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농경영의 실태와 개선에 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들어가며

*본문
1.원유의 생산과 낙농경영
2.낙농경영의 규모화
3.고품질 원유의 생산공급
4.환경친화적인 낙농경영
5.낙농경영자의 경영능력

*결론

본문내용

도로 위축된 소비측에 더 큰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비록 농가단계에서 아무리 좋은 품질의 원유를 낮은 생산비로 생산·공급한다 할지라도 원유의 유통이나 원유를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우유와 유제품의 유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그러한 우유·유제품은 소비자로부터 외면 당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이제 낙농 경영의 합리화 문제도 목장에서의 생산비 절감 및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양질의 안전한 원유를 생산함은 물론 낙농업을 둘러싸고 있는 전·후방산업 전체를 낙농업에 포괄하여 낙농가가 주도하고, 소비자 지향적인 환경 친화 적 낙농경영체계를 동시에 구축함으로써 그 실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재인식할 필요가 있다.
어느 경우라도 낙농산업의 실질적 주체는 낙농가와 유업체이다. 낙농가와 생산자 단체 그리고 유업체의 결연한 의지와 경영 마인드의 확립이 오늘의 낙농부재를 해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마지막으로 부연하는 것은 오늘의 낙농문제를 지나치게 공급지향적인 방법, 즉 젖소의 도태를 지나치게 강조할 경우 농가의 무리한 도태로 인해 머지않아 원유의 공급부족으로 연계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농가의 경영개선을 위해서 저능력우는 농가 스스로가 당연히 도태시켜야 한다. 그러나 정부주도의 공급지향적인 할당도태나 의무도태 등은 결코 지양하고, 다만 부업농가의 타 작목으로의 자발적인 전업을 촉진시킨다는 차원에서 입찰방식에 의한 도태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지금의 낙농위기는 분명히 수요측의 문제이며, 따라서 소비를 회복시키는 정책이 우선되어야 함을 마지막으로 강조한다.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12.04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43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