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북한의 연예인
Ⅱ. 북한의 음악
Ⅲ. 북한의 명절
Ⅳ. 북한의 금융
Ⅴ. 북한의 화폐
Ⅵ. 북한의 문화재
1. 일월곤륜도 형상 관
2. 왕건릉 내부
3. 왕건릉 출토 청동좌상
4. 연지 곤지찍은 고구려미인
5. 곡예 구경하는 부부
참고문헌
Ⅱ. 북한의 음악
Ⅲ. 북한의 명절
Ⅳ. 북한의 금융
Ⅴ. 북한의 화폐
Ⅵ. 북한의 문화재
1. 일월곤륜도 형상 관
2. 왕건릉 내부
3. 왕건릉 출토 청동좌상
4. 연지 곤지찍은 고구려미인
5. 곡예 구경하는 부부
참고문헌
본문내용
점을 들어 청동좌상의 주인이 왕건일 것으로 보고 있다.
4. 연지 곤지찍은 고구려미인
북한 남포시 강서구역 수산리 고분 벽화의 여자인물도. 눈동자가 1천5백년이 지난 지금도 살아있는 듯 생기있고, 연지 곤지와 옷깃의 붉은 색상이 선연하다.
평양 인근 고구려 고분 벽화 중 그동안 국내에는 내용이 알려지지 않았던 수산리 벽화 촬영은 이번 고구려회 학술조사단의 매우 중요한 성과다. 이 벽화를 통해 연지 곤지가 고려의 몽골 침입 이후 전래된 것이라는 속설도 수정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
5. 곡예 구경하는 부부
수산리 고분의 현실 서쪽 벽화 전경. 무덤 주인공 부부가 남녀 시종을 거느리고 나들이 나가 서커스를 구경하는 모습이 리얼하게 묘사돼 있다. 긴 나무다리 위에서 재주를 부리거나, 여러개의 공을 맞바꾸어 던지는 곡예사들(왼쪽)을 日傘(일산)을 쓴 주인공 부부가 흥미있게 지켜보고 있다. 오른쪽이 거대한 기둥 형상을 무덤 내부를 주인공들이 생전에 살던 집 모양으로 꾸미기 위해 그려넣은 것이다. 곡예장면과 등장인물들의 다양한 패션은 수산리 벽화의 가장 큰 특징으로 꼽힌다.
참고문헌
- 김응환·전영선, 북한의 문화유산 관리에 대한 연구 - 김일성 부자의 교시와 법령을 중심으로, 민족학연구, Vol 2, 한국민족학회
- 노동은, 북한의 민족음악 현황과 과제, 중앙음악연구, 제3집, 1992
- 안병우, 민족문화유산 평가의 기준과 내용, 북한의 한국사인식, 한길사, 1990
- 주강현, 북한의 민속생활풍습: 북한 생활 풍습 50년사, 대동, 1994
- 한국민족문화연구소, 북한사회의 이해, 부산대학교 출판부, 1995
4. 연지 곤지찍은 고구려미인
북한 남포시 강서구역 수산리 고분 벽화의 여자인물도. 눈동자가 1천5백년이 지난 지금도 살아있는 듯 생기있고, 연지 곤지와 옷깃의 붉은 색상이 선연하다.
평양 인근 고구려 고분 벽화 중 그동안 국내에는 내용이 알려지지 않았던 수산리 벽화 촬영은 이번 고구려회 학술조사단의 매우 중요한 성과다. 이 벽화를 통해 연지 곤지가 고려의 몽골 침입 이후 전래된 것이라는 속설도 수정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
5. 곡예 구경하는 부부
수산리 고분의 현실 서쪽 벽화 전경. 무덤 주인공 부부가 남녀 시종을 거느리고 나들이 나가 서커스를 구경하는 모습이 리얼하게 묘사돼 있다. 긴 나무다리 위에서 재주를 부리거나, 여러개의 공을 맞바꾸어 던지는 곡예사들(왼쪽)을 日傘(일산)을 쓴 주인공 부부가 흥미있게 지켜보고 있다. 오른쪽이 거대한 기둥 형상을 무덤 내부를 주인공들이 생전에 살던 집 모양으로 꾸미기 위해 그려넣은 것이다. 곡예장면과 등장인물들의 다양한 패션은 수산리 벽화의 가장 큰 특징으로 꼽힌다.
참고문헌
- 김응환·전영선, 북한의 문화유산 관리에 대한 연구 - 김일성 부자의 교시와 법령을 중심으로, 민족학연구, Vol 2, 한국민족학회
- 노동은, 북한의 민족음악 현황과 과제, 중앙음악연구, 제3집, 1992
- 안병우, 민족문화유산 평가의 기준과 내용, 북한의 한국사인식, 한길사, 1990
- 주강현, 북한의 민속생활풍습: 북한 생활 풍습 50년사, 대동, 1994
- 한국민족문화연구소, 북한사회의 이해, 부산대학교 출판부, 1995
추천자료
남북한 식생활문화의 차이
판소리에 대한 북한의 인식태도와 <춘향전>에 대해 북한문학사에서의 가치평가
북한 예술의 특징과 사례분석
[북한문학]주체문예시대 북한문학의 특징에 대하여
[한국의사회와문화] 『새터민의 문화적 갈등』에 대하여
[북한의사회와경제]북한주민의 일상생활과 의식주 생활에 대해
[북한의 언어관][북한의 언어맞춤법][북한의 언어교육][북한의 언어정책][남한의 언어정책][...
1990년대 북한 연극과 성황당 연구
문화적 상대주의 담론이 국제인권규범에서 유효한가
남북교류협력과 문화 및 학술교류협력, 사회문화교류협력, 남북교류협력과 체육교류협력, 경...
[북한의 사회와 경제 E형] 북한주민의 가치관과 일상생활에 대해 논하시오. (북한주민의 가치관)
[북한의 사회와 경제 D형] 북한의 거시경제 현황에 관해 논하시오.
[북한의 사회와 경제 A형] 북한의 권력기관에 관해 논하시오.
북한 인민들의 대남 인식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