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처리의 개념 및 필요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고도처리의 개념 및 필요성
미생물의 분류
질소와 인의 종류
생물학적 인제거의 이론
CPR과 BPR의 비교
질소제거이론

본문내용

하여 첫 번째 호기조에서 유입 유기물의 농도를 높게 유지하여 인의 흡수속도를 증가시키는 것과 고율로 운전하여 활성미생물량을 증가시켜 반응조의 크기(체류시간)을 감소시킨 것이다. UCT 공법은 SRT 10-30일로 운전하나 VIP 공법은 SRT 5-10일 정도로 운전한다.
MUCT 공법과의 차이점은 무산소조의 혼합액을 혐기조로 반송(ARCY)시키는 위치가 MUCT 공법은 첫 번째 무산소조에서 수행하나, VIP 공법은 마지막 무산소조에서 수행한다는 것이다. 즉 MUCT 공법은 반송슬러지를 탈질시키는 무산소조에서 혐기조로 반송(ARCY)시키고 VIP 공법은 호기조 혼합액을 탈질시킨 후에 혐기조로 반송시키는 것이다.
2) 설계 및 운전인자
SRT 5 - 10 days (10days)
HRT 6 - 8 hrs
F/M 0.2 - 0.5 kg/kg·d
MLSS 2,000 - 4,000 mg/L
슬러지 반송율 50 %
제1내부순환율(NRCY) 100 - 200 %
제2내부순환율(ARCY) 100 - 200 %
3) 장단점
장점 : 짧은 체류시간으로 질소와 인을 비교적 효율적으로 제거한다.
단점 : 운전이 복잡하다.
7. Bardenpho 공법
1) 개요
본 공법은 유기물의 농도가 높은 경우(BOD 200 mg/L 정도)에 24시간 정도의 긴 체류시간으로 질소와 인을 제거하는 공법이다.
혐기조에서는 인을 방출하며 첫 번째 무산소조에서는 첫 번째 호기조에서 질산화된 혼합액을 유입시켜 탈질반응에 의하여 질산성 질소로 제거한다. 첫 번째 호기조에서는 유기물 제거 및 암모니아성 질소를 질산성 질소로 산화시켜 무산소조로 반송시킨다. 두 번째 무산소조에서는 앞 단의 호기조에서 유입되는 질산성 질소를 내생탈질에 의하여 질소가스로 제거시킨다. 마지막 위치의 호기조는 침전지의 용존산소가 부족하여 혐기성 상태가 되면 인의 방출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용존산소 공급 기능을 수행한다.
유입수의 유기물 농도가 BOD 200 mg/L 정도로 유지되면 질소와 인을 매우 높은 정도로 제거할 수 있는 공법이다. 국내처럼 BOD 100 mg/L 정도에서는 긴 체류시간으로 인하여 탈질 반응에 필요한 유기물이 부족하여 질소 제거율이 저조하고 미 제거된 질산성 질소가 혐기조로 유입되어 인 제거율도 저조하게 된다.
2) 설계 및 운전인자
SRT 10 - 30 days (10days)
HRT 10 - 24 hrs (An 1-2, 1st Ax 2-4, 1st Ox 4-12, 2ndAx 2-4, 2ndOx 1.0시간)
F/M 0.1 - 0.2 kg/kg·d
MLSS 2,000 - 4,000 mg/L
슬러지 반송율 50 - 100 %
제1내부순환율(NRCY) 100 - 200 %
3) 장단점
장점 : 질소(90%)와 인(85%)의 제거율이 높다.
단점 : 긴 체류시간이 필요하다
고농도 유기물이 유입되는 경우에 효과적이나 저농도 유기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질소, 인 뿐만아니라 유기물 제거율도 저하된다. 따라서 저농도 유기물이 유입되는 지역에서는 사용시 체류시간의 조정이 필요하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11.18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23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