微生物이 環境에 미치는 영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微生物이 環境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미생물이 환경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
1-1. 환경오염제어시설 작동방해
1) 상수처리장
2) 하수처리장
3) 폐기물처리장
- 생활폐기물 부패에 의한 악취발생
1-2. 환경오염원 자체로 작용
1) 식품변질 (부패)
2) 의류변색
3) 주거환경오염
2. 미생물이 환경에 미치는 이로운 영향
2-1. 자연환경적인 측면
1) 자연계의 물질순환
2) 활성오니법에서의 이용
3) 토양 속의 질소고정세균
4) 토양의 병원균을 억제하는 미생물
2-2. 생활환경적인 측면
1) 식품에 사용
2) 백신에 사용
3) 항생물질을 생산하는데 사용
4) 미생물을 산업에서 이용하는 방법 : 리칭(Leaching)
5)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생산자 : 알탈리제네스 에우트로푸스(Alcaligenes eutropbus)

Ⅲ. 결 언

본문내용

.
버섯은 실물과 차이를 나타내는데 우선 엽록소가 없으므로 광합성작용으로 영양분을 만들 수 없고 오로지 죽었거나 살아 있는 동식물체에 기생해야만 영양분의 획득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진균류는 엽록소를 가지지 않은 하등식물 가운데 세균류와 점균류를 제외한 진정균류를 뜻하므로, 광합성 작용을 하지 못하고 기생 생활을 하는 버섯은 당연히 진균류에 포함된다.
버섯 중에는 동물의 분(糞)이나 곤충 등의 체내에 기생하는 동충하초(冬蟲夏草)라는 종류도 있다. 예로부터 각종 질병을 예방하는 귀한 약재로 널리 이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들의 독특한 막과 향기 때문에 식용으로 널리 이용된다. 송이버섯, 표고버섯, 싸리버섯 양송이, 팽이버섯 등이 대표적이다.
2) 백신에 사용한다.
백신은 면역반응을 자극하여 특이적인 면역성을 가지는 항체를 생산하도록 하는 물질을 말한다. 백신의 제조 원료로 이용하는 것은 ①죽은 병원체, ②약화된 독성을 가지는 균주, ③화학적으로 변화된 독소(toxoid), 예를 들자면 백일해 백신과 1949년 소크(J.Salk)에 의해 처음 만들어진 소아마비 백신은 죽은 병원체를 이용하였다. 세빈(A.B.Sabin)이 개발한 경구용 소아마비 백신은 약화된 독성을 가지는 균주를 이용하였다.
우두 바이러스는 천연두 바이러스의 자연적인 독성 약화 균주에 해당된다. 바이러스 백신의 대부분은 실험실에서 오랜 시간 배양되었으므로 독성이 약화된 것들이 많다.
파상풍과 디프테리아의 면역을 위해서는 병원균에 의해 생성된 독소를 중화시키는 항체를 이용하게 된다. 활성 독소는 면역반응을 유도하기에는 너무나 치명적이므로 그대로 사용할구 없다. 이들 독소는 다행히 항체 생산을 자극하는 무독성 형태로 화학적인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바로 이들이 변화된 독소를 이용하여 항혈청을 만드는 대표적인 예이다.
3) 항생물질을 생산하는데 사용된다.
○ 방선균 (Actinomycetes)을 이용 : 스트렙토마이신, 클로람페니콜, 테트라사이클린
○ 푸른곰팡이(Penicillium) : 모필모양의 특징을 가지며 학명, 페니실린을 발견 Penicillium(페니실륨, 푸른곰팡이)은 라틴어로 그림용 붓이라는 의미
○ 세팔로스포륨 아크레모늄(Cephalosporium acremonium) : 세팔로스포린을 생산-세팔로스포린은 페니실린과 아주 유사하며, 이를 원료로 하여 화학적으로 수식하여 만든 항생물질은 제3세대 항생물질로서 의료면에서 널리 사용된다.
○ 이외에 클로스트리듐(Clostridium)을 이용하여 아세톤, 부탄올, 비타민 생산하고 Corynebacterium을 이용한 α-케토글루탐산 생산으로 조미료로 사용된다.
4) 미생물을 산업에서 이용하는 방법 : 리칭(Leaching)이라는 것이 있다.
리칭은 특수한 미생물을 이용하여 광석으로부터 금속성분을 뽑아내는 것으로, 쉽게 생각하면 미생물을 이용한 금속제련법에서는 미생물이 특정한 금속 원소를 빠른 시간 안에 산화시켜서 수용성으로 만든 다음에 체내로 흡수하거나 아니면 체 표면의 다당류에 부착시키거나 또는 금속을 환원성질을 이용한다.
철산화세균인 티오바실러스 페록시던스균(Thiobacillus ferrooxidans)은 철분을 산화하여 용출 시킨 다음 체내로 흡수한다.
세균의 작용으로 용출 되어 흡수되거나 흡작된 용액에 들어있는 금속 성분은 전기영동법으로 분리해내는데 이것을 생화학적 선광이라 한다.
철산화세균(T. ferrooxidans)은 철뿐만 아니라 코발트, 니켈, 아연, 납을 산화시켜 용출하기도 하므로 이 균을 이용하는 방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5)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생산자 : 알탈리제네스 에우트로푸스(Alcaligenes eutropbus)
알칼리제네스속의 세균은 대단히 특이한 종류로, 물을 만들면서 내놓는 에너지를 사용하는 부가적인 능력이 있을뿐더러 이산화탄소를 고정하여 필요한 탄수화물을 만들어낸다.
Ⅲ. 결 언
다음과 같이 미생물이 환경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과 이로운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미생물은 환경에 유해한 부분이 대부분이라고 생각되어왔으나, 인간환경과 자연환경에 이로운 미생물이 다양하게 존재하며, 환경오염에 있어서도 미생물에 의해 발생되는가 하면, 반대로 미생물에 의해서 분해되고 정화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지금까지의 미생물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총괄적으로 정리하자면
환경에 유해한 영향으로 환경오염제어의 상수처리장에서 정화를 방해하는 미생물인 조류(Algae)등 하수처리장과 폐기물처리장 등에서 미생물이 환경공학적으로 유해한 점, 환경오염원 자체로 작용하는 식품변질, 의류변색, 주거환경오염 등에 의해 생활환경에서 인간에 악영향을 미치는 부분을 살펴보았다.
역으로 미생물이 환경에 미치는 이로운 영향으로 자연환경적인 측면과 생활환경적인 측면으로 분류하여 살펴본바, 자연환경적인 측면은 자연계의 물질순환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지구상의 물질을 유전의 사이클순환으로 탄소, 질소 그리고 황의 순환계에 미생물의 역할이 있었으며, 그리고 활성오니법에서 세균, 원생동물, 후생동물 3종류의 형태로 오폐수 처리 및 분뇨, 축산 처리에 활용되어지는 미생물들이 있었다. 또한 토양 속의 질소고정세균을 인간이 만든 비료처럼, 자연 속의 콩과식물의 뿌리혹 박테리아가 토양을 거름지게 한다는 점을 알아보았다. 자연생태계에서 자정 작용하는 미생물과 환경오염에서 난분해성 물질이나 독성물을 분해하는 미생물로 해양에서 석유유출 및 수계나 토양에서 농약이나 화학물질이 파생되는 DDT나 Dioxine등 독성화학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마지막으로 일반오염물의 제거에 활용되는 미생물로 활성오니법에 활용되는 미생물인 Zooglea과 혐기성처리법에 중심균인 각종의 Methanogen등이 있었으며, 생활환경적인 측면으로 식품에 사용되는 각종 미생물들과 병균의 면역반응을 하는 백신, 그리고 항생물질을 생산하는데 사용하는 각종 균류와 미생물을 산업에서 이용하는 방법으로 리칭을 알아보았다.
다음과 같이 미생물이 자연환경과 생활환경에 얼마나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환경공학에 미생물의 중요성을 깨달아 미생물 개발에 더욱 힘써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12.27
  • 저작시기200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51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