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승-전통문화의 이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언

2. 본론

3. 결론

본문내용

리와 양반에 대한 도피이고 저항이기도 하였다.
지형상 육상 해상 교통로의 핵으로 구석기와 신석기시대 이후 역사상의 중요한 무대인 서울·경기도의 장승(장승이라고 부름)은 마을입구나 산신제터 돌무더기 위에 솟대와 함께 세워져있다. 이들은 매우 추상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이유는 가장 호화롭고 사람의 왕래가 빈번한 풍요로운 곳인 경기지방의 장승은 어쩌면, 소망을 이룩해주는 대상조차 필요없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3.결언
앞에서도 말했듯이 장승의 진정한 아름다움은 민중과 함께 하는 데에서 생겨나는 것이다. 여타의 다른 예술들이 생활과는 동떨어져 자체의 미만을 추구해옴에 반해 장승은 항상 민초의 마음을 담아내고 있었다. 생산에 참여하는 민중들의 고충, 시름, 소망을 묵묵히 들어오며 그렇게 긴 시간을 장승은 우리 곁에 있었다. 이런 점이야말로 앞으로 이어가야 할 숭고한 정신이라고 하겠다. 21세기에 맞는 장승으로 이런 정신을 기본으로 한 후, 새 의미를 부여하여 재창조 할 수 있어야하겠다.
<참고문헌>
장승. 율화당.
남도민속학개설. 태학사. 지춘상.
한국민속학 개설. 보성문화사. 이두현
<참고싸이트>
장승학교 http://www.jangsung.org/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2.11.29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36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