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헌 정보학 전자 참고 봉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개관

2. 탐색능력
(1) 불 논리
(2) 절단 기법
(3) 색인의 디스플레이

3. 참고 봉사에 이용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유형
A. 서지 데이터베이스
B. 비서지 데이터베이스
(1) 전문 데이타베이스
(2) 수치 데이터베이스
C. 목록 데이터베이스
(1) 서지 유틸리티
(2) 개별 도서관 목록과 시스템 목록

4. 참고 봉사에 이용되는 전송 시스템
A. 온라인 검색 시스템
B. CD-ROM 탐색 시스템
C. 개별 도서관에서 로드하는 데이터베이스
D. 게이트웨이 탐색(최종 이용자 탐색 소프트웨어)
E. 데이터베이스 벤더

5. 탐색 서비스의 유형
A. 즉답형 및 조사형 참고 질의에 대한 서비스
B. 심층적 탐색 서비스
(1) 탐색 면담과 예비 탐색
(2) 탐색 전략과 탐색의 실시

6. 한국의 전자 참고 봉사
A.개 관
B. 한국데이타통신(주)의 서비스
(1) 정보 은행 서비스
(2) 전자 사서함(Electronic Mail)
(3) 금융 정보 전송 서비스
(4) 특수 통신 회선 서비스(데이터 전용 회선)
(5) 데이콤 컴퓨터 서비스
(6) 비디오텍스 서비스
C. KINITI-IR 서비스
D. 기타 온라인 정보 서비스

본문내용

다. 즉 세계 특허 정보(WPI), 전기 전자 정보(INSPEC)를 비롯하여 모두 8종의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도입하여 KINITI-IR에 구축하고 온라인 서비스를 하고 있다. 매년 약 170만 건의 새로운 정보를 추가 갱신하고 있으며, 1966년부터 현재까지 총 정보 축적량이 1710만 건이 넘어 국내 최대의 전문 기술 보유 규모를 보인다. 1994년에는 의학, 생화학과 관련의 EMBASE도 도입하였다. 특히 한국의 공개 특허, 공고 특허, 공개 실용, 공고 실용, 등록 의장, 상품 정보 등은 KINITI-IR을 통해서만 검색할 수가 있다.
연결된 해외 데이터뱅크로는 미국의 DIALOG, ORBIT, BRS, CASONLINE, 일본의 JOIS, PATOLIS, NEEDS-IR, 유럽의 INPADOC, QUESTEL 등 6개국 11개처를 비롯, 국제 데이터뱅크 STN(미국, 독일, 일본)등을 들 수가 있다.
1984년 운영이래 KINITI-IR의 가입자는 1993년 12월 현재 2230기관이 넘으며, 매년 평균 30%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공중 전화망 이용이 가장 많고 데이터통신(DACOM)의 통신망인 DNS망, KINITI의 전용회선, 국내 민간 VAN(Value Added Network) 이용자순이고, 방문 검색을 이용하는 사람들도 10%가 넘는다. 아픗로는 국가 기간 정보망(교육, 연구, 행정)과 연계 체제를 구축하게 될 것이다.
D. 기타 온라인 정보 서비스
도서관과 관련되는 학술 기관으로서 한국학술진흥재단은 설립된 지난 1981년부터 시작하여 자체 생산한 데이터베이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도 전체 장서 130여만 권 가운데 이미 66만 건에 대한 전산화 작업을 마쳤으며, 전국 도서관 전산화 10개년 계획에 따라 500여개 도서관의 소장 자료를 단계적으로 전산화함으로써 전국적인 네트워크로써 온라인 서지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한편, 국회도서관에서는 NOLIS(National assembly OnLine Information retrial System) 시스템을 설치하여 이용자에게 서비스한다. 1994년 현재 이용이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는 국회 회의록 색인, 국감 회의록 색인, 의회 용어집, 정기 간행물 기사 색인, 학위 논문 목록, 단행본 목록, 연속 간행물 목록, 국외 간행물 색인, 의원 요구 자료 색인, 의안 연혁 등이다.
서울대학교 도서관을 비롯하여 이화여대, 연세대, 인하대, 포항공대 등에 이어서 여러 대학 도서관의 전산화 작업이 진행 또는 계획 중에 있고, 이외에도 정부 기관, 연구 단체, 도서관, 언론 기관, 기업들에서도 자체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계획 또는 실행 중이다. 참고 사서는 여러 시스템의 명칭, 제공자,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의 유형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고 결과적으로 다양한 수준과 종류의 정보를 조사할 수 있도록 봉사의 영역을 확대하는 성과를 거둘 수 있어야 한다.
최근에는 학술 및 연구 기관을 중심으로 네트워크가 구축되기도 하였다. SDN(System Development Network)이라는 명칭의 전용 연구망을 통해 가입 기관간에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는가 하면, 국가간의 전산망인 INTERNET에는 일본, 영국, 미국, 불란서를 비롯한 50여개 국과 함께 참여하여 전세계에 산재된 수많은 데이터베이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대덕 시스템 공학 연구소(SERI)가 주도해서 운영하고 있는 국가 연구 전산망(KREONET), 서울대학교의 관리하에 있는 교육 전산망(KREN), 그리고 한국통신에서 운영하여 KREONET와 KREN보다 먼저 발전하기 시작한 전산망인 하나망(SDN/HANA)의 세 네트워크가 해외 전산망과 연결되어 하나의 INTERNET를 형성하고 이TEk. EK라서 현재 90여 개에 달하는 교육, 기업, 연구 기관의 6,000여 대 컴퓨터가 INTERNET에 가입 연결되어 국내 학술 연구망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위의 세 네트워크 중 어디에 가입하더라도, 다른 네트워크나 해외의 네트워크와 접속이 가능하고, 가입 기관의 개인은 별도의 가입 필요 없이 소속 기관내에서 계정을 받아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가 있다.
교육 전산망은 전국 시·도의 9개 국립 대학을 연결하는 KREN INTERNET와 수도권 15개 대학 17개 시스템을 연결하는 KREN-Bitnet으로, 1991년에 시범망을 구축한 이래, 원격 로그인, 전자 우편, 파일 송수신, 대화식 메시지 교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교육 전산망에 연동될 수 있는 방안과 전문 도서관의 연구망이 연동되는 교육 연구전산망이 추진되고 있다. 1991년부터 1997년까지 문헌 정보 처리와 표준화, 데이터베이스 구축, 소프트웨어 개발 및 보급, 네트워크 운영, 전산기기 확충, 전문 인력 확보 등에 관한 단계적 계획이 연도별로 계획되고 있다.
주목할 점은 1997년에 정보 시장이 개방되는 것과 발맞추어 한국 정부에서도 각종 통신 관련 법규를 개정하고 규제를 완화하여 민간 참여를 촉진할 계획을 하고 있으며, 또한 2015년을 목표로 고속 정보망(Information SUper Highway)의 단계적 도입 계획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고속 정보망이란 미국 내 및 국제적으로 산재해 있는 데이터베이스들을 각종 통신 설비와 통신 기술을 이용해서 상호 연결하여 일반 국민에게 저렴한 가격과 신속한 방법으로 정보를 공급할 수 있는 체제이다.
이 고속 정보망에는 각종 연구 기관, 도서관, 상업용 정보와 데이터 비스 업체, 대학, 정부 기관 그리고 그 밖에 개인 정보 등 모든 정보 소스들이 총망라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라디오, TV, 컴퓨터 네트워크, 전화 등 각종 통신 설비들이 ISH에 연결도게 된다. 따라서 ISH는 오디오, 이미지, 음성 및 데이터 전송에 관련된 각종 통신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망이 될 것이다. 이러한 ISH가 건설되면 재정적인 제약 때문에 지금까지는 소수의 특정인과 대규모 기업이나 조직만이 받을 수 있던 많은 정보들을 다수의 일반인들도 저렴하고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2.12.02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40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