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세계화(Globalizatidn)의 일반적 전개
1) 세계화의 의미 와 전개. - WTO체제의 형성 -
2) BR,GR,TR,CR에 관한 연구.
3. 세계화의 본질
1) 신제국주의로서의 세계화
2) 세계화에 대항할 반체제운동의 필요성
4. 세계화 추세속의 한국
5. 결 론
2. 세계화(Globalizatidn)의 일반적 전개
1) 세계화의 의미 와 전개. - WTO체제의 형성 -
2) BR,GR,TR,CR에 관한 연구.
3. 세계화의 본질
1) 신제국주의로서의 세계화
2) 세계화에 대항할 반체제운동의 필요성
4. 세계화 추세속의 한국
5. 결 론
본문내용
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추세는 쌀시장 뿐만 아니라 산업의 전 분야에 걸친 개방의 압력에 한국 산업은 큰 위기에 봉착하게 될 것이다. 거기에 GR, BR, CR, TR 등의 각종 라운드는 더큰 압박요인으로 작용할 것이 분명하며, 이러한 상황하에 경제 및 국제사회의 위상 강화의 문제가 실현될 가망성은 줄어들 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세계화 추세라는 지극히 불리한 상황하에도 대응책을 마련해야 함은 물론이고 최선의 정책적 대응방안의 선택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 정부는 기업의 활동을 제한하는 각종 규제를 철폐하여 기업들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이루어 내어야 할 것이고 각 기업들은 정부의 지원이나 국민의 애국심에 호소 하지 말고 세계의 일류기업화를 기치로 하여 세계와 경쟁한다는 자세로 임해야 하며, 정부와 국민은 현 시대적 상황을 직시하여 단적으로 표현되는 사회 및 모든 분야에서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삼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국민 개개인의 이익이 무시되며 전체화로 이를수 있는 점을 직시하여야 한다.
결 논.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국제사회는 핵심국의 힘의 논리로 지배되는 이른바 세계화라는 추세속에 그 대결 양상이 첨예화 되어 가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이러한 상황하에 국가 경쟁력 향상을 제고하지 못한다면 그 국가는 국제사회에서 도태될 수 밖에 없다는 사실도 인식할 수 있다. 약자를 가만히 놔 두지 않는 것이 국제사회의 엄연한 현실이며 당현한 현상이다. 상투적인 표현이겠지만 국제사회에서는 영원한 우방도 없고 또 영원한 적도 없다고 한다. 가장 국제사회를 극명하게 표현한 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의 과제는 특히 미국에의 의존에서 탈피하여 자주적인 국제위상의 확립이 무엇보다도 시급하며 국내의 구조적인 비리의 청산으로 자본의 재 사회화를 적극 유도하여 국제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 당면 과제인 것이다.
세계화의 본질은 핵심국의 주변국에 대한 신제국주의적 침탈이라는 그 본질을 직시할때, 올바른 대응방안이 강구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 문헌
1. 한국외교 반세기의 재조명. 나남. 정일영 편저.
2. 자본주의를 보는 시각.
3. THE ECONOMIST 1994년 4월호.
4. 중앙일보 제 8969호, 8971호.
5. 기업경영 1994년 3월호.
6. 동국대학원신문 제 42호 중 교수논단
- UR타결, 세계화(Globalization)의 의미.
임광빈 저. -
그러나 이러한 추세는 쌀시장 뿐만 아니라 산업의 전 분야에 걸친 개방의 압력에 한국 산업은 큰 위기에 봉착하게 될 것이다. 거기에 GR, BR, CR, TR 등의 각종 라운드는 더큰 압박요인으로 작용할 것이 분명하며, 이러한 상황하에 경제 및 국제사회의 위상 강화의 문제가 실현될 가망성은 줄어들 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세계화 추세라는 지극히 불리한 상황하에도 대응책을 마련해야 함은 물론이고 최선의 정책적 대응방안의 선택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 정부는 기업의 활동을 제한하는 각종 규제를 철폐하여 기업들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이루어 내어야 할 것이고 각 기업들은 정부의 지원이나 국민의 애국심에 호소 하지 말고 세계의 일류기업화를 기치로 하여 세계와 경쟁한다는 자세로 임해야 하며, 정부와 국민은 현 시대적 상황을 직시하여 단적으로 표현되는 사회 및 모든 분야에서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삼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국민 개개인의 이익이 무시되며 전체화로 이를수 있는 점을 직시하여야 한다.
결 논.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국제사회는 핵심국의 힘의 논리로 지배되는 이른바 세계화라는 추세속에 그 대결 양상이 첨예화 되어 가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이러한 상황하에 국가 경쟁력 향상을 제고하지 못한다면 그 국가는 국제사회에서 도태될 수 밖에 없다는 사실도 인식할 수 있다. 약자를 가만히 놔 두지 않는 것이 국제사회의 엄연한 현실이며 당현한 현상이다. 상투적인 표현이겠지만 국제사회에서는 영원한 우방도 없고 또 영원한 적도 없다고 한다. 가장 국제사회를 극명하게 표현한 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의 과제는 특히 미국에의 의존에서 탈피하여 자주적인 국제위상의 확립이 무엇보다도 시급하며 국내의 구조적인 비리의 청산으로 자본의 재 사회화를 적극 유도하여 국제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 당면 과제인 것이다.
세계화의 본질은 핵심국의 주변국에 대한 신제국주의적 침탈이라는 그 본질을 직시할때, 올바른 대응방안이 강구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 문헌
1. 한국외교 반세기의 재조명. 나남. 정일영 편저.
2. 자본주의를 보는 시각.
3. THE ECONOMIST 1994년 4월호.
4. 중앙일보 제 8969호, 8971호.
5. 기업경영 1994년 3월호.
6. 동국대학원신문 제 42호 중 교수논단
- UR타결, 세계화(Globalization)의 의미.
임광빈 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