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6. 노래의 아름다움
유리창
1.교재관
2. 학생관
3. 단원학습지도안
4. 본시학습지도안
5. 형성평가지
6. 판서계획 및 파워포인트자료
유리창
1.교재관
2. 학생관
3. 단원학습지도안
4. 본시학습지도안
5. 형성평가지
6. 판서계획 및 파워포인트자료
본문내용
게 된 것인가?
5) 그러면 화자의 심정은 어떠하겠는가?
3. 위에서 공부한 것을 바탕으로 시적 화자가 처해 있는 상황을 산문으로 써 보시오.
4. 이 시에서 죽은 아이를 형상화한 표현을 찾아 보게 하고 나름대로 그 의미를 써 보시오. 그리고 그것에서 받은 느낌을 써 보시오.
5. 시와 관련된 경험이 있다면 적어 보고( 만약에 없다면 자기가 소중한 것을 잃어버렸을 때를 생각하며) 그 심정을 시로 표현해 보시오.
-판서 계획-
<판서계획1>
학습목표
1. 시의 내용을 이해하고 시와 산문의 언어가 다름을 알 수 있다.
2. 시의 비유적 표현을 찾고, 그 의미를 알 수 있다.
3. 생활 속에서 자신이 겪은 감정을 시로 표현할 수 있다.
<판서계획2>
죽은 아이를 형상화한 표현
·차고 슬픈 것
·물 먹은 별
·폐혈관이 찢어진 채 날아간 산새
<판서계획5>
·외로운 황홀한 심사
<판서계획3>
·이미지
<판서계획4>
·모순형용
- ppt자료 -
김소월의 '진달래꽃'에서.
♠진달래꽃에 내포된 의미
-여인의 지고한 희생적 사랑
♠음악성이 드러난 표현
-7.5조의 음수율
-3음보
-민요조의 전통적 리듬
♠함축성이 드러난 표현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
-'진달래꽃'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 시(운문의 대표)와 산문의 차이점 :
① 일상 생활에서의 언어나 보통의 산문은 의사 소통이 이루어지면 끝난 반면, 시는 읽고 또 읽어도 새로운 감동을 맛보게 한다.
② 시는 의미가 농축된 것임에 대하여, 산문은 설명을 통하여 의미를 희석하려는 경향이 있다.
③ 시의 정신이 창조적이라면, 산문 정신은 비판 정신이며, 시의 기능이 의미와 정서의 응축 작용에 있다면, 산문의 그것은 의미의 확산 작용, 즉 설명에 있다,
④ 시는 운율 형식으로써 인간을 생리적으로 움직이는 데 대하여, 산문은 운율에 의해 구속되지 않는 언어 표현으로써 지적인 이해에 호소하는 문장 형식이다.
⑤ 시는 반어법이나 역설법이 쓰여서 극적인 긴장감을 감돌게 한다거나, 반대로 무의미한 언어의 반복으로 낭비를 일삼기도 하지만, 산문은 지식과 정보의 제공, 지시의 방편으로 쓰이며, 논리적, 설명적 실용적인 데 특징이 있다.
⑥ 모든 시는 예술로서 직관적, 정서적, 심상을 통하여 쓰이며, 산문은 철학, 역사, 웅변과 같이 기존의 것에 대한 논의의 도구이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김영랑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즉 나의 봄을 기둘리고 있을테요.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나는 비로소 봄을 여흰 서름(설움)에 잠길테요.
오월 어느 날, 그 하로 무덥던 날,
떨어져 누운 꽃잎마저 시들어 버리고는
천지에 모란은 자최도 없어지고,
뻗쳐 오르던 내 보람 서운케 무너졌느니,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 해는 다 가고 말아.
삼백 예순 날 한양 섭섭해 우옵내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즉 기둘리고 있을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깃발
-유치환
이것은 소리없는 아우성
저 푸른 해원(海原)을 향하여 흔드는
영원한 노스탤지어의 손수건.
순정은 물결같이 바람에 나부끼고
오로지 맑고 곧은 이념의 푯대 끝에
애수(哀愁)는 백로처럼 날개를 펴다.
아아 누구던가.
이렇게 슬프고도 애달픈 마음을
맨 처음 공중에 달 줄을 안 그는
십자가(十字架)
-윤동주
쫓아오던 햇빛인데
지금 교회당(敎會堂) 꼭대기
십자가에 걸리었습니다.
첨탑(尖塔)이 저렇게도 높은데
어떻게 올라갈 수 있을까요.
종소리도 들려 오지 않는데
휘파람이나 불며 서성거리다가
괴로웠던 사나이
행복한 예수 그리스도에게
처럼
십자가가 허락된다면
모가지를 드리우고
꽃처럼 붉은 피를
어두워 가는 하늘 밑에
조용히 흘리겠습니다.
- 유인물 -
은수저
-김광균
산이 저문다.
노을이 잠긴다.
저녁 밥상에 애기가 없다.
애기 앉던 방석에 한 쌍의 은수저
은수저 끝에 눈물이 고인다.
한 밤중에 바람이 분다.
바람 속에서 애기가 웃는다.
애기는 방 속을 들여다 본다.
들창을 열었다 다시 닫는다.
먼 들길을 애기가 간다.
맨발 벗은 애기가 울면서 간다.
불러도 대답이 없다.
그림자마저 아른거린다.
작가 소개
김광균(金光均 1913-1993) 경기 개성 출생. 송도 상업학교 졸업. 1950년대 이후에는 실업계에 투신하여 한국 경제인 연합회 이사 등 역임. <자오선>과 <시인부락> 동인 활동. 소시민의 시점에서 도시적 풍물을 이미지즘으로 그려 내는 회화적인 시풍을 보였음. 이미지즘 계열의 모더니즘 시인. 시집으로 <와사등>(1939), <기항지>(1947), <황혼가>(1957) 등이 있음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의 시적 정황은 정지용의 "유리창1"처럼 어린 아이가 죽은 상황이다. 정지용의 작품이 아들이 죽은 상황을 내면적 절제를 통하여 감각적으로 잘 표현했다면 이 작품은 은수저라는 매개를 통하여 '아이의 부재(不在)'에 대한 슬픔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는 데서 도 작품은 동류(同流)에 묶을 수 있다.
이 작품은 거의 한 행이 한 문장으로 이루어질 정도로 짧은 스타카토 형태로 씌어 있다. 이것은 무척이나 비통한 심정을 매우 냉정하고 차분한 어조로 진술하는 효과를 가져 온다. 실제로 이 작품에서는 '눈물'이라는 단어가 한 번 나오지만 나머지는 슬픔을 직접 지칭하는 말을 최대한 아낌으로써 슬픔을 객관화하고 있다. 김광균의 다른 작품에서는 시인의 감상(感傷)이 전면에 노출되기 십상이었는데 이 작품은 그것을 하나의 소묘 안으로 응결시킨다.
은수저는 아이의 돌이나 백일에 그 아이에게 주어진 것일 것이다. 그런데 산이 저물고 노을마저 잠긴 저녁에 아이가 없는 상황에 은수저는 주인을 잃은 슬픔에 눈물이 고인다. 시적 화자는 은수저를 빤히 바라다보다가 바람이 부는 것을 아이가 온 것으로 착각한다. 바람이 문을 덜컹거리는 것을 아니가 문을 여닫는 것으로 느낄 정도로. 다시 눈을 들어 보니 아이는 맨발 벗은 상태로 그림마저 어른거릴 정도로 선한 모습을 남기고 사라져 버린다.
이 작품은 간결한 소묘 속에 아이를 잃은 부정(父情)을 너무 감상적이지 않게 효과적으로 잘 드러낸 이미지즘 작품이라 하겠다.
5) 그러면 화자의 심정은 어떠하겠는가?
3. 위에서 공부한 것을 바탕으로 시적 화자가 처해 있는 상황을 산문으로 써 보시오.
4. 이 시에서 죽은 아이를 형상화한 표현을 찾아 보게 하고 나름대로 그 의미를 써 보시오. 그리고 그것에서 받은 느낌을 써 보시오.
5. 시와 관련된 경험이 있다면 적어 보고( 만약에 없다면 자기가 소중한 것을 잃어버렸을 때를 생각하며) 그 심정을 시로 표현해 보시오.
-판서 계획-
<판서계획1>
학습목표
1. 시의 내용을 이해하고 시와 산문의 언어가 다름을 알 수 있다.
2. 시의 비유적 표현을 찾고, 그 의미를 알 수 있다.
3. 생활 속에서 자신이 겪은 감정을 시로 표현할 수 있다.
<판서계획2>
죽은 아이를 형상화한 표현
·차고 슬픈 것
·물 먹은 별
·폐혈관이 찢어진 채 날아간 산새
<판서계획5>
·외로운 황홀한 심사
<판서계획3>
·이미지
<판서계획4>
·모순형용
- ppt자료 -
김소월의 '진달래꽃'에서.
♠진달래꽃에 내포된 의미
-여인의 지고한 희생적 사랑
♠음악성이 드러난 표현
-7.5조의 음수율
-3음보
-민요조의 전통적 리듬
♠함축성이 드러난 표현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
-'진달래꽃'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 시(운문의 대표)와 산문의 차이점 :
① 일상 생활에서의 언어나 보통의 산문은 의사 소통이 이루어지면 끝난 반면, 시는 읽고 또 읽어도 새로운 감동을 맛보게 한다.
② 시는 의미가 농축된 것임에 대하여, 산문은 설명을 통하여 의미를 희석하려는 경향이 있다.
③ 시의 정신이 창조적이라면, 산문 정신은 비판 정신이며, 시의 기능이 의미와 정서의 응축 작용에 있다면, 산문의 그것은 의미의 확산 작용, 즉 설명에 있다,
④ 시는 운율 형식으로써 인간을 생리적으로 움직이는 데 대하여, 산문은 운율에 의해 구속되지 않는 언어 표현으로써 지적인 이해에 호소하는 문장 형식이다.
⑤ 시는 반어법이나 역설법이 쓰여서 극적인 긴장감을 감돌게 한다거나, 반대로 무의미한 언어의 반복으로 낭비를 일삼기도 하지만, 산문은 지식과 정보의 제공, 지시의 방편으로 쓰이며, 논리적, 설명적 실용적인 데 특징이 있다.
⑥ 모든 시는 예술로서 직관적, 정서적, 심상을 통하여 쓰이며, 산문은 철학, 역사, 웅변과 같이 기존의 것에 대한 논의의 도구이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김영랑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즉 나의 봄을 기둘리고 있을테요.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나는 비로소 봄을 여흰 서름(설움)에 잠길테요.
오월 어느 날, 그 하로 무덥던 날,
떨어져 누운 꽃잎마저 시들어 버리고는
천지에 모란은 자최도 없어지고,
뻗쳐 오르던 내 보람 서운케 무너졌느니,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 해는 다 가고 말아.
삼백 예순 날 한양 섭섭해 우옵내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즉 기둘리고 있을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깃발
-유치환
이것은 소리없는 아우성
저 푸른 해원(海原)을 향하여 흔드는
영원한 노스탤지어의 손수건.
순정은 물결같이 바람에 나부끼고
오로지 맑고 곧은 이념의 푯대 끝에
애수(哀愁)는 백로처럼 날개를 펴다.
아아 누구던가.
이렇게 슬프고도 애달픈 마음을
맨 처음 공중에 달 줄을 안 그는
십자가(十字架)
-윤동주
쫓아오던 햇빛인데
지금 교회당(敎會堂) 꼭대기
십자가에 걸리었습니다.
첨탑(尖塔)이 저렇게도 높은데
어떻게 올라갈 수 있을까요.
종소리도 들려 오지 않는데
휘파람이나 불며 서성거리다가
괴로웠던 사나이
행복한 예수 그리스도에게
처럼
십자가가 허락된다면
모가지를 드리우고
꽃처럼 붉은 피를
어두워 가는 하늘 밑에
조용히 흘리겠습니다.
- 유인물 -
은수저
-김광균
산이 저문다.
노을이 잠긴다.
저녁 밥상에 애기가 없다.
애기 앉던 방석에 한 쌍의 은수저
은수저 끝에 눈물이 고인다.
한 밤중에 바람이 분다.
바람 속에서 애기가 웃는다.
애기는 방 속을 들여다 본다.
들창을 열었다 다시 닫는다.
먼 들길을 애기가 간다.
맨발 벗은 애기가 울면서 간다.
불러도 대답이 없다.
그림자마저 아른거린다.
작가 소개
김광균(金光均 1913-1993) 경기 개성 출생. 송도 상업학교 졸업. 1950년대 이후에는 실업계에 투신하여 한국 경제인 연합회 이사 등 역임. <자오선>과 <시인부락> 동인 활동. 소시민의 시점에서 도시적 풍물을 이미지즘으로 그려 내는 회화적인 시풍을 보였음. 이미지즘 계열의 모더니즘 시인. 시집으로 <와사등>(1939), <기항지>(1947), <황혼가>(1957) 등이 있음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의 시적 정황은 정지용의 "유리창1"처럼 어린 아이가 죽은 상황이다. 정지용의 작품이 아들이 죽은 상황을 내면적 절제를 통하여 감각적으로 잘 표현했다면 이 작품은 은수저라는 매개를 통하여 '아이의 부재(不在)'에 대한 슬픔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는 데서 도 작품은 동류(同流)에 묶을 수 있다.
이 작품은 거의 한 행이 한 문장으로 이루어질 정도로 짧은 스타카토 형태로 씌어 있다. 이것은 무척이나 비통한 심정을 매우 냉정하고 차분한 어조로 진술하는 효과를 가져 온다. 실제로 이 작품에서는 '눈물'이라는 단어가 한 번 나오지만 나머지는 슬픔을 직접 지칭하는 말을 최대한 아낌으로써 슬픔을 객관화하고 있다. 김광균의 다른 작품에서는 시인의 감상(感傷)이 전면에 노출되기 십상이었는데 이 작품은 그것을 하나의 소묘 안으로 응결시킨다.
은수저는 아이의 돌이나 백일에 그 아이에게 주어진 것일 것이다. 그런데 산이 저물고 노을마저 잠긴 저녁에 아이가 없는 상황에 은수저는 주인을 잃은 슬픔에 눈물이 고인다. 시적 화자는 은수저를 빤히 바라다보다가 바람이 부는 것을 아이가 온 것으로 착각한다. 바람이 문을 덜컹거리는 것을 아니가 문을 여닫는 것으로 느낄 정도로. 다시 눈을 들어 보니 아이는 맨발 벗은 상태로 그림마저 어른거릴 정도로 선한 모습을 남기고 사라져 버린다.
이 작품은 간결한 소묘 속에 아이를 잃은 부정(父情)을 너무 감상적이지 않게 효과적으로 잘 드러낸 이미지즘 작품이라 하겠다.
추천자료
[자립형사립고등학교][자립형사립고][자립형사립학교][자립형사립고교][자사고][평준화정책]...
자립형사립고등학교(자립형사립고, 자립형사립학교) 문제점과 자립형사립고등학교(자립형사립...
[실업계학교][실업계고교]실업계고등학교(실업계교육)의 기피심화, 입학생감소에 따른 부정적...
[중도탈락][중퇴][자퇴][실업계]실업계고등학교 기피현상에 따른 실업계고등학교 중도탈락의 ...
고등학교 직업교육과정(직업지도)의 목적과 기본방향, 고등학교 직업교육과정(직업지도)의 교...
고등학교평준화정책(고교평준화제도)과 학교선택제, 자립형사립고, 고교평준화제도(고교평준...
고교평준화제도(고등학교평준화정책)와 사교육비증가, 고교평준화제도(고등학교평준화정책)와...
[평준화]고교평준화정책(고등학교평준화제도)과 자립형사립고, 고교평준화정책(고등학교평준...
실업계 고등학교 IT(정보기술)인력양성의 실태, 실업계 고등학교 IT(정보기술)인력양성의 교...
[윤리와 사상]윤리의 의미, 윤리의 가치,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교육의 목적, 고등학교 윤리...
고교평준화정책(고등학교평준화제도)과 하향평준화, 교육선택권, 고교평준화정책(고등학교평...
특수목적 고등학교와 자립형 사립 고등학교의 설립의 자유에 관한 논쟁의 분석(한국사회문제 ...
고등학교를 졸업하지 못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고등학교 학력 취득 교육 현황과 문제점에 관...
고등학교를 졸업하지 못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고등학교 학력 취득 교육 현황과 문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