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선물거래
Ⅱ. 선물거래와 선도거래
Ⅲ. 선물의 종류
Ⅳ. 선물거래의 유형
Ⅴ. 선물시장의 기능
Ⅱ. 선물거래와 선도거래
Ⅲ. 선물의 종류
Ⅳ. 선물거래의 유형
Ⅴ. 선물시장의 기능
본문내용
-> 헤지(hedge)란 현재 보유하고 있거나 미래에 보유할 예정인
투자자산 내지 투자포트폴리오의 가치가 하락하는
가격변동위험을 없애거나 줄이기 위한 행위
> 선물 이용 경우 기존의 또는 예정된 현물포지션(spot position)예
대해 선물시장에서 반대포지션을 취하는 것
(1) 헤지의 유형
> 매입헤지(long hedge): 선물 매입
미래에 구입할 예정인 상품의 가격상승위험을 헤지
- 선물을 사두는 것
상품가격상승 - 손실
선물가격상승 - 이익(선물가격 - 계약가격)
* 현물의 손실을 보전
기대헤지(anticipatory hedge)
> 매도헤지(short hedge): 선물을 매도하여 헤지
- 보유상품의 가격이 미래 하락 위험 경우
선물시장 매도포지션 취함
( - 미리 하락하기 전의 높은 가격으로 매도 확정 )
현물가격하락 -> 손실
선물가격하락 -> 이익(계약가격 - 선물가격)
* 현물의 손실을 보전
완전헤지(perfect hedge)
불완전헤지 (imperfect hedge)
대체헤지(cross hedge)
* 현물과 헤지에 사용될 선물의 대상물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 현물과 선물 사이의 상관관계가 변동하는데 따른 위험을 수반
(2) 선물상품의 선정
> 헤지대상인 현물과 가장 가격변동의 연관성이 높은 선물 선택
> 공정하게 평가되어 있는 선물
> 만기월 선택 - 헤지가 끝나는 시점과 가장 가까운 시점 만기 선물
(3) 자금상의 고려
선물의 헤지포지션은 이익은 물론 손실도 발생할 수 있으며 증거금의 추가납입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 인식
2 투기거래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는 기간에 따라 투기자 분류
> 단타거래자(scalper) - 소규모 거래 순간 반복
> 하루거래자(day trader)
- 매일 시장이 종료전에 반대매매를 하여 포지션(position) 청산
> 포지션거래자(position trader)
- 포지션을 하루 이상 장기간 보유하는 투기자
3. 스프레드거래
(1) 스프레드거래의 의의
> 같은 시장 또는 관련된 시장에서
다른 두 선물계약을 동시에 사고 파는 거래
*스트래들(straddle), 스위치(switch)
> 두 선물계약의 가격차이가 일정한 범위를 벗어나고
이들 가격차이가 변할 것이라고 예상될 때 포지션 취함
- 저평가 선물 매입, 고평가 선물 매각
> 스프레드의 변동에 따른 투자전략으로 투기거래보다 위험이 적다.
(2) 스프레드거래의 유형
> 만기간 스프레드(Inter delivery spread)
- 같은 대상 선물중 만기가 서로 다른 선물 동시 매입 매도
> 상품간 스프레드(Inter-commodity spread)
- 만기가 같으면서 서로 다른 선물
> 거래소간 스프레드(Inter-market spread)
- 같은 선물상품이라도 거래소간에 일시적인 가걱차이 이용
> 강세 스프레드(bull spread)
- 만기가 가까운 선물가격이 만기차 먼 선물가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상숭할 것이라 예상하고 만기가 가까운 선물을 매입함과 동시에 만기가 먼 선물을 매도하는 것
> 약세 스프레드(bear spread)
- 만기가 가 까운 선물가격이 만기가 먼 선물가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하락만 것이 라고 예상하고 만기가 가까운 선물을 매도함과 통시에 만기가 먼 선물을 매입하는 것
> 나비형 스프레드(butterfly spread)
- 스프레드에 대한 스프레드
- 두 스프레드 중 한 스프레드는 만기 가까운 선물매입, 먼 선물매도,
다른 스프레드는 만기 가까운 선물매도, 먼 선물매도
- 위험이 적은 반면에 수익도 적다.
- 비율스프레드(ratio spread)
4. 아비트라지거래
> 선물가격이 이론적으로 산출된 공정가격을 상회 또는 하회하는 경우
- 가격차이만큼의 무위험차익을 획득 가능
> 실제선물가격이 이론선물가격보다 높을 경우
선물매도와 현물매입을,
실제선물가격이 이론선물가격보다 낮을 경우
선물매입과 현물매도를 수반
> 아비트라지거래자는 현물시장과 선물시장을 연결, 통합시키는 역할
> 프로그램 매매(program trading)
Ⅴ. 선물시장의 기능
1. 투자위험 헤지
선물거래를 이용하여 현물시장에 일시적으로 큰 충격을 주는 일이
없이 적은 비용으로 신속하게 가격변동위험을 관리
2. 시장유동성 제고
작은 증거금만으로 큰 금액의 거래가 가능 - 시장 활성화
3. 가격예시
시장정보의 질과 양 증대
- 가격예측오차 감소
- 선물가격은 현물시장의 정확한 미래가격의 전망
- 현물시장 가격 효율적, 안정적 형성
투자자산 내지 투자포트폴리오의 가치가 하락하는
가격변동위험을 없애거나 줄이기 위한 행위
> 선물 이용 경우 기존의 또는 예정된 현물포지션(spot position)예
대해 선물시장에서 반대포지션을 취하는 것
(1) 헤지의 유형
> 매입헤지(long hedge): 선물 매입
미래에 구입할 예정인 상품의 가격상승위험을 헤지
- 선물을 사두는 것
상품가격상승 - 손실
선물가격상승 - 이익(선물가격 - 계약가격)
* 현물의 손실을 보전
기대헤지(anticipatory hedge)
> 매도헤지(short hedge): 선물을 매도하여 헤지
- 보유상품의 가격이 미래 하락 위험 경우
선물시장 매도포지션 취함
( - 미리 하락하기 전의 높은 가격으로 매도 확정 )
현물가격하락 -> 손실
선물가격하락 -> 이익(계약가격 - 선물가격)
* 현물의 손실을 보전
완전헤지(perfect hedge)
불완전헤지 (imperfect hedge)
대체헤지(cross hedge)
* 현물과 헤지에 사용될 선물의 대상물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 현물과 선물 사이의 상관관계가 변동하는데 따른 위험을 수반
(2) 선물상품의 선정
> 헤지대상인 현물과 가장 가격변동의 연관성이 높은 선물 선택
> 공정하게 평가되어 있는 선물
> 만기월 선택 - 헤지가 끝나는 시점과 가장 가까운 시점 만기 선물
(3) 자금상의 고려
선물의 헤지포지션은 이익은 물론 손실도 발생할 수 있으며 증거금의 추가납입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 인식
2 투기거래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는 기간에 따라 투기자 분류
> 단타거래자(scalper) - 소규모 거래 순간 반복
> 하루거래자(day trader)
- 매일 시장이 종료전에 반대매매를 하여 포지션(position) 청산
> 포지션거래자(position trader)
- 포지션을 하루 이상 장기간 보유하는 투기자
3. 스프레드거래
(1) 스프레드거래의 의의
> 같은 시장 또는 관련된 시장에서
다른 두 선물계약을 동시에 사고 파는 거래
*스트래들(straddle), 스위치(switch)
> 두 선물계약의 가격차이가 일정한 범위를 벗어나고
이들 가격차이가 변할 것이라고 예상될 때 포지션 취함
- 저평가 선물 매입, 고평가 선물 매각
> 스프레드의 변동에 따른 투자전략으로 투기거래보다 위험이 적다.
(2) 스프레드거래의 유형
> 만기간 스프레드(Inter delivery spread)
- 같은 대상 선물중 만기가 서로 다른 선물 동시 매입 매도
> 상품간 스프레드(Inter-commodity spread)
- 만기가 같으면서 서로 다른 선물
> 거래소간 스프레드(Inter-market spread)
- 같은 선물상품이라도 거래소간에 일시적인 가걱차이 이용
> 강세 스프레드(bull spread)
- 만기가 가까운 선물가격이 만기차 먼 선물가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상숭할 것이라 예상하고 만기가 가까운 선물을 매입함과 동시에 만기가 먼 선물을 매도하는 것
> 약세 스프레드(bear spread)
- 만기가 가 까운 선물가격이 만기가 먼 선물가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하락만 것이 라고 예상하고 만기가 가까운 선물을 매도함과 통시에 만기가 먼 선물을 매입하는 것
> 나비형 스프레드(butterfly spread)
- 스프레드에 대한 스프레드
- 두 스프레드 중 한 스프레드는 만기 가까운 선물매입, 먼 선물매도,
다른 스프레드는 만기 가까운 선물매도, 먼 선물매도
- 위험이 적은 반면에 수익도 적다.
- 비율스프레드(ratio spread)
4. 아비트라지거래
> 선물가격이 이론적으로 산출된 공정가격을 상회 또는 하회하는 경우
- 가격차이만큼의 무위험차익을 획득 가능
> 실제선물가격이 이론선물가격보다 높을 경우
선물매도와 현물매입을,
실제선물가격이 이론선물가격보다 낮을 경우
선물매입과 현물매도를 수반
> 아비트라지거래자는 현물시장과 선물시장을 연결, 통합시키는 역할
> 프로그램 매매(program trading)
Ⅴ. 선물시장의 기능
1. 투자위험 헤지
선물거래를 이용하여 현물시장에 일시적으로 큰 충격을 주는 일이
없이 적은 비용으로 신속하게 가격변동위험을 관리
2. 시장유동성 제고
작은 증거금만으로 큰 금액의 거래가 가능 - 시장 활성화
3. 가격예시
시장정보의 질과 양 증대
- 가격예측오차 감소
- 선물가격은 현물시장의 정확한 미래가격의 전망
- 현물시장 가격 효율적, 안정적 형성
추천자료
콜시장 의의 및 제도변천 거래조건 참가기관 거래메커니즘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시장지배적 사업자의 요건)
한국에 존재하는 화폐시장의 종류와 이들 개별 화폐시장의 기능, 거래메카니즘, 거래 규모 등...
기술이전·거래를 위한 기술시장(Techno-mart)의 활성화 방안
[투자론] 주식시장의 매매거래중단제도(서킷 브레이커, 사이드 카) 연구
[파생상품] 주가지수선물의 거래전략
독과점 및 불공정 거래에 관한 사례연구-한국 영화산업의 시장 지배적 구조
매매거래제도(유가증권, 코스닥, 프리보드 시장)
온라인증권거래로 인한 시장의 변화와 문제점
[독후감] 히말라야의 선물 - 공정무역, 공정거래, 히말라야 커피로드 관련 독후감
탄소배출권 거래제에 대한 이해 (탄소배출권 제도, 도입배경, 온실가스 배출국 현황, 탄소배...
무역상무관리(무역상무의 의의)와 신규거래관계의 창설 (거래상품의 선정,해외시장조사,거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예작물학)- 근처 시장(마트)에서 거래되는 채소의 종류를 조사하고 체...
리퍼비시 제품(B급 상품, 중고거래 반품상품) 시장의 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