활용교육(신문활용수업, NIE) 목적과 전제조건, 신문활용교육(신문활용수업, NIE) 지도방...
[수업설계][수업설계 기본방향][수업설계 특징][수업설계 사례][수업설계 방법]수업설계의 의...
가정과교육 가족재구성수업프로그램, 사회과교육 이야기지도그리기수업프로그램, 미술과교육 ...
PBL(프로젝트수업, 프로젝트중심학습)의 의의와 요소, PBL(프로젝트수업, 프로젝트중심학습)...
[좋은수업][좋은수업을 위한 방법]좋은수업의 개념, 좋은수업의 성격, 좋은수업의 설계, 좋은...
[좋은수업][좋은수업 특징][좋은수업 조건][좋은수업 지도방법][좋은수업 교사 역할]좋은수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