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난민의 개념
3. 탈북자의 현황과 탈북 원인
4. 탈북자의 인권실태
5. 관련기관 인식과 대응
6. 결론
7. 참고문헌
2. 난민의 개념
3. 탈북자의 현황과 탈북 원인
4. 탈북자의 인권실태
5. 관련기관 인식과 대응
6. 결론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의 성격을 국제적으로 공론화 시켰을 뿐만 아니라 그 해결 방안을 고심하게 했던 것이다.
이 지구상에는 중국에 탈북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러시아에도 고려인 난민이 있으며, 중앙아시아에 있는 타지크스탄의 내란으로 인하여 고려인 13,431명중에서 많은 수는 유민이 되어 러시아·중앙아시아 국가들을 떠돌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이러한 어려운 상황에 있는 재외 한인들에게도 희망을 주기 위하여 한국·북한·중국간의 미묘한 정치적 역학관계와 이해관계를 깊이 고려하여 적어도 재중탈북자를 구호·보호해야 할 것이다. 만약 정치적 어려움이 많다면 정부는 국내NGO 활동의 활성화를 위하여 이들 단체들에 대한 대폭적인 지원과 국제기구나 국제NGO와의 연대를 강화시켜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명기, "재러시아 탈북자에 대한 강제송환의 위험성," {생명과 인권}, 서울: 북한인권시민연합, 1997.
UNHCR, {난민의 국제적 보호}, 서울: 국제연합 난민고등판무관 사무소, 1998.
법륜 외, {북한식량난의 실태}, 서울: 우리민족서로돕기불교운동본부, 1998.
윤여상, {중국에 있는 탈북자 실태조사 보고서}, 서울: 북한인권시민연합, 1998.
______, "재외 탈북자 실태와 지원체계," 민족통일연구원, {통일연구논총}, 제7집 2호 (1998).
이영선, "탈북자의 삶," 오름출판사 , 1997.
이신화, "대량 탈북사태에 대한 조기 경보: '환경난민'의 개념을 적용하여," {국제정치논총}, 제38권 2호 (1998).
(사)좋은벗들, {두만강을 건너온 사람들}, 서울: 정토출판, 1996.
___________, {국경지역 난민보고서}, 서울: 정토출판, 1999.
___________, {북한 식량난민의 실태와 인권보고}, 서울: 정토출판, 1999.
최창동, {탈북자, 어떻게 할 것인가}, 서울: 두리, 2000.
최춘흠,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 전망: 외교·안보 분야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연구총서}, 2000-30.
통일부, {98통일백서}, 서울: 통일부, 1998.
______, {통일부 30년사}, 서울: 통일부 기획관리실, 1999.
한국기독교총연합, {재외탈북자에 관련한 최근 정보}, 1999.
www. unikorea.go.kr
www. dongposarang.or.kr
www. iloveminority.com
{동아일보}, {세계일보}, {중앙일보}, {조선일보}, {한겨레 신문}
이 지구상에는 중국에 탈북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러시아에도 고려인 난민이 있으며, 중앙아시아에 있는 타지크스탄의 내란으로 인하여 고려인 13,431명중에서 많은 수는 유민이 되어 러시아·중앙아시아 국가들을 떠돌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이러한 어려운 상황에 있는 재외 한인들에게도 희망을 주기 위하여 한국·북한·중국간의 미묘한 정치적 역학관계와 이해관계를 깊이 고려하여 적어도 재중탈북자를 구호·보호해야 할 것이다. 만약 정치적 어려움이 많다면 정부는 국내NGO 활동의 활성화를 위하여 이들 단체들에 대한 대폭적인 지원과 국제기구나 국제NGO와의 연대를 강화시켜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명기, "재러시아 탈북자에 대한 강제송환의 위험성," {생명과 인권}, 서울: 북한인권시민연합, 1997.
UNHCR, {난민의 국제적 보호}, 서울: 국제연합 난민고등판무관 사무소, 1998.
법륜 외, {북한식량난의 실태}, 서울: 우리민족서로돕기불교운동본부, 1998.
윤여상, {중국에 있는 탈북자 실태조사 보고서}, 서울: 북한인권시민연합, 1998.
______, "재외 탈북자 실태와 지원체계," 민족통일연구원, {통일연구논총}, 제7집 2호 (1998).
이영선, "탈북자의 삶," 오름출판사 , 1997.
이신화, "대량 탈북사태에 대한 조기 경보: '환경난민'의 개념을 적용하여," {국제정치논총}, 제38권 2호 (1998).
(사)좋은벗들, {두만강을 건너온 사람들}, 서울: 정토출판, 1996.
___________, {국경지역 난민보고서}, 서울: 정토출판, 1999.
___________, {북한 식량난민의 실태와 인권보고}, 서울: 정토출판, 1999.
최창동, {탈북자, 어떻게 할 것인가}, 서울: 두리, 2000.
최춘흠,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 전망: 외교·안보 분야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연구총서}, 2000-30.
통일부, {98통일백서}, 서울: 통일부, 1998.
______, {통일부 30년사}, 서울: 통일부 기획관리실, 1999.
한국기독교총연합, {재외탈북자에 관련한 최근 정보}, 1999.
www. unikorea.go.kr
www. dongposarang.or.kr
www. iloveminority.com
{동아일보}, {세계일보}, {중앙일보}, {조선일보}, {한겨레 신문}
추천자료
[북한경제개혁][북한경제][북한의 경제][북한경제정책][북한개방화]북한경제개혁의 배경과 의...
[북한][북한문화][북한연예인][북한음악][북한명절][북한금융][북한화폐][북한문화재][북한문...
[북한][북한의 정책]북한의 금융정책(금융제도), 북한의 조세정책(조세제도), 북한의 토지정...
[북한문화][북한 주거형태][북한 명절][북한 민속놀이][북한 교육기관][북한 교육행정][북한 ...
[북한][북한문화][북한주거환경][북한가전제품][북한대중교통][북한문학][북한영화][북한우표...
[북한][북한의 문화][북한 미술][북한 종교][북한 체육][북한 의료제도][북한 온천과 약수터]...
[북한][관혼상제][음식문화][식생활][주거문화][주생활][명절][연예인][교육기관]북한의 관혼...
[북한의 교육][북한교육][국어교육][사회교육][도덕교육][세계사교육][영재교육][사상교육]북...
[북한][교원양성제도][교육행정제도][고등교육][유치원교육][영재교육][특수교육]북한의 교원...
[남북갈등][남한과 북한의 갈등][극우세력]남북갈등(남한과 북한의 갈등)의 배경, 남북갈등(...
[미국 북한특별법안, 북한인권, 미국 북한특별법안 문제점, 미국, 북한특별법안, 북한]미국 ...
[북한IT(정보기술), 북한IT(정보기술) 육성, 북한IT(정보기술) 인프라, 북한IT(정보기술) 발...
[통일 후 북한토지소유권, 남북한토지제도, 통일]통일 후 북한토지소유권의 경제성, 통일 후 ...
[북한사회의 이해] 북한의 식량난 조사 {북한사회의 식량난, 식량난의 결과, 북한의 식량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