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산업의 미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최근 국내의 IT과 무선 인터넷
1) 최근 국내의 IT산업 성과
2)인터넷 국가별 비중과 국내 초고속 인터넷 확산추이
3)국내 무선인터넷 가입자 현황 및 업체별 추이
4) IT산업 생산액 및 GDP 비중 증가 추이

2.이동전화 가입현황과 시장점유율
1)연별자료
2)월별자료

3 IT산업의 발전추세(미래)

4. IT 산업의 앞으로 나아갈 길

본문내용

서비스를 창출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가정,의료,교육 분야에 있어서는 재택근무, 실감영상, 원격교육, 전자도서관, 원격진료 등의 첨단서비스를 제공하고, 공공분야에서는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재택민원, 전자투표 등 전자정부를 구현하며, 산업부문에서는 전자주문, 전자결재, 전자경매 등의 전자상거래, 통합물류생산, 물류VAN(Value Added Network), SCM(Supply Chain Management)/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 ment)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둘째, 네트워크기술은 광교환·전송기술의 발전과 광가입자망의 구축, 초고속 멀티미디어네트워킹기술의 출현으로 광대역 방송·통신·가전 융합망이 구축될 전망이다. 즉 수백 Gbps급의 광교환·라우터기술, 수십 Tbps급 광전송기술, 가입자망 광화 및 4세대 초고속·멀티미디어네트워킹기술의 출현으로 네트워크의 전광화가 진전되고, 광대역 방송·통신·가전 융합망이 구축될 것이다. 또한 이동통신기술은 B-WLL(Broadband- Wireless Local Loop), 초고속 무선LAN, IMT-2000 등을 바탕으로 광대역 무선멀티미디어시스템의 구현과 함께 광인터넷망과의 연동을 통해 유선,무선 통합망 구조를 완성하게 될 것이다.
셋째, 정보단말기는 디지털화,고속화,지능화,개인화가 진전되면서 휴대형 정보단말기는 대용량 메모리IC, 저전력 RF(Radio Frequency)부품기술, 고용량전지 등 부품의 소형화와 다기능화를 기반으로 유·무선 통합뿐만 아니라 타 정보가전 단말기와의 통합이 완성될 전망이다. 컴퓨터는 초슈퍼컴퓨터가 출현하고, 기존의 PC는 독립적인 컴퓨팅 환경에서 네트워킹 구조로 변화하면서 홈,오피스 서버의 개념으로 등장할 것이다.
넷째, 정보처리기술은 음성인식 및 영상합성·생성기술, 3차원 입·출력기술, IT-BT 기술융합의 가속화로 지능형·실감형 정보처리는 물론 휴먼정보처리가 실현될 것이다.
다섯째, 부품 및 소자는 고집적화·초고속화·저전력화·저가격화의 방향으로 발전하여 모든 시스템이 하나의 칩(System-on-Chip)으로 구현될 전망이다. 메모리는 집적의 고속화 및 초소형화가 가속화될 뿐만 아니라, 비휘발성 메모리 등 새로운 개념의 메모리가 지속적으로 개발될 것이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는 소형 경량화·고해상도화 및 입체·실감형으로 발전하여 내구성, 내환경성, 동화상 구현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한 FED(Field Emission Display) 등으로 발전할 것이다.
4. IT 산업의 앞으로 나아갈 길
2000년부터 시작된 전세계적인 IT수요의 감소는 정보통신산업의 미래에 대한 회의론을 대두시키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이와 같은 정보통신산업 침체현상은 정보통신산업도 타 산업과 마찬가지로 경기순환을 겪는다는 사실을 보여 줄 뿐이며, 지난 2년간의 침체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IT자본 순소득이 오히려 증가하고 IT의 생산성 향상효과가 가시화되고 있어 장기적인 성장전망은 여전히 밝은 것으로 보인다.
국내 정보통신산업도 2001년도에 초유의 침체를 경험하였으나 2002년부터는 회복에 대한 기대가 확산되고 있다. 2001년의 정보통신산업 침체는 발전초기에 나타나는 일시적인 조정과정으로서 장기도약을 위한 전환기로 간주되고 있다. 이는 정보통신산업이 타 산업의 생산성 증대와 고도화를 주도하므로 향후에도 발전여력이 크며, 지난 1년간의 구조조정으로 과잉생산과 투자가 상당히 해소되었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국내 정보통신산업은 경기호전에 따른 IT수요의 증가와 IMT-2000서비스의 본격 보급, 월드컵 특수, 디지털TV 보급 확산 등의 요인을 바탕으로 2002년부터 회복기에 접어들 전망이다. 특히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인도 등 거대 인구지역이 CDMA서비스를 제공하기로 결정함으로써 2002년부터 국내 기업의 단말기 및 시스템장비 수출이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또한 중국의 WTO 가입에 따른 수출확대와 반도체 등을 비롯한 IT수요의 증가세 반전 등도 정보통신산업의 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더불어 공공부문의 재정 조기집행 및 민간부문의 IT투자 확대와 신규수요 창출이 경기회복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하반기부터는 정보통신산업의 재고조정이 마무리되고 경기부양효과가 가시화될 전망이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2.11.29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37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