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응급지령시스템의 GIS 활용 방안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2. 국가별 지리정보시스템 적용 현황

3. 소방업무에 지리정보시스템 적용
3.1 지리정보시스템 도입의 필요성 및 목적
3.2 소방업무의 지리정보시스템 모델링
3.3 작업 흐름도
3.4 시스템 메뉴 및 기능

4. 결 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능을 강화함으로써 국민생활 안정과 복지향상을 도모하고, 아울러 소방응급지령시스템을 기본 모델로 제시하여 향후 우리나라 모든 지역의 소방업무에도 이 시스템을 확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2 소방업무의 지리정보시스템 모델링
소방정보 지리정보시스템은 지리정보를 활용하여 소방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각종 업무(신고자의 위치, 소화전의 위치 및 응급의료기관 연결체제 등)를 수행하는 의사결정 과정을 말한다. 이 문제는 우리나라는 물론 일본, 호주 등 전세계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나, 기존에 EWS나 System형태의 컴퓨터를 기본으로 하고 있어서 하드웨어 비용과 운용 및 소프트웨어 구축 상에 많은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C를 사용하여 각 단위별로 소방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하여 비용절감은 물론이고 운용의 용이성을 높이고자 한다.
3.2.1 119 발신지 추적 및 위치 표시
신고자의 발신자 번호정보 또는 주소정보로 들어온 신고자의 위치를 지도 위에 표현하고 재해신고지역의 관련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모델은 <그림 1>과 같다.
그림 1. 119 발신지 추적 및 위치 표시
3.2.2 소화전·소화용수 정보 및 위치 표시
재해발생지역 주변의 소화전·소화용수에 대한 시설 배치 정보를 표현하는 모델은 <그림 2>와 같다.
그림 2. 소화전·소화용수 정보 및 위치 표시
3.2.3 의료기관 정보 및 위치 표시
재해발생지역 주변의 의료기관에 대한 시설 배치 정보를 표현하는 모델은 <그림 3>과 같다.
<그림 3> 의료기관 정보 및 위치 표시
3.2.4 화재 대상물 평면도 표시
재해발생 건축물의 평면도를 표현하는 모델은 <그림 4>와 같다.
<그림 4> 화재 대상물 평면도 표시
3.3 작업 흐름도
소방응급지령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은 <그림 5>와 같다.
그림 5. 작업 흐름도
3.4 시스템 메뉴 및 기능
본 논문에서 구현된 소방 응급지령시스템의 메뉴 및 기능은 다음과 같다.
그림 6. 119발신지 추적 및 위치 표시
<그림 6>은 화재 상황발생시 신고자로부터 신고 내용을 접수받아 전화번호, 주소 혹은 지명 등을 입력, 사고 발생지점 위치를 지도상에 적색으로 표시해 주 는 기능으로써 도시의 복잡 다양화에 따라 신축건물 또는 복잡한 거리에서 원하는 위치를 찾아주고, 주변 상황을 모니터를 통해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그림 7. 화재 건물 반경내 소화전·소화용수 정보 및 위치 표시
<그림 7>은 화재발생지점 부근의 소화전 및 소화용 수에 대한 정보 및 위치를 표시해 주는 기능으로써 화재 현장의 긴급한 상황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다.
그림 8. 화재 건물 반경내 의료기관 정보 및 위치 표시
<그림 8>은 구조 구급 환자의 치료 및 수용에 필요한 화재발생지점 부근의 병원위치를 표시하여 주는 기능으로써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재해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병, 의원의 진료 과목별 또는 특정 병, 의원의 위치 및 의료 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림 9. 화재 건물 반경내 위험물 정보 및 위치 표시
<그림 9>는 화재 현장 부근의 위험물에 대한 위치 및 정보를 모니터에 표시해 주는 기능으로써 화재진압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다
그림 10. 화재 대상물의 평면도 표시
<그림 10>은 대상 건축물의 평면도를 화면에 표시해 주는 기능으로써 소방관이 건축물의 구조 등을 미리 알아 초기 진압에 도움을 주거나 대피 안내 등을 할 수 있는 긴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평면도에는 건물의 옥내소화전, 스프링클러헤드, 비상유도 등의 소방기구 및 소방장비 일람표 등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소방업무에 대한 지리정보시스템의 손쉬운 접근 및 활용성에 주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구축된 소방응급지령시스템의 현업 적용은 기본도면 및 속성정보를 입력함으로써 활용 할 수 있으며, 풀다운 메뉴 방식으로 구성되어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요원훈련에 용이하다. 또한 각 업무별로 모의실험이 가능하며 필요한 자료의 출력과 각종 통계자료가 생성되므로 과거 통계는 물론이고 향후 예방대책 수립이 가능하며, 해당 업무의 실행에 따라 관련업무가 연동 처리되므로 특성별 주제도 작성이 용이하고 신속한 상황 대처로 작업의 효율이 향상된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소방응급지령시스템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119 발신지 표시 시스템에 의한 재해신고 전화번호, 주소, 위치 등 파악으로 119 신고접수의 신속한 처리
둘째, 소방응급지령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정보가 집중되어 재해현장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
셋째, 의료기관, 전기, 가스 등 필요한 관련기관 정보 파악으로 응급행정 서비스 및 민원행정 신속한 처리
넷째, 소방 업무에 대한 분야별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소방 행정업무를 체계화 한다.
다섯째, 본 시스템은 개인용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시스템이므로 구축 및 운용에 필요 한 비용이 절감되고, 조작 방법이 쉬워서 요원훈련이 용이하다.
상기 시스템은 현재 실시되고 있는 소방행정 업무를 기초로 하였으며, 향후 지리정보시스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관심을 기울임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시스템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 고 문 헌
1. 광주동부소방서, 지리정보시스템 활용방안, 소방행정연찬대회, 1996, pp.61.
2. Christopher B. Jone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and Computer Cartography, Longman, 1997, pp.289.
3. Michael N. DeMers, Fundamentals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John Wihey & Sons, 1997, pp.451.
4. William E. Huxhold, An Introduction to Urba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1991, pp.64-100.
5. P. A. Burrough, Principles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for Land Resources Assessment, 1986, pp. 13-36.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2.12.06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46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