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단음절 신체어휘의 통시적 고찰
1.들머리
2.몇몇 단음절 신체어휘의 통시적 고찰
3. 마무리
1.들머리
2.몇몇 단음절 신체어휘의 통시적 고찰
3. 마무리
본문내용
(1992),방언에 나타난 중세국어의 몇 어휘,영남어문학 제22집,영남어문학 회.
김광해(1993),국어 어휘론 개설,집문당.
김영태(1975),경상남도 방언연구(I),진명문화사.
김영태(1991),경남방언연구의 흐름과 방향,김영배선생회갑기념논총,경문출판사.
김정대(1990),경남방언 문법연구의 흐름과 과제,경남어문 23,경남어문학회.
김종택(1992),국어어휘론,탑출판사.
김진규(1993),훈몽자회 어휘연구,형설출판사.
김형철(1987),19세기말 국어의 문체 구문 어휘의 연구,경북대 박사논문.
김형철(1992),어휘론 연구사,국어국문학 40년,집문당.
남기탁(1988),훈몽자회 <신체>부 자훈연구,중앙대 박사학위논문.
남영신(1987),우리말 분류 사전,한강문화사.
문선규((1972),조선관역어 연구,경인문화사.
박병철(1984),훈몽자회 자석연구,인하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박병철(1986),신증유합의 한자어 자석연구,조건상선생고희기념논총,
박정수(1993),변동규칙에 의한 경남방언의 분화 연구,동아대 박사논문.
손희하(1991),새김어휘연구,전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송기중(1985),<몽어유해>연구,역사언어학,전예원.
신경철(1978)신증유합의 자석연구,한국언어문학16,한국언어문학회.
신경철(1992),자석의 역사적 연구,단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안병호(1985),계림유사와 고려시기 조선어,민족문화사.
안병희(1992),국어사 자료 연구,문학과 지성사.
염선모(1984),의미의 성분 분석에 대하여,목천 유창균 박사 화갑기념 논문집.
염선모(1987),국어의미론,형설출판사.
양태식(1983),<손>을 둘러싼 어휘소무리의 의미구조,새국어교육,한국국어교육학 회.
이가원(1960),<물보>와 실학사상,인문과학5,연세대 인문과학 연구소.
이기문(1971),훈몽자회연구,한국문화연구소.
이돈주(1985),훈몽자회 구성에 관한 재검토,김형기선생팔질기념국어학논총.
李翊燮(1992),國語 表記法 硏究,서울대학교출판부.
임지룡(1989),국어 분류어휘집의 체제와 상관성,국어학19,국어학회.
전재호(1992),국어어휘사연구,경북대학교출판부.
정 광(1978),유해류 역학서에 대하여,국어학7,국어학회.
조건상(1868),동문유해의 국어사적 연구,충북대학논문집2.
조건상(1971),동문유해의 국어사적 연구(2),충북대학논문집5.
조항범(1884),국어 유의어의 통시적 고찰,국어연구 제58호,국어연구회.
최범훈(1985),방언집석연구,김형기선생팔질기념국어학논총.
* 자료 및 약호
계림유사----------------------------<계림>
구급간이방--------------------------<구간>
구급방------------------------------<구방>
금강경삼가해------------------------<금삼>
능엄경언해--------------------------<능엄>
동국신속삼강행실도------------------<동신>
동문유해----------------------------<동해>
두시언해----------------------------<두해>
두창경험방--------------------------<두창방>
석보상절----------------------------<석보>
세종어제훈민정음--------------------<세훈민>
신자전------------------------------<신자>
신증유합----------------------------<신합>
박통사언해--------------------------<박해>
방언유석----------------------------<방류>
번역노걸대--------------------------<노번>
번역박통사--------------------------<박번>
번역소학----------------------------<번소>
법화경언해--------------------------<법화>
분문온역이해방----------------------<분문>
소학언해----------------------------<소해>
십구사략언해------------------------<십구>
아학편------------------------------<아학>
언해두창집요------------------------<언두>
언해태산집요------------------------<언태>
역어유해----------------------------<역해>
오륜행실도--------------------------<오륜도>
왜어유해----------------------------<왜해>
용비어천가--------------------------<용가>
우리말 큰사전(한글학회,1991)--------<한>
원각경언해--------------------------<원각>
월인석보----------------------------<월석>
월인천강지곡------------------------<월곡>
일어유해----------------------------<일해>
자류주석----------------------------<자류>
자전석요----------------------------<자전>
정몽류어----------------------------<정몽>
조선관역어--------------------------<조관>
조선어사전(조선총독부,1920)---------<조선>
조선어사전(문세영,1938)-------------<문세>
주해천자문--------------------------<주천>
천자문(광주)------------------------<광천>
천자문(석봉)------------------------<석천>
한불짜뎐----------------------------<한불>
한영짜뎐----------------------------<한영>
한청문감----------------------------<한청>
화어유해----------------------------<화어>
훈몽자회----------------------------<훈몽>
훈민정음(원본)----------------------<훈민-원>
김광해(1993),국어 어휘론 개설,집문당.
김영태(1975),경상남도 방언연구(I),진명문화사.
김영태(1991),경남방언연구의 흐름과 방향,김영배선생회갑기념논총,경문출판사.
김정대(1990),경남방언 문법연구의 흐름과 과제,경남어문 23,경남어문학회.
김종택(1992),국어어휘론,탑출판사.
김진규(1993),훈몽자회 어휘연구,형설출판사.
김형철(1987),19세기말 국어의 문체 구문 어휘의 연구,경북대 박사논문.
김형철(1992),어휘론 연구사,국어국문학 40년,집문당.
남기탁(1988),훈몽자회 <신체>부 자훈연구,중앙대 박사학위논문.
남영신(1987),우리말 분류 사전,한강문화사.
문선규((1972),조선관역어 연구,경인문화사.
박병철(1984),훈몽자회 자석연구,인하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박병철(1986),신증유합의 한자어 자석연구,조건상선생고희기념논총,
박정수(1993),변동규칙에 의한 경남방언의 분화 연구,동아대 박사논문.
손희하(1991),새김어휘연구,전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송기중(1985),<몽어유해>연구,역사언어학,전예원.
신경철(1978)신증유합의 자석연구,한국언어문학16,한국언어문학회.
신경철(1992),자석의 역사적 연구,단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안병호(1985),계림유사와 고려시기 조선어,민족문화사.
안병희(1992),국어사 자료 연구,문학과 지성사.
염선모(1984),의미의 성분 분석에 대하여,목천 유창균 박사 화갑기념 논문집.
염선모(1987),국어의미론,형설출판사.
양태식(1983),<손>을 둘러싼 어휘소무리의 의미구조,새국어교육,한국국어교육학 회.
이가원(1960),<물보>와 실학사상,인문과학5,연세대 인문과학 연구소.
이기문(1971),훈몽자회연구,한국문화연구소.
이돈주(1985),훈몽자회 구성에 관한 재검토,김형기선생팔질기념국어학논총.
李翊燮(1992),國語 表記法 硏究,서울대학교출판부.
임지룡(1989),국어 분류어휘집의 체제와 상관성,국어학19,국어학회.
전재호(1992),국어어휘사연구,경북대학교출판부.
정 광(1978),유해류 역학서에 대하여,국어학7,국어학회.
조건상(1868),동문유해의 국어사적 연구,충북대학논문집2.
조건상(1971),동문유해의 국어사적 연구(2),충북대학논문집5.
조항범(1884),국어 유의어의 통시적 고찰,국어연구 제58호,국어연구회.
최범훈(1985),방언집석연구,김형기선생팔질기념국어학논총.
* 자료 및 약호
계림유사----------------------------<계림>
구급간이방--------------------------<구간>
구급방------------------------------<구방>
금강경삼가해------------------------<금삼>
능엄경언해--------------------------<능엄>
동국신속삼강행실도------------------<동신>
동문유해----------------------------<동해>
두시언해----------------------------<두해>
두창경험방--------------------------<두창방>
석보상절----------------------------<석보>
세종어제훈민정음--------------------<세훈민>
신자전------------------------------<신자>
신증유합----------------------------<신합>
박통사언해--------------------------<박해>
방언유석----------------------------<방류>
번역노걸대--------------------------<노번>
번역박통사--------------------------<박번>
번역소학----------------------------<번소>
법화경언해--------------------------<법화>
분문온역이해방----------------------<분문>
소학언해----------------------------<소해>
십구사략언해------------------------<십구>
아학편------------------------------<아학>
언해두창집요------------------------<언두>
언해태산집요------------------------<언태>
역어유해----------------------------<역해>
오륜행실도--------------------------<오륜도>
왜어유해----------------------------<왜해>
용비어천가--------------------------<용가>
우리말 큰사전(한글학회,1991)--------<한>
원각경언해--------------------------<원각>
월인석보----------------------------<월석>
월인천강지곡------------------------<월곡>
일어유해----------------------------<일해>
자류주석----------------------------<자류>
자전석요----------------------------<자전>
정몽류어----------------------------<정몽>
조선관역어--------------------------<조관>
조선어사전(조선총독부,1920)---------<조선>
조선어사전(문세영,1938)-------------<문세>
주해천자문--------------------------<주천>
천자문(광주)------------------------<광천>
천자문(석봉)------------------------<석천>
한불짜뎐----------------------------<한불>
한영짜뎐----------------------------<한영>
한청문감----------------------------<한청>
화어유해----------------------------<화어>
훈몽자회----------------------------<훈몽>
훈민정음(원본)----------------------<훈민-원>
추천자료
[언어발달과정]유아기언어발달단계와 아동기언어발달단계
학령기 아동의 발달 특징___[석사과정]
2012년 1학기 발달심리 기말시험 핵심체크
아동기 언어 발달
아동기자녀에 대한 부모의 역할
2013년 1학기 발달심리 기말시험 핵심체크
유아기 발달 특징
2013년 동계계절시험 발달심리 시험범위 핵심체크
부모교육, 유아기, 발달 특성, 중요성, 부모역할 : 발달 특성
2015년 2학기, 아동의 발달 단계 (12~24개월 아동 분석) 아동의 성장 특성, 아동의 발달
[의사소통장애아동] 아동기 의사소통장애의 원인과 유형,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상담접 접근, ...
진단보고서 - 정신지체로 인한 언어발달지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