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 실업현황과 고용촉진대책 ( 실업문제 실업대책 )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청년층 실업현황 1
1. 최근의 추이 1
2. OECD국가들과의 비교 7

Ⅱ. 청년층 실업실태조사 12
1. 청년층 실업자 조사결과 14
2. 취업알선기관 및 직업훈련기관 조사결과 44
3. 조사결과 요약 59

Ⅲ. 청년층 실업대책 69
1. 실태조사 결과의 정책적 시사점 69
2. 실업대책의 기본방향 71
3. 청년층 실업대책 73

참고문헌 82

부 록 83(설문지)

*한글97

본문내용

귀 기관의 훈련생 모집에 애로사항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1순위 ………( )
2순위 ………( )
□ ① 개설한 교육훈련과정의 지원자격이 제한적이다(고용보험 미적용 및 신규실업자에게 불리)
□ ② 개설한 교육훈련과정과 지원자의 희망직종이 일치하지 않는다
□ ③ 정책적으로 지원받은 교육과정이 현실적으로 실행이 불가능하다(고용전환훈련, 고용유지훈련, 제대군인훈련 등)
□ ④ 원거리 지역에 위치하고 통학시설 등이 갖추어져 있지 않다
□ ⑤ 홍보비용으로 인하여 홍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 ⑥ 기타
18. 귀 직업훈련 교육과정을 이수한 후 1년 이내에 기능사 자격증을 딸 수 있는 가능성은 얼마입니까?
□ ① 0%
□ ② 25%
□ ③ 50%
□ ④ 75%
□ ⑤ 90% 이상
□ ⑥ 자격증과정 아님
19. 귀 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을 이수한다면 그 분야의 1년내 취업가능성은 얼마나 된다고 판단하십니까?
□ ① 0%
□ ② 25%
□ ③ 50%
□ ④ 75%
□ ⑤ 90% 이상
20. 귀 기관의 훈련생들의 중도탈락률은 얼마나 됩니까? ( )%
21. 중도탈락 이유는 무엇입니까?
□ ① 훈련중 취업
□ ② 훈련비용 조달이 어려워서
□ ③ 훈련직종이 훈련생의 적성과 맞지 않아서
□ ④ 훈련과정에 대한 훈련생의 수강능력 부족
□ ⑤ 기타 개인사정에 의해서
22. 귀 기관의 훈련생의 신상에 대한 질문입니다(귀 기관의 전체 훈련생 대상)
성 별
남 자: ( )명 여 자: ( )명
학 력
고졸미만: ( )명 고 졸: ( )명
전문대졸: ( )명 대졸이상: ( )명
연 령
15∼20세: ( )명 21∼24세: ( )명
25∼29세: ( )명
구 분
신규취업희망자: ( )명
재취업 희망자: ( )명
23. 귀 기관 훈련생들의 교육훈련 수강태도는 어떠합니까?
□ ① 진지하다
□ ② 진지하지 못하다
□ ③ 그저 그렇다
24. 귀 기관 훈련생들의 교육훈련 직종 및 관련직업에 대한 인지도는 어느 정도입니까?
□ ① 전혀 모르고 있다
□ ② 그저 그렇다
□ ③ 알고 있다
□ ④ 잘 알고 있다
25. 귀 기관에서는 훈련생에 대하여 상담을 실시하고 있습니까?
□ ① 실시하지 않고 있다
□ ② 간혹 실시한다
□ ③ 자주 실시한다
□ ④ 항상 하고 있다
26. 훈련직종 상담시 취업관련 정보를 제공하십니까?
□ ① 제공하지 않고 있다
□ ② 간혹 제공한다
□ ③ 자주 제공한다
□ ④ 항상 제공하고 있다
27. 직업훈련 수료후에도 사후관리를 실시하십니까?
□ ① 실시하고 있다 □ ② 실시하지 않는다
28. 사후관리를 실시하고 있지 않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 ① 훈련과정 수료시 취업도 제대로 되지 않으므로 사후관리 불필요
□ ② 사후관리를 담당할 인원 및 예산부족
□ ③ 진로지도를 위한 정보의 부족
□ ④ 기타
29.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일련의 직업교육훈련 전반에 관한 문제점이나 애로사항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아래의 질문에 응답하여 주십시오.
29-1. 귀 기관의 교육훈련 기회, 정보수집, 홍보와 관련된 문제점은 무엇입니까?
1순위 ………( )
2순위 ………( )
□ ① 예산부족 또는 비용부담
□ ② 수시모집이 필요하지만 모집기간이 일률적으로 책정되어 있음(예, 3월과 9월에만 학기 시작)
□ ③ 훈련생간 수강능력 편차가 있기 때문에 훈련생 선발시 훈련기관의 권한 확대
□ ④ 교육훈련과정에 대한 홍보의 부족
□ ⑤ 기타
29-2. 귀 기관의 교육훈련 종류, 내용 및 수준과 관련된 문제점이나 애로사항은 무엇입니까?
1순위 ………( )
2순위 ………( )
□ ① 교육훈련 대상직종이 다양하게 개설될 필요가 있다
□ ② 실습비 부담이 커서 교육훈련의 내실화가 힘들다
□ ③ 현실에 부합하지 않는 교과과정이 많다
□ ④ 교육훈련 수강생들간의 수강능력 수준차이가 크다
□ ⑤ 기타
30. 귀 기관의 판단으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직업교육훈련에 있어 가장 큰 문제 또는 애로사항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순위 ( )
2순위 ( )
3순위 ( )
□ ① 사업체의 노동부 직업안정과에 구인등록 의무화
□ ② 취업정보 및 교육훈련 등록을 위한 중앙전산화, 전산설비용량 확충 및 인력보강
□ ③ 훈련시설의 현대화와 확충
□ ④ 훈련비 책정(예:항목별 정산)을 현실화해야 한다
□ ⑤ 형식적인 교육과목(체육, 교양과목 등)을 감축하고 실무관련과목의 증설
□ ⑥ 교육효과의 제고를 위해 실직자들의 사기진작을 감안한 교육프로그램 내용
□ ⑦ 현실적으로 실행불가능한 정책이 많다(군전역예정자교육, 고용전환훈련 등)
□ ⑧ 거리상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배려가 필요하다
□ ⑨ 교육훈련과정이 훈련기관의 수용능력을 초과하고 있다
31. 고용보험 미적용사업장에서 퇴사한 사람들과 청소년 신규실업자에 대한 교육훈련대책으로 타당하다고 생각하시는 것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 ① 고용보험에서 별도의 훈련수당을 지급할 필요가 있다
□ ② 현재의 고용촉진훈련과 교육기관을 이용한 교육훈련을 확대강화시켜야 한다
□ ③ 기타
♣ 끝까지 응답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
〈著者略歷〉
. 鄭 寅 樹
- 延世大 經營學科 卒業
- 韓國開發硏究院 硏究員
- 美國 뉴욕 州立大一빙햄턴 經濟學 博士
- 現 韓國勞動硏究院 先任硏究委員
. 論文 및 著書
- 「賃金과 生産性에 관한 硏究」, 한국노동연구원 1992.
- 「勤勞者派遣業의 現況과 政策課題」(共著), 한국노동연구원 1993.
- 「中小製造業 人力現況과 政策課題」, 한국노동연구원 1995.
-「雇傭構造 變化와 政策課題」, 한국노동연구원 1996.
-「地域經濟와 雇傭」, 한국노동연구원 1997.
-「主要國 勞動市場政策의 變化」, 한국노동연구원 1997.
-「就業形態 多樣化와 政策課題」, 한국노동연구원 1997 外 多數
청년층 실업현황과 고용촉진대책
1999년 7월 15일 인쇄
1999년 7월 20일 발행
발 행 인 朴 求
발 행 처
주 소 15 - 1 서울特別市 永登浦區
汝矣島洞 16-2 中小企業會館 9層
(代) (02) 782-0141
조 판 거 목 기 획
인 쇄 (代) 706-7077
등록일자 1988년 9월 14일
등록번호 제13-155호
한국노동연구원 정가 6,000원
  • 가격3,300
  • 페이지수118페이지
  • 등록일2002.11.13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17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