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와 질병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체세포 돌연변이 이론

2. 단백질 이상 및 수정 이론

3. 활성기 (free radical) 이론

4. 면역학적 이론

5. 세포 독성 축적

6. 내분비계 및 프로그램 이론

7. 절식 이론

8. 탈분화 ( Dysdifferentiation) 및
정교한 유전적 조절 필요

본문내용

여자가 남자보다 왜! 오래 살까?
1. 성 호르몬의 차이
전 여성에게는 에스트로겐이 폐경기 전까지 분비된다. 에스트로겐은 저밀도지방산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심장병 예방이나 일부 암의 유발요인을 억제하는 성분이 있 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 염색체의 차이
여성의 XX 염색체는 상호 보완적이지만, 남성의 XY 염색체는 그렇지 못하다.
3. 생물학적으로 우성인 여성
남성호르몬의 부재 시 여성으로 발생한다. 남자아이의 태아/영아 시 사망률이 높다.
4 환경 적인 요인
유전적인 요인 때문이라기 보다는 생활 습관 또는 문화의 차이가 수명 차이에 영향을 미친다.
노화에 관한 학설
체세포 돌연변이 이론
단백질 이상 및 수정 이론
활성기 (free radical) 이론
면역학적 이론
세포 독성 축적
내분비계 및 프로그램 이론
절식 이론
탈분화 및 후 유전적 이론
마모설 (소모성 이론)
교차 결합설
프로그램설
수명 에러설
섬유화설
내분비설
면역설
세포 주기설
DNA 손상설
기타... ∼300여종의 학설로 상호 보완적, 비판적이거나 동일한 것들도 있다.
1. 체세포 돌연변이 이론
- 외부적인 자극에 의해 체세포 돌연변이가
축적되어 세포 기능 퇴행.
- DNA 손상
생체 내 DNA repair system이 복구
보완이 안 되었을 때 : cell cycle arrest와
apoptosis가 일어남
2. 단백질 이상 및 수정 이론
⊙ 단백질 등의 고분자
전사 및 번역의 오류 증가
고분자간의 cross-linking에 의해 활성 감소(교차 결합설)
⊙ 비 활성형 단백질 : 정상 상태에서는 분해됨
⊙ 노화 진행시 잘못된 단백질의 축적
3. 활성기 (free radical) 이론
⊙ 전자전달 과정중의 산소 중 2∼3% 활성 산소화
⊙ 활성 산소 : superoxide anion, hydrogen peroxide, hydroxy radical 등.
⊙ 체내 활성 산소 대응 효소 (항산화 효소)
SOD(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 SOD와 catalase 양이 많은 돌연변이 선충 - 장수
⊙ 활성 산소 특히 mitochondrial (mt) DNA에 심각한 손상
4. 면역학적 이론
⊙ 자가 면역질환 (관절염, 천식 등)과 같은 면역조절의
비 이상적 기능
⊙ 면역세포 감소에 의한 정상 면역기능 저하
항체의 생산 능력 감소
T 림프구의 기능 감소
유년기 이후 흉선 감소
5. 세포 독성 축적
⊙ 독성 물질의 체내 누적과 해독 작용의 저하
- 발암 물질 (흡연, 자외선, Dioxin 등)
- 신경독성 물질 (동식물 음식 섭취)
- 대사 산물 (간 독성, 신장 독성 물질)
- 환경 독성 물질
6. 내분비계 및 프로그램 이론
⊙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Hormone 분비 (특히 신경 내분비 계)의 퇴행성 변화 생체 시계
(예) Hypophysectomy (뇌하수체 전엽 제거 수술)된 쥐 는 수명이 연장
⊙성장 hormone
노인에게 hormone 투여 시 근육질 증가,
insulin-like growth factor(IGF) 증가 회춘 현상
7. 절식 이론
절식 : 수명 연장, 노화 관련 질병에 대한 저항성 증가
<그 림>
*음식 섭취량에 따른 쥐의 생존 곡선
8. 탈분화 ( Dysdifferentiation) 및
정교한 유전적 조절 필요
(예)Ectopic Expression
각 분화 세포의 유전자 발현 양상이 교환되어 생체 기능 이 퇴행적으로 변화
Craniofacial(안면 근 골격) movement
조절 유전자 이상 발현 노화 phenotype
노화 현상
(1) 분자 수준에서의 노화
- DNA (유전자의 본체)의 손상
- 손상된 DNA의 회복 기능 저하
- 유전암호 해독 착오 등의 원인
(2) 세포 수준에서의 노화
- 세포 내 물질 대사의 변화와 더불어 격심한 세포기능 상실로 나타난다.
(3) 조직/기관 수준에서의 노화
- 심박 출량 감소 및 혈압 상승과 맥압 증가의 순환계 노화
- 폐활량 감소 및 폐포의 기체 교환 능력 감소에 따른 호흡계 노화
- 네프론 수효 및 여과/재흡수 능력 감소의 신장계 노화
- 지각기능 및 신경전도 속도와 뇌 혈류량 감소의 신경계 노화
- 성호르몬 저하의 내분비계 노화
- 위액 분비 감소 및 영양소 흡수 능력 저하의 소화계 노화
- 여자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골(뼈)량 감소의 골격계 노화
(4) 개체 수준에서의 노화
- 반사 행동 저하에 따른 외부 자극을 피하는 능력의 저하
- 오줌 배설 기능 저하
- 체온 조절 능력의 저하
- 혈당 등 물질 대사 조정 능력의 저하
노화 증세
1. 호르몬 (성 호르몬, 성장 호르몬, 인슐린 유사성장 인자 등) 시스템의 활성 저하
2. 근육질량 감소, 체지방과 수분은 증가 (운동력 감소)
3. 골격의 변화 (연골의 경화, 골다공증 등)
4. 피부주름 생성
5. 시력약화 (근육 및 각막의 탄력 감소, 시신경 기능 저하)
6. 청각 기능 쇠퇴 (고주파 불청)
7. 식욕 저하
8. 혈액량 감소
9. 대뇌피질 세포 수 감소
10. 노화 색소의 침착 (리포 퓨신)
11. 세포 기능의 저하 (재생 및 수선)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2.11.16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21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