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중소기업의 중요성
Ⅱ.중소기업의 문제점
1. 중소기업의 도산 원인
2. 중소기업의 약점
Ⅲ.중소기업의 육성 방안
1. 사업규모
2. ‘인재는 확보할 수 있다’ (인재 확보)
3.‘현업 부문과 조직을 나눈다.(조직체제)
4.‘수고는 돈으로 보상한다’(임금 전략)
5. ‘소프트 면에 착안한다’(상품 전략)
6. ‘출구에서 입구를 본다’ (개발전략)
7. ‘자신이 만든 것은 자신이 판다.’(판매 방침)
참고 문헌
Ⅱ.중소기업의 문제점
1. 중소기업의 도산 원인
2. 중소기업의 약점
Ⅲ.중소기업의 육성 방안
1. 사업규모
2. ‘인재는 확보할 수 있다’ (인재 확보)
3.‘현업 부문과 조직을 나눈다.(조직체제)
4.‘수고는 돈으로 보상한다’(임금 전략)
5. ‘소프트 면에 착안한다’(상품 전략)
6. ‘출구에서 입구를 본다’ (개발전략)
7. ‘자신이 만든 것은 자신이 판다.’(판매 방침)
참고 문헌
본문내용
입수한다.
정보의 입수 방법은 갖가지가 있다. 정보 미디어가 발달한 오늘날에는 회사에 있으면서 소비 동향 등 대개의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정보는 일반 지식으로서는 도움이 되어도 경쟁을 피하고 공존하는 경영을 실천하기 위한 출구 정보로서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못한다. 유저에게 직접 가서 현장에서 이야기하는 속에 산 출구 정보가 묻혀 있다. 기업 속에 묻혀 있지 말고 , 밖으로 나가지 않으면 경쟁을 피하고 공존하는 경영의 계기마저 잡을 소 없다. 톱 스스로가 적극적으로 고객에게 , 업계, 다른 업종에 발을 옮겨가야 한다.
② 정보는 산 것이다.
정보는 소위 살아 있는 것이다. 아무리 가치 있는 정보라도 세월의 흐름과 더불어 부패된다.
애써 영업사원이 입수해 온 신제품에 관한 정보가 제조 부문의 한구석에서 방치되어 있다는 것은 흔히 있는 일이다. 그리고 불황으로 일이 줄게 되면 으레 현상타개의 수단으로서 들고나서게 된다. 그런데 그때는 고객의 의향도 변해 있을 것이고 무엇보다 불황이기 때문에 다른 동업자도 필사적이다. 상품화 단계에서 가격 경쟁이 현재화된다면 도저히 틈새 공간을 차별화할 수 없다.
이와 같은 폐해를 해소하기 위해 입수한 정보는 반드시 전술한 경쟁을 피하고 공존하는 경영 추진 조직으로 집중 관리한다. 이 조직은 입수 정보의 취사 선택을 해하여 상황에 따라서 현장과 외주에 구체적인 작업을 지시한다.
7. '자신이 만든 것은 자신이 판다.'(판매 방침)
중소기업에 공통된 구조적 약점은 판매 부족이다. 특히 하청 기업은 모회사의 주문대로 생산하면 반드시 모회사가 인수해주었다. 그 때문에 가격, 납기, 품질조건을 만족시키는 데 경영자원이 특수화되고, 영업 기능이 결정적으로 결핍되어 있다. 말하자면 극히 소수의 파트 타임 사무직원과 대다수 현장 작업원으로 구성되는 회사가 압도적으로 많다. 가령 영업사원이 있다해도 모회사의 단골 고객을 상대로 주문을 받으러 다니는 영업이고, 자사 제품을 판 경험이 적다. 때문에 제품 개발이 일단락 되면 그 다음은 타임에게 맡기는 판매자세가 두드러진다.
자신이 만든 것은 자신이 판다고 하는 자세를 철저하게 취하지 않으면 안 된다.
혁신적으로 우수한 초일류급의 상품이라면 특별하게 판매 활동을 하지 않아도 수요자 측에서 찾아온다. 그러나 그런 상품을 개발할 수 있는 중소기업은 '만에 하나' 도 없다. 대부분의 상품은 적은 아이디어가 겹쳐진 것이며 상품을 만든 자 자신이 열의를 가지고 판매하지 않으면 사는 사람의 마음을 끌어들일 수 없다.
자신이 판다는 것은 반드시 직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리점을 이용하는 것도 판로 확대의 효과적인 수단의 하나이다.
그러나 대리점에 맡겨 버리는 안이한 판매 자세는 엄격히 삼가야 한다. 대리점의 판매는 자칫하면 'one of them'의 취급 자세가 되고 팔릴지 어떨지 모르는 틈새 상품에까지 각별한 힘을 기울여 주지 않는다. 적어도 판매가 궤도에 오를 때까지 대리점과의 동반 판매를 유념하여 고객 개척과 동시에 대리점 영업사원에 대한 특별 조치를 잊어서는 안 된다.
상품을 보다 많이 팔기 위해 도움이 되는 것이 유저로부터 보내 오는 갖가지 클레임으로 정보를 캐치할 수 없다. 클레임 시트로 회수해도 판매처의 현장을 보지 못했기 때문에 소비자의 미묘한 요구가 좀처럼 전해오지 않는다. '백문이 불여 일견'이다. 메인터넌스나 이용 상황조사를 통해서 소비자와의 창구를 확보하여 가능한 한 현장 정보를 제품 개발에 살려야 한다.
참고 문헌
중소기업 경영론, 박춘엽 박영배 공저, 학문사, 1998.
중소기업을 살리는 11가지 방법, 이시가미 요시오, 일송미디어, 1997.
정보의 입수 방법은 갖가지가 있다. 정보 미디어가 발달한 오늘날에는 회사에 있으면서 소비 동향 등 대개의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정보는 일반 지식으로서는 도움이 되어도 경쟁을 피하고 공존하는 경영을 실천하기 위한 출구 정보로서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못한다. 유저에게 직접 가서 현장에서 이야기하는 속에 산 출구 정보가 묻혀 있다. 기업 속에 묻혀 있지 말고 , 밖으로 나가지 않으면 경쟁을 피하고 공존하는 경영의 계기마저 잡을 소 없다. 톱 스스로가 적극적으로 고객에게 , 업계, 다른 업종에 발을 옮겨가야 한다.
② 정보는 산 것이다.
정보는 소위 살아 있는 것이다. 아무리 가치 있는 정보라도 세월의 흐름과 더불어 부패된다.
애써 영업사원이 입수해 온 신제품에 관한 정보가 제조 부문의 한구석에서 방치되어 있다는 것은 흔히 있는 일이다. 그리고 불황으로 일이 줄게 되면 으레 현상타개의 수단으로서 들고나서게 된다. 그런데 그때는 고객의 의향도 변해 있을 것이고 무엇보다 불황이기 때문에 다른 동업자도 필사적이다. 상품화 단계에서 가격 경쟁이 현재화된다면 도저히 틈새 공간을 차별화할 수 없다.
이와 같은 폐해를 해소하기 위해 입수한 정보는 반드시 전술한 경쟁을 피하고 공존하는 경영 추진 조직으로 집중 관리한다. 이 조직은 입수 정보의 취사 선택을 해하여 상황에 따라서 현장과 외주에 구체적인 작업을 지시한다.
7. '자신이 만든 것은 자신이 판다.'(판매 방침)
중소기업에 공통된 구조적 약점은 판매 부족이다. 특히 하청 기업은 모회사의 주문대로 생산하면 반드시 모회사가 인수해주었다. 그 때문에 가격, 납기, 품질조건을 만족시키는 데 경영자원이 특수화되고, 영업 기능이 결정적으로 결핍되어 있다. 말하자면 극히 소수의 파트 타임 사무직원과 대다수 현장 작업원으로 구성되는 회사가 압도적으로 많다. 가령 영업사원이 있다해도 모회사의 단골 고객을 상대로 주문을 받으러 다니는 영업이고, 자사 제품을 판 경험이 적다. 때문에 제품 개발이 일단락 되면 그 다음은 타임에게 맡기는 판매자세가 두드러진다.
자신이 만든 것은 자신이 판다고 하는 자세를 철저하게 취하지 않으면 안 된다.
혁신적으로 우수한 초일류급의 상품이라면 특별하게 판매 활동을 하지 않아도 수요자 측에서 찾아온다. 그러나 그런 상품을 개발할 수 있는 중소기업은 '만에 하나' 도 없다. 대부분의 상품은 적은 아이디어가 겹쳐진 것이며 상품을 만든 자 자신이 열의를 가지고 판매하지 않으면 사는 사람의 마음을 끌어들일 수 없다.
자신이 판다는 것은 반드시 직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리점을 이용하는 것도 판로 확대의 효과적인 수단의 하나이다.
그러나 대리점에 맡겨 버리는 안이한 판매 자세는 엄격히 삼가야 한다. 대리점의 판매는 자칫하면 'one of them'의 취급 자세가 되고 팔릴지 어떨지 모르는 틈새 상품에까지 각별한 힘을 기울여 주지 않는다. 적어도 판매가 궤도에 오를 때까지 대리점과의 동반 판매를 유념하여 고객 개척과 동시에 대리점 영업사원에 대한 특별 조치를 잊어서는 안 된다.
상품을 보다 많이 팔기 위해 도움이 되는 것이 유저로부터 보내 오는 갖가지 클레임으로 정보를 캐치할 수 없다. 클레임 시트로 회수해도 판매처의 현장을 보지 못했기 때문에 소비자의 미묘한 요구가 좀처럼 전해오지 않는다. '백문이 불여 일견'이다. 메인터넌스나 이용 상황조사를 통해서 소비자와의 창구를 확보하여 가능한 한 현장 정보를 제품 개발에 살려야 한다.
참고 문헌
중소기업 경영론, 박춘엽 박영배 공저, 학문사, 1998.
중소기업을 살리는 11가지 방법, 이시가미 요시오, 일송미디어, 1997.
추천자료
[중소기업경영론]중소기업의 성공.실패요인과 지원제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중소기업경영론] 중소기업의 성공 및 실패요인과 지원제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중소기업경영]성공적인 중소기업 경영자의 조건과 중소기업 지원제도
(중소기업경영론A형)중소기업의 성패요인과 지원제도에 대한 고찰
경제정책에서 중소기업정책의 과제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양극화문제,중소기업대기업상생협력>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관계]대기업과 중소기업간 관계의 형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관계의 ...
[제주도지역 중소기업][제주도][중소기업][기업][정책자금][자금]제주도지역 중소기업의 성격...
[제주도지역 중소기업][제주도지역 중소기업 지원][제주도지역 중소기업 간접금융]제주도지역...
[기업 지원제도][중소기업 지원제도][여성기업 지원제도][신노사문화추진기업 지원제도][중소...
[기업 창업지원][기업][창업][IT벤처기업 창업지원][중소기업 창업지원][소기업][소상공업][...
[정부][기업][정부와 대기업][정부와 공기업][정부와 중소기업][정부와 벤처기업][대기업][공...
중소기업中小企業경영론_주위의 중소기업을 하나 선정하여 그곳의 마케팅전략을 조사하고 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