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의 질병 조사 폐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인의 질병 조사 폐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론

Ⅱ. 본론
1. 폐의 개념
2. 폐의 기능
3. 폐암이란
4. 폐암의 종류
5. 폐암의 발생 원인
(1) 직업과 폐 암 관계
(2) 대도시 주민이 농촌 주민보다 폐 암에 걸릴 확률이 높다
6. 폐암의 발생율
7. 폐암의 증상
(1) 초기 자각 증상
(2) 암 세포가 성장하면 일어나는 증상
(3) 전이에 의해 일어나는 증상
(4) 암조직 자체에서 분비하는 물질로 인해 일어나는 증상
8. 폐 암의 진단방법
(1) 흉부 X선 촬영
(2) X선 특수촬영
(3) 조직검사
(4) 고전압촬영법
(5) 흉부진찰
8. 폐 암의 치료
9. 폐 암의 예방

Ⅲ. 결론

본문내용

쿠싱 증후군,
6. 고칼슘증 등을 나타내게 된다.
8. 폐 암의 진단방법
폐 암은 굵은 기관지 가까이에 생기는 중심부 폐암과 폐의 말초부에 생기는 주변부 폐암으로 나누어진다. 그런데 중심부 폐암의 경우, 암이 생겼더라도 심장이나 큰 혈관 뒤쪽에 가리워져 있으면 흉부 X선 촬영만으로는 발견 할 수가 없다. 또한 주변부 암도 그 크기가 직경 1cm 이하인 경우에는 확실히 진단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폐암의 확실한 진단을 위해서는 흉부 X선 촬영과 함께 조직 검사, 기관지경 검사,
흉부진찰, 고전압촬영, 객담세포진 검사 등이 필요하다.
(1) 흉부 X선 촬영
폐 암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는 주변부 폐암의 경우, 그 크기가 1g 정도 되었을 때 흉부 X선사진을 찍으면 폐 주변부의 결절로 나타난다.
(2) X선 특수촬영
단순한 X선 촬영 결과 폐암으로 의심이 갈 경우, 흉부 컴퓨터 단층 촬영, 관지 조영 등
특수촬영을 한다.
(3) 조직검사
담배를 많이 피우는 사람이거나, 가족 중에 폐암 환자가 있을 경우, 흉부 X선 사진에서 폐결절이 나타나면 조직검사를 해 보는 것이 좋다. 조직검사로는 보통 형광투시 유도 하에서 피부 밖에서 바늘을 찔러 넣어 하는 경피침자생검법 등이 많이 쓰인다.
(4) 고전압촬영법
중심부 폐 암은 주변부 폐암과는 달리 기관지 내부에서 자라나 커진 다음 기관을 막거나 주변부로 파고들어 증상을 일으킬 때 보통 흉부 X선 사진상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는다.
이것은 기관지가 흉부 X선 사진의 사각지대에 있기 때문인데, 최근에 쓰이는 고전압 촬영법을 이용하여 기관과 기관지를 추적해 보면 미세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5) 흉부진찰
가슴부분에 청진기를 댔을 때, 일정한 부위에서 쌕쌕거리는 소리, 즉 천명이 들린다면 그 부분의 기관과 기관지를 막고 있는 종양이나 이물 또는 기관과 기관지협착이 있음을 의심할 수 있다 깊은 곳에 있는 가래를 받아 현미경으로 가래와 함께 떨어져 나오는 암세포를 찾아내는 검사다.
8. 폐 암의 치료
소세포 폐암은 수술 보다는 화학 요법과 방사선 요법으로 소세포암은 폐암의 20%를 차지하는 것으로, 폐 암 중 가장 악명이 높다.
암세포의 성장속도가 매우 빨라서, 진단 후 치료를 하지 않고 그대로 두면 몇 달 못가서 죽음에 이르게 된다. 보통 폐의 중심부에서 발생하는데, 진단시 이미 림프관이나 멀리 있는 장기로 전이된 경우가 많다.
소세포 폐 암은 아무리 암덩어리의 크기가 작은 상태로 발견된다 해도 수술로는 치유되지 않는다.
수술이 효과적인 것인 비소세포암이다. 폐 암의 80% 정도를 차지하는 비소세포 암에는 편평상피세포 암, 대세포 암, 선 암의 세 가지 형태가 있다.
암 덩어리의 크기, 주변조직 침투 여부, 림프선의 침범 정도, 그리고 멀리 떨어진 장기로의 전이 여부에 따라 병기를 정하고 치료방법을 결정하는데, 수술을 제외하고는 치료효과가 적다. 비소세포 암 환자 100명 중 수술이 가능한 환자는 보통 20명 정도인데, 그중 단지 5명 정도만이 5년 생존율이 보인다.
9. 폐 암의 예방
폐 암의 예방은 금연
폐 암은 가장 치유하기 힘든 암 중 하나다. 폐 암환자의 70%가 1년 내에 사망하며, 87%가 5년 내에 사망한다. 가장 확실한 예방법은 발암원인 1위인 담배를 피우지 않는 것이다 .
그러나 담배를 계속 피워 온 사람일지라도, 완전히 끊기만 한다면 10~20년 안에 원래부터
안 피우는 사람과 거의 같은 수준으로 암에 걸릴 확률이 떨어진다고 한다.
비타민 A와 C의 항암 효과
과일과 채소를 많이 먹는 것이 폐암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암 발생 위험을 감소시킨다 는 것은과학적으로 입증된 사실이다. 즉 과일과 채소를 많이 먹는 사람은 적게 먹는 사람에 비해 암 발생의 위험이 2분의 1로 줄어드는데, 그 이유는 야채와 과일에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 A의 전구물질인 베타카로틴과 비타민 C의 작용 때문이다.
Ⅲ. 결론
결론적으로 폐암의 예방 및 조기 발견을 위해서는 철저하게 금연을 해야 하는 데, 특히 청소년들이 담배를 배우지 않도록 계몽하고 성인들은 가능하면 4개월에 1번, 최소한 1 년에 1번이상 흉부 방사선 검사를 받아야 한다. 이러한 운동이 성공한다면 수십년 후 암의 통계에서 폐암이 차지하는 비중은 급격히 낮아 질 것이다. 국내에서도 매년 1만여 명이 폐암으로 사망한다. 슬프게도 이 명단은 앞으로도 늘어 갈 것이다 .힘들더라도 모든 사람들이 금연에 꼭 성공하셔서 아픔 없이 건강하셨으면 좋겠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12.25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93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