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Anatomy of Stomach
Ⅱ. 위암 발생 수준의 국제적 현황
Ⅲ. 위암 발생 양상
Ⅳ. Stomach cancer 발병 요인
Ⅴ. Pathology
Ⅵ. Stomach Cancer Symptom
Ⅶ. TNM Clinical Classification
Ⅷ. Gastrectomy & Reconstructive Surgery
Ⅸ. Gastrectomy 후 발생 증상
Ⅹ. 위암 수술 후의 Adjuvant therapy
Ⅱ. 위암 발생 수준의 국제적 현황
Ⅲ. 위암 발생 양상
Ⅳ. Stomach cancer 발병 요인
Ⅴ. Pathology
Ⅵ. Stomach Cancer Symptom
Ⅶ. TNM Clinical Classification
Ⅷ. Gastrectomy & Reconstructive Surgery
Ⅸ. Gastrectomy 후 발생 증상
Ⅹ. 위암 수술 후의 Adjuvant therapy
본문내용
행할 때는 대장장간막에서 재발될 염려가 없을 뿐아니라 대장 후방으로 함으로써 수입각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① blind loop길이가 짧고
② 철분의 흡수 장애가 적고
③ 문합 후방부내 탈장의 염려가 없다
- 문합은 대만부에서 하는데 약 6-8cm정도의 길이가 필요하다. 대장 후방으로 내부 탈장을 방지하고 결장 간막이 밑으로 내려와서 장페색을 일으킬 우려를 없애기 위해 결장간막을 위벽에 꼭 봉해야 한다. 그리고 위전정부에 조기 위암, 장막 침윤이 없는 조기 위암시 BⅠ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술 시간도 짧다. 유문 상하부 림프절 전이가 의심되거나 병변이 너무 유문부에 가깝거나 위장막을 침윤하였거나 위체부 암의 경우는 BⅡ가 바람직하다.
A. 결장 전방 approach
[ 그림 7-2. 결장 전방 approach ]
B. 결장 후방 approach
[ 그림 7-3. 결장 후방 approach ]
C. Roux-en-Y변형술
- 위부분 절제후 시행할 수 있는 재건술 중 하나.
- 공장을 Treitz인대에서 약 6-10cm하방부에서 절단하여 원위부는 side-to-side로 위의 대만부에 연결하고 근위부는 위장관 문합술을 시행한 부위에서 약 35-45cm떨어진 부위에서 end-to-side로 문합한다. 하지만 이 술식은 보통 일차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BⅠ나 BⅡ를 시행한 후, 역류성 알카리성 식도염의 증거가 있고 수술의 재발로 인해 재수술시 이 방법을 사용
Ⅸ. Gastrectomy 후 발생 증상
(1). Short-Term Complications
Rebleeding(most common)
Gastroparesis
Leaks & Fistulas
Gastric perforation(rare)
(2). Long-Term Complications
Delayed gastric emptying : 위 수술 환자의 약 20%에서 발생
- 주증상 : postprandial abdominal fullness, early satiety,
abdominal pain, nausea, emesis
( 복통의 특징은 음식을 섭취할 때 cramping pain )
(3). Dumping syndrome
위 절제로 인해 위의 reservoir 기능상실
Billroth II 에서 가장 빈도가 높다
1) Early dumping
- 증 상 : 식사후 10~30분 후 explosive diarrhea, vasomotor symptom
(diaphoresis, weakness, dizziness, flushing, palpitation)이 발생
- 원 인 : 고농도의 탄수화물 섭취 → 소장내로 섭취한 물질의 빠른 이동
→ intravascular fluid가 소장내로 rapid shifting
→ enteric hormone의 분비
2) Late dumping
- 식사 2~4시간 후에 vasomotor symptom이 나타나는 현상
- 원 인 : 장내 enteroglucagon → hyperinsulinemia → hypoglycemia
- 치 료
1 일회 식사량을 줄이면서 자주 먹음.
2 누워서 먹거나 잘 씹어 먹음
3 Liquid는 식후 30분후 섭취하고, 고농도 탄수화물 섭취 자제
- 수술적 처치
1 Roux-en-Y gastrojejunostomy
2 Billroth II → Billroth I
(4). Alkaline reflux gastritis
전 위수술환자의 5∼15%에서 발생
치료를 위한 재수술률이 가장 높은 합병증
증 상 : burning epigastric pain, 음식과 관계없는 bilious vomiting이 특징적.
Billroth II에서 발생 빈도가 높다
치 료 : Roux-en-Y gastrojejunostomy
(5). Chronic gastric atony
Solid diet의 delayed gastric emptying이 주 증상
(6). Metabolic disturbance
약 30%의 환자에서 발생
Vitamin B12 deficiency and anemia : intrinsic factor deficiency
Iron and calcium 부족
Steatorrhea (섭취한 fat 의 7% 이상을 대변으로 배출)
: Bile, pancreatic lipase 와 fat 의 부적절한 mixing
Ⅹ. 위암 수술 후의 Adjuvant therapy
(1). 목 적
- Advanced gastric ca는 이미 미세 전이를 했거나 수술시 암세포를 남길 수 있기 때문에 보조적 치료가 필요하다
(2). 시 기
- 수술후 조기에 시행하는데 면역요법은 술후 4~5일 화학요법은 술후 8~10일이 적당하다
(3). 방 법
- 화학요법과 면역요법 병용
- 면역요법 자체가 암을 치유시킬 수는 없으나 진행성 gastric ca 환자에서 세포성 면역 능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이를 보충하고 화학요법에 의한 면역력의 저하를 보완하기 위함
1) 화학 요법
1 작은 종양의 크기일수록 반응이 더 좋은 것으로 보이며 수술시 가능한 많은 tumor를 제거하면 반응이 증대되므로 debulking이 중요
2 stageⅢ 에서 수술만 받은 환자의 5년 생존율은 23.4%인 것에 비해 면역 화학요법을 시행한 환자의 경우 44.6%로서 stageⅢ가 이 치료법의 가장 좋은 대상.
3 종 류 : 5-FU, Mitomycin C(MMC), Adriamycin, Epirubicin,
Methotrexate, ACNU, Etoposide, Cisplatin
4 방 법 : 5-FU와 MMC병용화학 요법시 첫 2주간은 주 2회 정맥 주사하고 다음 6주간은 주 1회 주사하고 10회의 주사가 끝나면 그 후 경구용 5-FU를 2년간 투여
2) 면역 요법
1 Levamisole, streptococcus pyogeus antigen 치료시 사용한 군에서 약 2배의 survival advantage가 있다
# 참고문헌
1. 위암. 의학문화사. 김진복. p142~195
2. 핵심 외과학. 군자출판사. 김상준 외. p759~786
3. 인체 해부학. 고문사. 안희경. p211~212
① blind loop길이가 짧고
② 철분의 흡수 장애가 적고
③ 문합 후방부내 탈장의 염려가 없다
- 문합은 대만부에서 하는데 약 6-8cm정도의 길이가 필요하다. 대장 후방으로 내부 탈장을 방지하고 결장 간막이 밑으로 내려와서 장페색을 일으킬 우려를 없애기 위해 결장간막을 위벽에 꼭 봉해야 한다. 그리고 위전정부에 조기 위암, 장막 침윤이 없는 조기 위암시 BⅠ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술 시간도 짧다. 유문 상하부 림프절 전이가 의심되거나 병변이 너무 유문부에 가깝거나 위장막을 침윤하였거나 위체부 암의 경우는 BⅡ가 바람직하다.
A. 결장 전방 approach
[ 그림 7-2. 결장 전방 approach ]
B. 결장 후방 approach
[ 그림 7-3. 결장 후방 approach ]
C. Roux-en-Y변형술
- 위부분 절제후 시행할 수 있는 재건술 중 하나.
- 공장을 Treitz인대에서 약 6-10cm하방부에서 절단하여 원위부는 side-to-side로 위의 대만부에 연결하고 근위부는 위장관 문합술을 시행한 부위에서 약 35-45cm떨어진 부위에서 end-to-side로 문합한다. 하지만 이 술식은 보통 일차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BⅠ나 BⅡ를 시행한 후, 역류성 알카리성 식도염의 증거가 있고 수술의 재발로 인해 재수술시 이 방법을 사용
Ⅸ. Gastrectomy 후 발생 증상
(1). Short-Term Complications
Rebleeding(most common)
Gastroparesis
Leaks & Fistulas
Gastric perforation(rare)
(2). Long-Term Complications
Delayed gastric emptying : 위 수술 환자의 약 20%에서 발생
- 주증상 : postprandial abdominal fullness, early satiety,
abdominal pain, nausea, emesis
( 복통의 특징은 음식을 섭취할 때 cramping pain )
(3). Dumping syndrome
위 절제로 인해 위의 reservoir 기능상실
Billroth II 에서 가장 빈도가 높다
1) Early dumping
- 증 상 : 식사후 10~30분 후 explosive diarrhea, vasomotor symptom
(diaphoresis, weakness, dizziness, flushing, palpitation)이 발생
- 원 인 : 고농도의 탄수화물 섭취 → 소장내로 섭취한 물질의 빠른 이동
→ intravascular fluid가 소장내로 rapid shifting
→ enteric hormone의 분비
2) Late dumping
- 식사 2~4시간 후에 vasomotor symptom이 나타나는 현상
- 원 인 : 장내 enteroglucagon → hyperinsulinemia → hypoglycemia
- 치 료
1 일회 식사량을 줄이면서 자주 먹음.
2 누워서 먹거나 잘 씹어 먹음
3 Liquid는 식후 30분후 섭취하고, 고농도 탄수화물 섭취 자제
- 수술적 처치
1 Roux-en-Y gastrojejunostomy
2 Billroth II → Billroth I
(4). Alkaline reflux gastritis
전 위수술환자의 5∼15%에서 발생
치료를 위한 재수술률이 가장 높은 합병증
증 상 : burning epigastric pain, 음식과 관계없는 bilious vomiting이 특징적.
Billroth II에서 발생 빈도가 높다
치 료 : Roux-en-Y gastrojejunostomy
(5). Chronic gastric atony
Solid diet의 delayed gastric emptying이 주 증상
(6). Metabolic disturbance
약 30%의 환자에서 발생
Vitamin B12 deficiency and anemia : intrinsic factor deficiency
Iron and calcium 부족
Steatorrhea (섭취한 fat 의 7% 이상을 대변으로 배출)
: Bile, pancreatic lipase 와 fat 의 부적절한 mixing
Ⅹ. 위암 수술 후의 Adjuvant therapy
(1). 목 적
- Advanced gastric ca는 이미 미세 전이를 했거나 수술시 암세포를 남길 수 있기 때문에 보조적 치료가 필요하다
(2). 시 기
- 수술후 조기에 시행하는데 면역요법은 술후 4~5일 화학요법은 술후 8~10일이 적당하다
(3). 방 법
- 화학요법과 면역요법 병용
- 면역요법 자체가 암을 치유시킬 수는 없으나 진행성 gastric ca 환자에서 세포성 면역 능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이를 보충하고 화학요법에 의한 면역력의 저하를 보완하기 위함
1) 화학 요법
1 작은 종양의 크기일수록 반응이 더 좋은 것으로 보이며 수술시 가능한 많은 tumor를 제거하면 반응이 증대되므로 debulking이 중요
2 stageⅢ 에서 수술만 받은 환자의 5년 생존율은 23.4%인 것에 비해 면역 화학요법을 시행한 환자의 경우 44.6%로서 stageⅢ가 이 치료법의 가장 좋은 대상.
3 종 류 : 5-FU, Mitomycin C(MMC), Adriamycin, Epirubicin,
Methotrexate, ACNU, Etoposide, Cisplatin
4 방 법 : 5-FU와 MMC병용화학 요법시 첫 2주간은 주 2회 정맥 주사하고 다음 6주간은 주 1회 주사하고 10회의 주사가 끝나면 그 후 경구용 5-FU를 2년간 투여
2) 면역 요법
1 Levamisole, streptococcus pyogeus antigen 치료시 사용한 군에서 약 2배의 survival advantage가 있다
# 참고문헌
1. 위암. 의학문화사. 김진복. p142~195
2. 핵심 외과학. 군자출판사. 김상준 외. p759~786
3. 인체 해부학. 고문사. 안희경. p211~212
키워드
추천자료
젖샘에서 발생하는 유방암
위암의 발병원인 및 진단과 치료에 대해(A+레포트)
[암][암 증상][암 치료][암 예방][항암][항암치료][암의 정의][암의 종류][암의 발생원인][암...
[암][암 증상][유방암][폐암][갑상선암]유방암의 증상, 폐암의 증상, 갑상선암의 증상, 식도...
[간호사례][심장수술환자][심근경색증환자][쇼크환자][안수술환자][위암수술환자][신장장애환...
위암 문헌고찰
골절, 무의식환자 간호, 고위험가족 간호, 실어증, 신장이식환자 간호, 산과중환자 간호, 뇌...
위암 CASE STUDY(대상자 진단적 검사 결과 해석, 대상자 약물 치료 현황 파악 대상자의 간호...
[외과종양학개론] 소장폐쇄(장폐색intestinal obstruction)의 원인,진단 및 치료 - 기계적 폐...
성인간호학케이스 (위암case)
성인간호 외과 병동 case- AGC위암(A+ 자료)
[소화기계질환의 치료식이요법] 위장질환의 식이요법 - 급성위염, 만성위염, 소화성궤양, 위...
암의 종류와 원인 및 증상(폐암, 위암, 간암, 유방암의 원인과 증상 및 예방)
암의 개념(정의), 암 발생요인, 암과 영양소의 관계, 암세포 발생과정, 암 치료를 위한 식이요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