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자리의 생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잠자리의 생태
■ 잠자리공원 조성시 참고사항
대상지 선정방법
대상지역내 공간구획 기법
생물서식을 위한 기반환경조성 기법

본문내용

.25∼0.5mm)이상의 거친 입지에서는 수생식물의 성장은 빈약하거나, 또는 군락이 형성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갈대나 부들류에 대해서 일본에서 실험한 결과 적어도 양토(점토의 함유량 25∼30%) 이하의 고운 흙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 류
적 절 한 수 심
비 고
관목 및 교목
0cm 이상
수고 2m내외
정수식물(emergent plants)
0cm ∼ 약 30cm
부엽식물(Rooted plants)
약 30cm ∼ 약 60cm
침수식물(Rooted submerged plants)
약 45cm ∼ 약 190cm
수생식물이 없음
약 200cm이상
식물생육에 부적합한 깊이
수생식물 식재시 고려해야 할 요소는 아래와 같다.
- 물의 속도가 빠르거나 수심이 깊을 경우에는 수생식물의 발달에 저해요인이 된다. 일반적으로 수심이 2m이상이 되면 수생식물이 성장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표 9>는 식물의 특성별로 필요로 하는 수심을 나타낸 것이다.
<표 9> 식물의 특성별 필요 수심
*자료 : Anne D. Marble. ----. A Guide to Wetland Functional Design. Lewis Publishers. pp.148∼149.의 내용을 바탕으로 표로 정리
? 물고기를 키우거나 수생식물을 식재할 때 지나치게 그늘진 공간을 조성하면 생물의 서식에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 수생식물의 지나친 확장으로 인해서 수면이 좁아지게 되면, 곤충의 서식 및 어류의 서식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습지조성시 확장을 방지하기 위한 처리를 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 수생식물은 생물의 다양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식재한다. 일본에서는 저수지 호안의 식생구조에 따라 그곳에 서식하는 잠자리의 종수를 비교한 연구가 수행되었다(나가다 외, 1991).
또한, 습지내에 수생식물을 식재할 때는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는데, 수심이 얕은 곳에서는 직접 습지내에 들어가 식재하며, 수심이 깊은 곳은 수생식물을 던져주어서 식재한다. 후자의 경우 흔히 부도(floating island; floating raft)라고 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반이 제공되어야 한다.
2) 육상식물
육상식물의 식재도 수생식물과 크게 다를 바 없이 자생수종으로 다양한 식물을 도입하도록 한다. 다만, 육상식생대를 이루고 있는 초지, 관목, 교목 등의 조성에 있어서 차이가 날 뿐이다. 여기서 교목층은 조류의 유인에 큰 효과를 가져오며, 관목층 및 덤불숲 등은 야생생물의 은신처와 서식처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특히, 가장자리를 조성하는데 있어서 교목에서 초화류로 갑작스럽게 식생구조를 변화시키기보다는 교목-관목-초화류로 완만하게 식생구조가 변화되는 것이 생물의 서식 및 유인에 효과적이다.
*자료 : Lowell W. Adams. 1994. Urban Wildlife Habitats : A Landscape Perspective. p.108.
또한, 도시지역에 조성되는 소생태계는 주변의 이용지역과 접해 있는 경우가 많아서 습지와 같은 중요한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한 완충개념으로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3.5. 생물유인 및 서식처 조성기법
인공적으로 조성되는 동물의 서식처는 자연적인 곳과는 달리 서식환경과 생물종, 그리고 생물종들 사이에서 직접적인 상호관계성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이러한 환경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먹이, 은신처, 물, 육상 그리고 각각의 종별로 특별한 요구조건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면서, 도입하고자 하는 동물의 서식환경을 제공해 주어야 하는데, 동물의 서식환경 구성원리는 다양성, 연속성, 패취(patch), 크기, 섬, 주연부, 이동로, 은신처, 먹이, 완충지, 물 등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생물유인 및 서식처 조성기법은 위에서 언급한 생물의 서식을 위해서 필요한 요구조건과 원리에 바탕을 두어 생물분류군별로 일반적인 생태적 특성에 바탕을 두고 제시하였다.
1) 곤충류 유인 및 서식을 위한 조성기법
도시지역에서 곤충류가 사라지게 된 원인은 DDT, BHC 등의 살충제 보급, 건조물의 공업제품화된 소재라고 볼 수 있다. 살충제는 해충만이 아닌 모든 곤충을 사라지게 하였고, 공업제품화된 건조물의 소재는 예전에 목재와 석재가 중심이던 다공질공간이 들어 설 자리를 잃게 하였다.
따라서, 새롭게 생물서식공간을 조성할 때에도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다공질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곤충류의 서식처는 주로 다공질공간을 이용한 기법이 흔하게 사용되고 있다. 다공질 공간은 고목, 돌무덤, 나무가지 놓기 등의 방법으로 조성될 수 있다.
수서곤충의 생육과 관련된 특별한 기법은 아직까지 제시된 것은 없지만, 대부분 다양한 수초와 수서곤충이 서식하기에 적합한 수심을 제안하고 있기만 한 실정이다.
육상곤충의 경우에도 특별한 조성기법이 있기보다는 앞서 제시한 것처럼, 다양한 식물과 곤충이 서식하기에 적합한 조건만을 제공해 주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일본의 경우에는 잠자리연못이나 반딧불이 등을 주요 목표종으로 하여 이들의 서식처를 제공해 주는 기법을 제시하기도 한다.
따라서, 곤충의 다양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식물의 도입이라고 할 수 있다. 식물의 도입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는 생물계절과 식물체의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여 식물종 사이의 출현시기, 개화시기, 결실시기 등의 차이가 적절히 고려되어서 도입되어야 하며, 덩굴성 식물의 위치, 수액의 흐름이 왕성한 것, 꽃의 색깔 및 향기 등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4) 관찰시설 조성기법
습지는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하는 공간으로서 어린이나 일반인들에게 많은 호기심을 갖게 하는 곳이다. 따라서, 습지내의 생물들이 안정적으로 서식하기 위해서는 관찰행위로 인한 간섭을 최소화해 주어야 한다. 특히, 식물의 경우에는 답압에 의한 토양경화로 고사(枯死)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관찰을 위한 데크를 조성하게 되는데, 관찰로는 습지의 모든 주변을 볼 수 있게 하는 것보다 한 부분만을 조성해서 최소화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2.12.03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41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