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힘을 얻는다"라고 말한다. (BK., s.243)
다른 또 하나는 예수의 말씀 자체가 곧 사건이고 행위이다는 의미이다. 즉 선포는 오로지 말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선포자인 교회의 삶을 통해서, 말씀자체의 행위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오늘도 "하나님의 말씀이 선포되고 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이것은 또 하나의 예수의 부활을 현재화시키는 방법이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말씀이 행위로서 말씀을 듣는자에게 결단을 요구하게 하고, 부활을 체험하게 하기 때문이다.
) 하나님께서 구원의 사건과 함께 즉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과 함께 동시에 선포하는 말씀을 세우셨다. 이 말씀이 울려 퍼지는데서는 종말론적인 구원의 시간, 즉 현재가 있다. (H. Ott, Ibid., s.389)
그리고 선포를 통해서 하나님은 나(Ich)에게 말씀하시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현재적인 그리스도는 선포된 그리스도이다. 우리는 여기서 (dabar)의 의미를 다시 한번 상기해 볼 필요가 있다; dabar에서 야훼는 그 본질을 알리며, 야훼의 dabar를 가진 자는 야훼를 안다. dabar는 신의 부분, 유출 혹은 그의 실체 이상이며, 또 그것은 야훼의 표현양식, 말하자면 최고의 현현양식이다. dabar는 야훼가 죽을 인간들에게 인식될 수 있는 한에서 야훼이다(비교, 롬1,20)
) T. Boman, op. cit., s.80
이런 의미에서 하나님의 말씀이 선포를 통해서 현재화 된다는 것은 "하나님께서 오늘도 우리와 함께 하신다"는 표현양식이 된다. 우리가 말씀 속에 거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 표현 양식이 정확하다면, 선포는 곧 "성례전적 행위"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성례전은 곧 하나님의 임재하심(현존)을 나타내는 표현 양식이기 때문이고, 말씀의 "한 특수한 형식"이요 "공동체의 삶과 고백의 행위"이기 때문이다.
) 김균진, 기독교 조직신학IV; 연세대학교 출판부; 서울, 1993. s.425에서 재인용
5. 나의 신앙고백으로서의 예수
나는 무엇?
남들은 가끔 나더러 말하기를
감방에서 나오는 나의 모습이
어찌 침착하고 명랑, 확고한지
마치 자기 성에서 나오는 영주 같다는데
나는 무엇?
남들은 가끔 나더러 말하기를
감시원과 말하는 나의 모습이
어찌 자유롭고 친절, 분명한지
마치 내가 그들의 상전 같다는데
나는 무엇?
남들은 또 나에게 말하기를
불행한 하루를 지내는 나의 모습이
어찌 평온하게 웃으며 당당한지
마치 승리만을 아는 투사 같다는데
남의 말의 내가 참 나냐?
나 스스로 아는 내가 참 나냐?
새장에 든 새처럼 불안하고 그립고 약한 나
목을 졸린 사람처럼 살고 싶어 몸부림치는 나
색과 꽃과 새소리에 주리고
좋은 말 따뜻한 말동무에 목말라하고
방종과 사소한 굴욕에도 떨며 참지 못하고
석방의 날을 안타깝게 기다리다 지친 나
친구의 신변을 염려하다 지쳤다.
이제는 기도에도, 생각과 일에도
지쳐 공허하게 된 나다.
이별에도 지쳤다-이것이 내가 아닌가?
나는 무엇
이 둘 중 어느 것이 나냐?
오늘은 이 사람이고 내일은 저 사람인가?
이 둘이 동시에 나냐?
남 앞에선 허세, 자신 앞에선 한없이
불쌍하고 약한 난가?
이미 결정된 승리 앞에서
무질서에 떠는 패잔병에 비교할 것인가?
나는 무엇?
이 적막한 물음은 나를 끝없이
희롱한다.
내가 누구이든
나를 아는 이는 오직 당신 뿐
나는 당신의 것이외다.
오! 하나님
6. 참고 도서
Barth, Karl, Die kirchliche Dogmatik, I/1,
Barth, Karl, 전경연 역, 바르트 교의학 개요(Dogmatik im Grundris), 한신대학 출판부; 서울, 1989.
Boman, Thorlief, (허혁 역), Das hebraische Denken im Vergleich mit dem griechschen (히브리적 사유와 그리스적 사유의 비교); 분도 출판사; 왜관, 1975.
Bonhoeffer, Dietrich (고범서 역), Widerstand und Begebung (저항과 복종) ;대한 기독교 서회; 서울, 1967.
Bonhoeffer, Dietrich (허혁 역), Nachfoge(나를 따르라), 대한 기독교 서회: 서울,1989.
Gogarten, Friedrich (맹용길 역), Verhangnis und Hoffnung der Neuzeit(우리 시대의 절망과 희망); 대한 기독교 서회; 서울, 1982.
Jungel, Ebehard (허혁 역), Paulus und Jesus, eine Untersuchung zur prazisierung der Frage nach dem Ursprung der Christologie(바울과 예수); 이화여자 대학교 출판부; 서울, 1982.
Kim Jae Jin, Die Universalitat der Versohnung im Gottesbund; Lit; Munster, 1992. s.21
Ott, Heirich (김광식), Die Antwort des Glaubens von H. Ott(신학 해제); 한국 신학 연구소; 서울, 1985.
Schweizer, Eduard (국제 성서 주석 번역실 역), Das Evangelium nach Matthaus(마태오 복음); 한국신학 연구소; 서울, 1986.
Weinfeld, M., Theologisches Worterbuch zum Alten Testament, Bd., I; W. Kohlhammer; Stuttgart, 1973.
Welker, Michael, 김재진 역, 성서에 기초한 최근의 핵심적 주제,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서울, 1998.
김광식, 조직신학 II, 대한 기독교 서회; 서울, 1992.
김균진, 기독교 조직신학 III, 연세 대학교 출판부; 서울, 1992.
김균진, 기독교 조직신학IV; 연세대학교 출판부; 서울, 1993.
김재진, 계시형태의 변형 속에 있는 삼위일체의 흔적, in 계명신학, Vol. 8; 계명신학; 대구, 1993.
박봉랑, 신의 세속화; 대한 기독교 출판사; 서울, 1988.
박재순, 하나님 없이 하나님 앞에, 한울; 서울, 1994.
다른 또 하나는 예수의 말씀 자체가 곧 사건이고 행위이다는 의미이다. 즉 선포는 오로지 말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선포자인 교회의 삶을 통해서, 말씀자체의 행위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오늘도 "하나님의 말씀이 선포되고 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이것은 또 하나의 예수의 부활을 현재화시키는 방법이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말씀이 행위로서 말씀을 듣는자에게 결단을 요구하게 하고, 부활을 체험하게 하기 때문이다.
) 하나님께서 구원의 사건과 함께 즉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과 함께 동시에 선포하는 말씀을 세우셨다. 이 말씀이 울려 퍼지는데서는 종말론적인 구원의 시간, 즉 현재가 있다. (H. Ott, Ibid., s.389)
그리고 선포를 통해서 하나님은 나(Ich)에게 말씀하시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현재적인 그리스도는 선포된 그리스도이다. 우리는 여기서 (dabar)의 의미를 다시 한번 상기해 볼 필요가 있다; dabar에서 야훼는 그 본질을 알리며, 야훼의 dabar를 가진 자는 야훼를 안다. dabar는 신의 부분, 유출 혹은 그의 실체 이상이며, 또 그것은 야훼의 표현양식, 말하자면 최고의 현현양식이다. dabar는 야훼가 죽을 인간들에게 인식될 수 있는 한에서 야훼이다(비교, 롬1,20)
) T. Boman, op. cit., s.80
이런 의미에서 하나님의 말씀이 선포를 통해서 현재화 된다는 것은 "하나님께서 오늘도 우리와 함께 하신다"는 표현양식이 된다. 우리가 말씀 속에 거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 표현 양식이 정확하다면, 선포는 곧 "성례전적 행위"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성례전은 곧 하나님의 임재하심(현존)을 나타내는 표현 양식이기 때문이고, 말씀의 "한 특수한 형식"이요 "공동체의 삶과 고백의 행위"이기 때문이다.
) 김균진, 기독교 조직신학IV; 연세대학교 출판부; 서울, 1993. s.425에서 재인용
5. 나의 신앙고백으로서의 예수
나는 무엇?
남들은 가끔 나더러 말하기를
감방에서 나오는 나의 모습이
어찌 침착하고 명랑, 확고한지
마치 자기 성에서 나오는 영주 같다는데
나는 무엇?
남들은 가끔 나더러 말하기를
감시원과 말하는 나의 모습이
어찌 자유롭고 친절, 분명한지
마치 내가 그들의 상전 같다는데
나는 무엇?
남들은 또 나에게 말하기를
불행한 하루를 지내는 나의 모습이
어찌 평온하게 웃으며 당당한지
마치 승리만을 아는 투사 같다는데
남의 말의 내가 참 나냐?
나 스스로 아는 내가 참 나냐?
새장에 든 새처럼 불안하고 그립고 약한 나
목을 졸린 사람처럼 살고 싶어 몸부림치는 나
색과 꽃과 새소리에 주리고
좋은 말 따뜻한 말동무에 목말라하고
방종과 사소한 굴욕에도 떨며 참지 못하고
석방의 날을 안타깝게 기다리다 지친 나
친구의 신변을 염려하다 지쳤다.
이제는 기도에도, 생각과 일에도
지쳐 공허하게 된 나다.
이별에도 지쳤다-이것이 내가 아닌가?
나는 무엇
이 둘 중 어느 것이 나냐?
오늘은 이 사람이고 내일은 저 사람인가?
이 둘이 동시에 나냐?
남 앞에선 허세, 자신 앞에선 한없이
불쌍하고 약한 난가?
이미 결정된 승리 앞에서
무질서에 떠는 패잔병에 비교할 것인가?
나는 무엇?
이 적막한 물음은 나를 끝없이
희롱한다.
내가 누구이든
나를 아는 이는 오직 당신 뿐
나는 당신의 것이외다.
오! 하나님
6. 참고 도서
Barth, Karl, Die kirchliche Dogmatik, I/1,
Barth, Karl, 전경연 역, 바르트 교의학 개요(Dogmatik im Grundris), 한신대학 출판부; 서울, 1989.
Boman, Thorlief, (허혁 역), Das hebraische Denken im Vergleich mit dem griechschen (히브리적 사유와 그리스적 사유의 비교); 분도 출판사; 왜관, 1975.
Bonhoeffer, Dietrich (고범서 역), Widerstand und Begebung (저항과 복종) ;대한 기독교 서회; 서울, 1967.
Bonhoeffer, Dietrich (허혁 역), Nachfoge(나를 따르라), 대한 기독교 서회: 서울,1989.
Gogarten, Friedrich (맹용길 역), Verhangnis und Hoffnung der Neuzeit(우리 시대의 절망과 희망); 대한 기독교 서회; 서울, 1982.
Jungel, Ebehard (허혁 역), Paulus und Jesus, eine Untersuchung zur prazisierung der Frage nach dem Ursprung der Christologie(바울과 예수); 이화여자 대학교 출판부; 서울, 1982.
Kim Jae Jin, Die Universalitat der Versohnung im Gottesbund; Lit; Munster, 1992. s.21
Ott, Heirich (김광식), Die Antwort des Glaubens von H. Ott(신학 해제); 한국 신학 연구소; 서울, 1985.
Schweizer, Eduard (국제 성서 주석 번역실 역), Das Evangelium nach Matthaus(마태오 복음); 한국신학 연구소; 서울, 1986.
Weinfeld, M., Theologisches Worterbuch zum Alten Testament, Bd., I; W. Kohlhammer; Stuttgart, 1973.
Welker, Michael, 김재진 역, 성서에 기초한 최근의 핵심적 주제,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서울, 1998.
김광식, 조직신학 II, 대한 기독교 서회; 서울, 1992.
김균진, 기독교 조직신학 III, 연세 대학교 출판부; 서울, 1992.
김균진, 기독교 조직신학IV; 연세대학교 출판부; 서울, 1993.
김재진, 계시형태의 변형 속에 있는 삼위일체의 흔적, in 계명신학, Vol. 8; 계명신학; 대구, 1993.
박봉랑, 신의 세속화; 대한 기독교 출판사; 서울, 1988.
박재순, 하나님 없이 하나님 앞에, 한울; 서울, 1994.
추천자료
세례 요한의 옥중 질문에 대한 예수의 답변을 통해 본 기적의 주석적 고찰 (마11:1-6을 중심...
복음과 율법의 관계
기독교 이단 종파 혹은 이단교회 등에 관한 간략한 조사
이한수 교수의 갈라디아서 요약및 서평
기독론의 내용과 자리 밑에서 위로의 기독론의 부당성 위에서 밑으로 시작하는 기독
구약성서과 신약성서의 의미,구약과 신약의 차이점[서술]
[기독론][기독론 단계][생태학적 기독론][우주적 기독론][기독론과 십자가][기독론 방법]기독...
바울신학 (제임스 던) 요약
4복음서 요약
초대교회사 요약정리
조직신학-그리스도론(A+)
바울신학의 새 생명
종교와 이단,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