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구 목적과 필요성
2. 발달장애인의 언어적 특성과 검사
3. 인지적 제한을 지닌 사람들에 대한 검사와 타당도 문제
4. 흥미와 구성개념
5. 직업흥미와 직업분류 체계
6. 결론과 함의
참고문헌
***국문초록
2. 발달장애인의 언어적 특성과 검사
3. 인지적 제한을 지닌 사람들에 대한 검사와 타당도 문제
4. 흥미와 구성개념
5. 직업흥미와 직업분류 체계
6. 결론과 함의
참고문헌
***국문초록
본문내용
& Ary, D. (1989). Analyzing quantitative behavioral observation data.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Wallace, G., Larsen, S. C., & Elksnin, L. K. (1992). Educational assessment of learning problems: Testing for teaching (2nd ed.). Boston: Allyn & Bacon.
Walsh, W. B. (1979) Vocational behavior and career development, 1978: A review.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5, 119-154
Walsh, W. B., & Osipow, S. H. (1983). Handbook of vocational psychology: Volume 2 Applications (Ed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Weinrach, S. G. (1996). The psychological and vocational interest patterns of Donald Super and John Holland,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5, 5-16.
A study on linguistic the validity of characteristics and
picture test inventories to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al-Yob Lee, Im-Dae Noh, Seung-Wook Lee
Departmen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Taegu University
Abstract
It is very important for rehabilitation to deal with psychological aspec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s well as efforts improving the institution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A majority of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the situation of Korea have difficulty in having and maintaining a job. Work should and would be a source of self-respect and material well-being in this modern society. Therefor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are measures in restoration of family functions and social particip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the validity of constructional concepts of picture interest test inventories that have been utilized for the segregated groups of people such as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icture interest test inventories seemed to be valid for measuring psychological traits and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and this finding can be extended to the group of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such as learning disabilities and mild/moderate behavioral deficits. The Holland classification system seemed to be best fitted for developing a comprehensive and accurate vocational interest inventory.
국문초록
장애인의 직업재활에 있어서 제도적 환경적 개선노력과 더불어 심리적 요소들을 다루는 일이 매우 중요하게 된다. 사실 많은 수의 사람들이 심리적 적응상의 문제로 인하여 적절한 직업을 갖지 못하고 있거나 직장생활의 지속이 어렵게 된다. 일은 장애인 개인의 존엄성을 높이고 사회에 대한 창조적 기여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가족기능을 회복시켜 장애를 지니지 않은 다른 가족 구성원들의 자유와 능력을 신장시키는 효과적인 수단이자 도구이지만 지금까지 이들의 진로개발이나 직업개발에 있어 동기부여와 흥미요소의 고려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장애, 특히 중증의 장애를 지닌 시민들이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그림검사, 특히 그림 흥미검사 도구의 개발이 시급하고 이를 위한 초기 과정으로서 흥미검사의 구성개념을 분석하고 그 개념의 타당도를 검증하려는 노력이 본 연구의 토대이다. 연구결과 정신적 심상은 발달장애인의 학습과정을 촉진시키며, 그림 자극이 재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여러 가지 검사도구에서 채택하고 있는 Holland의 여섯 가지 분류방식에 의거한 많은 임상적, 경험적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며, 괄목할만한 성과를 나타내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이론에 기초할 때 직업탐색과 진로상담에 필요한 정보와 자료들의 실제적 활용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볼 수 있다. 인지적 장애를 지니거나 독해력과 읽기 능력이 제한된 사람들에게 효과적으로 사용 될 수 있는 흥미탐구 검사는 지금까지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흥미검사 도구들의 유용성을 감안할 때 Holland방식의 직업분류에 따른 항목들의 개발이 보다 적적할 것으로 보인다.
Wallace, G., Larsen, S. C., & Elksnin, L. K. (1992). Educational assessment of learning problems: Testing for teaching (2nd ed.). Boston: Allyn & Bacon.
Walsh, W. B. (1979) Vocational behavior and career development, 1978: A review.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5, 119-154
Walsh, W. B., & Osipow, S. H. (1983). Handbook of vocational psychology: Volume 2 Applications (Ed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Weinrach, S. G. (1996). The psychological and vocational interest patterns of Donald Super and John Holland,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5, 5-16.
A study on linguistic the validity of characteristics and
picture test inventories to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al-Yob Lee, Im-Dae Noh, Seung-Wook Lee
Departmen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Taegu University
Abstract
It is very important for rehabilitation to deal with psychological aspec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s well as efforts improving the institution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A majority of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the situation of Korea have difficulty in having and maintaining a job. Work should and would be a source of self-respect and material well-being in this modern society. Therefor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are measures in restoration of family functions and social particip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the validity of constructional concepts of picture interest test inventories that have been utilized for the segregated groups of people such as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icture interest test inventories seemed to be valid for measuring psychological traits and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and this finding can be extended to the group of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such as learning disabilities and mild/moderate behavioral deficits. The Holland classification system seemed to be best fitted for developing a comprehensive and accurate vocational interest inventory.
국문초록
장애인의 직업재활에 있어서 제도적 환경적 개선노력과 더불어 심리적 요소들을 다루는 일이 매우 중요하게 된다. 사실 많은 수의 사람들이 심리적 적응상의 문제로 인하여 적절한 직업을 갖지 못하고 있거나 직장생활의 지속이 어렵게 된다. 일은 장애인 개인의 존엄성을 높이고 사회에 대한 창조적 기여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가족기능을 회복시켜 장애를 지니지 않은 다른 가족 구성원들의 자유와 능력을 신장시키는 효과적인 수단이자 도구이지만 지금까지 이들의 진로개발이나 직업개발에 있어 동기부여와 흥미요소의 고려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장애, 특히 중증의 장애를 지닌 시민들이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그림검사, 특히 그림 흥미검사 도구의 개발이 시급하고 이를 위한 초기 과정으로서 흥미검사의 구성개념을 분석하고 그 개념의 타당도를 검증하려는 노력이 본 연구의 토대이다. 연구결과 정신적 심상은 발달장애인의 학습과정을 촉진시키며, 그림 자극이 재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여러 가지 검사도구에서 채택하고 있는 Holland의 여섯 가지 분류방식에 의거한 많은 임상적, 경험적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며, 괄목할만한 성과를 나타내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이론에 기초할 때 직업탐색과 진로상담에 필요한 정보와 자료들의 실제적 활용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볼 수 있다. 인지적 장애를 지니거나 독해력과 읽기 능력이 제한된 사람들에게 효과적으로 사용 될 수 있는 흥미탐구 검사는 지금까지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흥미검사 도구들의 유용성을 감안할 때 Holland방식의 직업분류에 따른 항목들의 개발이 보다 적적할 것으로 보인다.
추천자료
(의무고용제) 장애인의 취업 및 장애인 고용에 대한 실태와 문제점 및 해결방안 - 청각장애인...
장애인고용 (장애인취업) 이 미진한 원인 및 장애인고용 활성화 방안 (보호고용을 중심으로)
장애인 자립생활의 의미와 외국 장애인들의 자립생활, 우리나라와 비교, 문제점, 대안방안, ...
2007년 장애인복지의 실태와 장애인복지 정책의 과제 및 개선방안 [장애인복지 방안]
[장애][장애아동 양육][가정지도][여성장애인][여성장애인 양육]장애의 정의, 장애의 원인, ...
뇌성마비(뇌성마비장애인, 뇌성마비아동) 아동, 운동, 뇌성마비(뇌성마비장애인, 뇌성마비아...
[뇌성마비]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 뇌성마비장애인)의 의미와 원인,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 ...
[한미일, 한국미국일본, 장애인고용촉진]한미일(한국미국일본) 장애인고용촉진, 장애인소득보...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 뇌성마비장애인) 검사와 간호,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 뇌성마비장애...
장애인복지 - 개념, 장애유형, 현황, 발생원인, 장애인의 재활, 장애인복지정책, 접근권, 자...
[장애인복지론] 근대이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서구장애인복지의 역사에 대하여 서술하시...
장애아동 양육에 대한 장애인가족의 어려움과 지원서비스 ( 장애인가족의 서비스, 장애아동의...
장애인 관련 법률의 내용을 정리하고 장애인 복지 향상을 위해 그 법률이 개정되어야 할 내용...
[장애인복지론]장애의 유형 및 특성을 교안으로 숙지합니다 장애인의 유형 및 특성을 살펴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