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의료사업 선구자 이영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농촌의료사업선구자 이 영 춘

※ 이영춘 박사의 생애

※ 헌신적·초인적 진료

※ 근본적인 치유에 관심

※ 청빈한 삶

※ 주변인물들

※ 기념사업

※ 쌍천 이영춘박사 약력

※ 이영춘 박사가 있던 곳의 유래

※ 이영춘 박사의 가옥 ( 건축사적으로 중요한 자료 )

※ 결론

본문내용

방이 있는데 원래는 10첩의 큰 다다미방이었다고 한다. 방 전면에는 복도가 있고 미서기창이 설치되어 개정과 대야의 평야를 조망할 수 있도록 했다. 온돌방으로 개조하기 전에는 방의 서쪽에 도코노마가 있었고 동쪽에는 벽장이 설치되어 있었다고 한다.
내부에는 기둥과 안방사이의 심벽은 회로 마감되었는데 미서기창 등에는 아직도 일식의 건축수법이 남아있다. 복도 북쪽에는 현재 식당으로 사용하는 한식 온돌방이 있는데 북쪽에는 유리를 끼운 세살창과 방충망, 완자창 등 3중으로 된 창이 있으며 벽장이 설치되어 있다. 온돌방과 일식 방사이의 복도 끝에는 작은 홀이 있고 부엌과 다용도실, 화장실 등이 연결되어 있는데 바닥에는 모두 장마루가 깔려 있다. 부엌은 온돌방 동쪽에 위치하는데 북쪽에 큰 창이 나 있으며 그 앞에 개수대가 설치되어 있고 동쪽으로 미서기문이 있어 외부와 연결된다. 서쪽에는 찬장이 설치되어 있는데 그 밑에는 온돌 아궁이가 있어 마루 일부를 들어올려 출입하였다고 한다. 부엌 남쪽의 다용도실에는 홀과 세면대가 있으며 그 동쪽에 욕실이 있는데 욕실의 천장은 증기를 배출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현재도 욕실과 화장실에는 당시에 붙인 타일이 떨어지지 않고 잘 남아있다고 한다.
이 건물은 일식 주택이 흔한 군산 지역에서는 특이하게 서양식과 일식, 한식을 절충한 주택이며 근대 초기에 미터법을 적용한 건물로서 건축사적으로 중요한 자료이며 보존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 이상으로 우리 조에서는 이영춘 박사에 대해 조사를 하였으나 우리가 찾은 자료에 비해 여러 가지 많은 것들이 다른 이영춘 박사를 조사한 결과보다 중요하지 않지만 우리 조에서는 이영춘 박사가 어떻게 살았고 어떤 형태로 우리에게 남아 있고 우리에게 시사하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 많이 깨달았습니다. 많은 자료를 얻지 못한점에 사과드리고 현재 우리들보다 많은 사람들이 이영춘 박사의 발자취를 찾으려는 전문적인 사람들도 많아 진 것 같습니다. 이렇게 우리조에서는 이영춘 박사에 대해 마치고자 합니다. 지금까지 읽어주시느라 고맙습니다. 내용이 이상하고 엉성하더라도 잘 봐주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참고 자료..
흙에 심은 사랑의 인술
쌍천 이영춘 박사의 생애와 사상
http://210.104.89.253/home/home/graduate/graduate86/졸업생/전원/home/pds03.htm
http://www.jeonbukilbo.co.kr/GIHACK/man50/man_10a.htm
http://www.kunsansi.co.kr/tour/tour2-7.htm
http://chiak.kaist.ac.kr/~drlee/YC.htm
http://www.kcn.ac.kr/intro/history.asp
◎ 농촌의료사업선구자 이 영 춘
※ 이영춘 박사의 생애
※ 헌신적·초인적 진료
※ 근본적인 치유에 관심
※ 청빈한 삶
※ 주변인물들
※ 기념사업
※ 쌍천 이영춘박사 약력
※ 이영춘 박사가 있던 곳의 유래
※ 이영춘 박사의 가옥 ( 건축사적으로 중요한 자료 )
※ 결론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11.28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36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