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CRS산업의 의의와 발전과정
* CRS산업의 현황
* CRS와 GDS
* 항공예약시스템의 기능
* 기타 업무와 정보통신기술
* 한국 CRS산업의 과제
* 사례연구
* CRS산업의 현황
* CRS와 GDS
* 항공예약시스템의 기능
* 기타 업무와 정보통신기술
* 한국 CRS산업의 과제
* 사례연구
본문내용
줄은 루트 구조의 항공사 경영에 의한 특별한 결정을 요함
비행 스케줄은 시장, 경쟁기업, 계절에 따라 유동적이기 때문에 항상 실행되어지고 있는 업무
루트 구조는 가장 이익을 많이 내는 루트, 각 루트를 비행하기 위한 비행기의 예를 포함
모델의 입력 대상 : 특별한 루트를 운항하는 다른 항공사와 그들이 부과하는 요금과 같은 경쟁적 요소, 수입과 같은 경제적 요소, 사업 경향과 사이클, 승무원과 비행기와 같은 이용 가능한 요소, 날씨, 항공교통지연, 기술적 실패와 같은 외인적이고 변덕스러운 요소
모델의 아웃풋은 주어진 상황에서 적재화물과 수입을 최대화하는 비행 스케줄
2) 승무원 계획과 관리
비행 스케줄이 결정되면 비행을 위한 조종사와 flight attendant가 계획되어야 함
의사결정시스템 모델은 비행을 위한 승무원 최적 할당량을 결정
입력 사항 : 선호 루트, 승무원 중 선임자, 가장 좋아하는 도시에 대한 승무원의 요구, 연방항공협회에 약정된 작업시간의 최대값, 예산
3) 게이트 관리와 출국 통제
비행이 계획되고 승무원이 할당되면, 공항에서의 항공기 입·출항과 공항설비는 통합됨
최선의 게이트를 결정하기 위한 컴퓨터 모델은 도착시간, 비행기 형태, 회귀시간, 비용 등을 고려
도착을 위한 최상의 게이트 패턴은 모든 자원이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되도록 결정
컴퓨터 기술은 이용 가능한 게이트의 사용을 최대화함으로써 게이트 부족에 의해 발생되는 불편을 완화할 수 있음
CUTE(Common Usage Terminal Equipment) 터미널은 공항에서 항공사의 위치에 관계없이 그들 자신의 출발관리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방네트워크와 연결
3. 공항에서의 적용
1) 운항정보시스템
FIDS(Flight Information Display System)는 비행기의 출발과 도착시간, 게이트 할당과 배기지 캐러셀
배기지 컨베이어를 지칭하는 말
(baggage carousel) 위치를 대형 벽 전시판 또는 개인 모니터에 나타냄
이 정보는 항공사 개인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얻어지고, 공항 주변의 다양한 지역에 있는 많은 전시판에 전달되며 중앙 데이터베이스 안으로 들어감
FIDS는 멀티미디어와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결합하고 있음
키오스크에 있는 더 작은 디스플레이 모니터들은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보이는 것보다 여행자들에게 더 다양한 정보와 정보 검색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
키오스크에서는 공항시설과 도시의 관광사업에 관한 정보도 제공
2) 전자입국통제
국제 공항에서 가장 힘들고 시간을 소비하는 업무는 승객의 비자와 입국서류의 검사 절차
INSPASS라 불리는 컴퓨터화된 시스템은 출입과정을 빠르게 하기 위해 몇몇 공항에서 사용 중
국제공항에서 기다리는 시간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여행자는 여행 전에 INSPASS 카드를 신청할 수 있음
명부 기록은 손의 3차원 형판을 만들어내는 geometry reader 안에 여행자가 손을 놓도록 함
이 이미지는 입국 관리자가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여행자에게 주어지는 카드 위에 코드화됨
도착했을 때 여행자는 카드를 키오스크 안에 넣은 후, 손을 판독기 위에 놓음
손 이미지가 데이터베이스의 것과 일치하면 여행자는 더 이상의 검사 없이 통과
그림 24 참조
이외에 여권과 비자의 디지털화는 승객입국관리를 위해 설비하는 추세가 늘고 있음
3) 승객 서비스
여행자가 비행 지연, 혼잡, 복잡한 루트 때문에 공항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많은 설비를 필요로 함
이런 설비는 신선함과 오락을 제공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매점과 식당에서는 POS 시스템 형태로 정보기술을 사용
비행 정보에 관한 컴퓨터 연결은 상품을 승객의 비행기에 전달하기 위해 필요
또한 공항 라운지는 팩스, 데이터 잭을 가진 영화, PC와 같은 설비 등을 통해 자연스런 만남의 장소가 됨
VI. 한국 CRS산업의 과제
과제 : 국내의 CRS 관련 논문을 조사하여 한국의 당면 과제와 이의 해결책을 제시
VII. 사례연구
가장 많은 이익을 내고 있는 싱가포르 항공사(SIA)는 운영에 정보기술을 도입하고 있는 항공사의 표본
77편의 승객용과 화물용 비행기를 보유하며, 가장 현대화된 비행기로 운영
SIA는 비행기 운영, 승무원 운영, 경영과 재정을 포함한 많은 것에 컴퓨터를 사용
1) Kiscom
자체 CRS인 Kiscom은 서비스 요구, 체크인 좌석 요구, 무게와 균형을 유지
다른 CRS, GDS와 직접적인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실행
2) Krismax
생산경영시스템인 Krismax는 수입과 재고관리 향상을 위해 발전되고 있음
다양한 예약 원천으로부터 다른 등급의 좌석을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의 양을 조절
이 시스템으로부터 나온 요금정보는 CRS로 이동
여행사로부터 SIA 예약은 5,000개 여행사에 12,500개 이상의 터미널을 가진 아시아 GDS인 아바쿠스와 연계
3) 세계적 카고시스템
싱가포르에 있는 창이 공항의 카고 추적 장치
출발감독시스템에 기초한 메인 프레임 TPF는 승객의 체크인, 좌석 배치, 수화물 꼬리표의 프린팅에 사용됨
이 시스템은 출발 비행기가 출발 전에 정비되었는가도 확인
4) ITDPCS(Integrated Technical Documentation and Production Control System)
세 가지 요소로 구성
(1) Technical Documentation, Maintenance Planning
제조업자와 지방정부에 의해 요구되어지는 비행기 유지에 대한 기술적인 문서화를 자동화하기 위해 디자인
(2) AIRMAN
다른 항공사를 위해 SIA가 제공하는 비행기 유지에 초점을 맞춘 생산조절시스템
Job Control, Labor Resources Management, Inventory Management, Commercial and Administration 등 네 가지 모듈을 포함
5) 승무 부문의 기술
SIA는 승객을 위해 승무원 부분에서도 기술을 사용
전 세계와 연결 가능한 기내 전화, 팩스, TV 등의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
몇몇 대형 비행기에서 SIA는 승객에게 컴퓨터 게임, 기내 쇼핑, 실시간 재정 뉴스 등을 포함하는 시청각 도서관을 제공
비행 스케줄은 시장, 경쟁기업, 계절에 따라 유동적이기 때문에 항상 실행되어지고 있는 업무
루트 구조는 가장 이익을 많이 내는 루트, 각 루트를 비행하기 위한 비행기의 예를 포함
모델의 입력 대상 : 특별한 루트를 운항하는 다른 항공사와 그들이 부과하는 요금과 같은 경쟁적 요소, 수입과 같은 경제적 요소, 사업 경향과 사이클, 승무원과 비행기와 같은 이용 가능한 요소, 날씨, 항공교통지연, 기술적 실패와 같은 외인적이고 변덕스러운 요소
모델의 아웃풋은 주어진 상황에서 적재화물과 수입을 최대화하는 비행 스케줄
2) 승무원 계획과 관리
비행 스케줄이 결정되면 비행을 위한 조종사와 flight attendant가 계획되어야 함
의사결정시스템 모델은 비행을 위한 승무원 최적 할당량을 결정
입력 사항 : 선호 루트, 승무원 중 선임자, 가장 좋아하는 도시에 대한 승무원의 요구, 연방항공협회에 약정된 작업시간의 최대값, 예산
3) 게이트 관리와 출국 통제
비행이 계획되고 승무원이 할당되면, 공항에서의 항공기 입·출항과 공항설비는 통합됨
최선의 게이트를 결정하기 위한 컴퓨터 모델은 도착시간, 비행기 형태, 회귀시간, 비용 등을 고려
도착을 위한 최상의 게이트 패턴은 모든 자원이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되도록 결정
컴퓨터 기술은 이용 가능한 게이트의 사용을 최대화함으로써 게이트 부족에 의해 발생되는 불편을 완화할 수 있음
CUTE(Common Usage Terminal Equipment) 터미널은 공항에서 항공사의 위치에 관계없이 그들 자신의 출발관리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방네트워크와 연결
3. 공항에서의 적용
1) 운항정보시스템
FIDS(Flight Information Display System)는 비행기의 출발과 도착시간, 게이트 할당과 배기지 캐러셀
배기지 컨베이어를 지칭하는 말
(baggage carousel) 위치를 대형 벽 전시판 또는 개인 모니터에 나타냄
이 정보는 항공사 개인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얻어지고, 공항 주변의 다양한 지역에 있는 많은 전시판에 전달되며 중앙 데이터베이스 안으로 들어감
FIDS는 멀티미디어와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결합하고 있음
키오스크에 있는 더 작은 디스플레이 모니터들은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보이는 것보다 여행자들에게 더 다양한 정보와 정보 검색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
키오스크에서는 공항시설과 도시의 관광사업에 관한 정보도 제공
2) 전자입국통제
국제 공항에서 가장 힘들고 시간을 소비하는 업무는 승객의 비자와 입국서류의 검사 절차
INSPASS라 불리는 컴퓨터화된 시스템은 출입과정을 빠르게 하기 위해 몇몇 공항에서 사용 중
국제공항에서 기다리는 시간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여행자는 여행 전에 INSPASS 카드를 신청할 수 있음
명부 기록은 손의 3차원 형판을 만들어내는 geometry reader 안에 여행자가 손을 놓도록 함
이 이미지는 입국 관리자가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여행자에게 주어지는 카드 위에 코드화됨
도착했을 때 여행자는 카드를 키오스크 안에 넣은 후, 손을 판독기 위에 놓음
손 이미지가 데이터베이스의 것과 일치하면 여행자는 더 이상의 검사 없이 통과
그림 24 참조
이외에 여권과 비자의 디지털화는 승객입국관리를 위해 설비하는 추세가 늘고 있음
3) 승객 서비스
여행자가 비행 지연, 혼잡, 복잡한 루트 때문에 공항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많은 설비를 필요로 함
이런 설비는 신선함과 오락을 제공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매점과 식당에서는 POS 시스템 형태로 정보기술을 사용
비행 정보에 관한 컴퓨터 연결은 상품을 승객의 비행기에 전달하기 위해 필요
또한 공항 라운지는 팩스, 데이터 잭을 가진 영화, PC와 같은 설비 등을 통해 자연스런 만남의 장소가 됨
VI. 한국 CRS산업의 과제
과제 : 국내의 CRS 관련 논문을 조사하여 한국의 당면 과제와 이의 해결책을 제시
VII. 사례연구
가장 많은 이익을 내고 있는 싱가포르 항공사(SIA)는 운영에 정보기술을 도입하고 있는 항공사의 표본
77편의 승객용과 화물용 비행기를 보유하며, 가장 현대화된 비행기로 운영
SIA는 비행기 운영, 승무원 운영, 경영과 재정을 포함한 많은 것에 컴퓨터를 사용
1) Kiscom
자체 CRS인 Kiscom은 서비스 요구, 체크인 좌석 요구, 무게와 균형을 유지
다른 CRS, GDS와 직접적인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실행
2) Krismax
생산경영시스템인 Krismax는 수입과 재고관리 향상을 위해 발전되고 있음
다양한 예약 원천으로부터 다른 등급의 좌석을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의 양을 조절
이 시스템으로부터 나온 요금정보는 CRS로 이동
여행사로부터 SIA 예약은 5,000개 여행사에 12,500개 이상의 터미널을 가진 아시아 GDS인 아바쿠스와 연계
3) 세계적 카고시스템
싱가포르에 있는 창이 공항의 카고 추적 장치
출발감독시스템에 기초한 메인 프레임 TPF는 승객의 체크인, 좌석 배치, 수화물 꼬리표의 프린팅에 사용됨
이 시스템은 출발 비행기가 출발 전에 정비되었는가도 확인
4) ITDPCS(Integrated Technical Documentation and Production Control System)
세 가지 요소로 구성
(1) Technical Documentation, Maintenance Planning
제조업자와 지방정부에 의해 요구되어지는 비행기 유지에 대한 기술적인 문서화를 자동화하기 위해 디자인
(2) AIRMAN
다른 항공사를 위해 SIA가 제공하는 비행기 유지에 초점을 맞춘 생산조절시스템
Job Control, Labor Resources Management, Inventory Management, Commercial and Administration 등 네 가지 모듈을 포함
5) 승무 부문의 기술
SIA는 승객을 위해 승무원 부분에서도 기술을 사용
전 세계와 연결 가능한 기내 전화, 팩스, TV 등의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
몇몇 대형 비행기에서 SIA는 승객에게 컴퓨터 게임, 기내 쇼핑, 실시간 재정 뉴스 등을 포함하는 시청각 도서관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