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관료제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서 론

II.한국 관료제의 발전 과정
1.조선시대의 관료제
2.일제시대의 관료제
3.해방이후의 관료제

III. 한국 관료제의 문제점
1. 권력추구와 관료의 부패
2. 한국 행정관료문화 분석
3. 한국 행정관료조직 분석

IV. 관료제 형태
1. 행정부와 관료제의 의미
2. 정부조직
3. 국세청조직

V. 결론 - 대안 모색
1. 의식수준 개선책의 한계
2. 효율성의 증진

본문내용

응한 결과이며 공직도 충분히 시장 원리 하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정부기관과 공기업들에 대한 민영화에 대해 이처럼 저항하는 우리의 현실은 역으로 말하자면 그 동안 거품 목욕을 즐기며 그만큼 편안하게 기득권을 유지해왔다는 이야기인 것이다.
2) 공무원 월급의 상향조정
계약제와 연봉제의 핵심은 자신이 제공하는 용역에 상응하는 대가로 일정액의 보수를 받는 것이다.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무원의 보수가 그렇게 낮음에도 애국심 하나로 계속 근무하기를 바란다면 그것은 이미 시장 원리가 아닌 보릿고개를 넘어 오던 시절의 패러다임일 뿐이다. 우선적으로 구조조정을 통한 공무원 숫자의 감축으로 남게 되는 인건비는 타 용도로 전용되기보다 남은 공무원에게 지불되게 함으로써 경쟁력 있는 공무원이 그나마 계속 근무할 수 있는 유인책으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보수가 근로조건의 근본이라는 것은 노동시장의 기본원리이다. 그리고 적정수준의 물적 보상은 일선 공무원들의 사기진작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며 외부로의 부패를 조장하는 유혹에 대해서도 상당부분 자유로워질 수 있을 것이다.
3) 행정과정의 생중계
미국 의회에서 열리는 각종 청문회와 대통령의 연설, 인터뷰, 그리고 때에 따라서는 영국 의회에서 벌어지는 수상과 의원간의 정책질의와 토론 장면들만 전문으로 생중계 하거나 녹화 방영해주는 C-Span 이라는 TV 방송이 있다. 이 화면 속에서는 질문하는 의원은 물론 답변하는 대통령이나 장관 모두가 그저 서로 얼굴을 마주 쳐다보고 의견을 주고받는다. 누가 답변서를 작성해 준 흔적을 전혀 찾아 볼 수 없는 것이 정치 선진국의 특징이며 이는 결국 그들의 머리 속에 관련업무에 대한 근본구도가 정확히 입력이 되어있다는 것이고 이러한 토론과정을 거쳐 의원들도 행정부의 정책 방향을 확실히 이해하고 또 협력도 해 줄 수 있게 된다. 그런 토론을 거친 장관이 다시 사무실로 돌아가 업무를 챙기자면 그 때 입력된 사항들을 제대로 반영, 시행해 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들과 비교하여 우리 국회에서는 정책 질의와 토론 양태를 보면 참으로 한심할 정도로 비효율적이다. 장·차관은 물론 말단 모필사, 워드사, 복사 담당자까지 국회로 이동하고 기자재도 당연히 뒤따라간다. 그 많은 인력들이 그 시간에 자신들의 업무를 수행할 기회를 잃고 마는 것이다. 지금의 정책 질의 패턴은 장관과 의원이 겉으로는 주인공이지만 실상은 의원 보좌진들과 행정부 공무원들간 공방전인 셈이며, 상당부분 제도화되어 있는 서면질의 응답으로도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건성으로 읽어 가는 답변서에 장관의 의사가 함축되지 못함은 당연한 것이다.
우리도 C-Span 과 같은 TV 방송으로 국회에서 이뤄지는 그런 토론모습을 전국에 생중계 한다면 현재와 같은 행태는 상당부분 개선될 것이다. 이를 통해 시민단체 뿐만이 아니라 국민 모두가 정부의 부패와 복지부동을 견제할 수 있는 힘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새 정부 들어서 대통령 업무보고 등을 몇 번 TV로 생중계 하였고,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도 간부회의를 폐쇄 회로로 생중계 한다고 했지만 일과성으로 그치고 마는 것이 현실이다.
4) 자기계발과 공정한 기회의 확립
공직사회의 연공서열중심의 인사패턴은 어렵게 고시를 통해 선발된 유수한 인재들에게 끊임없는 자기계발의 자극을 받을 이유를 상실시킨다. 한 번 고시출신은 영원한 고시출신으로 치부된다. 그러나 20년 전에 명문대학을 다니면서 얻은 지식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현실에서 지금 이 순간 21세기에 그 사람이 수행해야 할 업무에 대한 경쟁력의 기반이 될 수 없는 것이다. 과거 고비용 저효율의 인사 시스템이 외채와 부패를 원료로 했던 경제의 확장 국면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못했을 지는 몰라도 현재는 이의 폐단을 방치해 둘 수 없다. 누구든 전문성과 경쟁력을 갖추고 끊임없이 자기계발을 수행하는 사람들이 공정한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는 구조가 확립될 때만이 이러한 논의가 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몇 가지 현실적으로 관료제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들을 살펴보았다. 물론 위의 내용은 많은 방법들 중 일부에 지나지 않는 것이며, 이외에도 감사기구에의 민선인사 도입, 정치자금의 양성화, 근시안적 생활태도의 개선, 공직자 교육의 강화 등 수많은 방법들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방법들은 반드시 올바른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시행되어질 때 그 효용이 있는 것이며, 결국은 이러한 과정 속에서 공무원 사회의 의식개혁을 통해 효율성과 민주성이 확립된 경쟁력 있는 구조를 갖추고 국가적 재도약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Robert Rienow, Introduction to Government, New York: Alfred A. Knopf.1956
Lasswell and Kaplan,Power & Society, J.Lapalombara(ed), Bureaucracy and Political Development,Princeton : Princeton Univ.pess, 1963
Max Weber, Wirtschaft and Gesellschaft
김광웅, 『한국의 관료제 연구』, 서울:대영문화사, 1991
김미숙·김용학외 공역,『현대 사회학』, 서울:을유문화사, 2000, 3판
이종수·윤영진외 공저, 『새행정학』, 서울:대영문화사, 1988
정동근, 『관료주의 행태와 행정통제』, 정훈출판사, 1992
정승건, 『한국의 행정개혁 정치권력과 관료제의 관계』, 부산:부산대학교 출판부, 1999
조석준, 『조직론』,서울:법문사, 1986
허명환, 『관료가 바뀌어야 나라가 바로선다』, 한국세정신문사,서울:1998
전수일 외 공저, 『공무원 관리론』, 대영문화사, 2000
박동수, 『한국행정의 쇄신』, 법문사, 서울:1998
최한수, 『한국정치의 이해』(건국대학교 출판부, 2000)
이극찬, 『정치학』(법문사, 1995)
정부조직관리 정보시스템 〈http://org.mogaha.go.kr:7003/jojik/〉
청와대 〈http://www.cwd.go.kr/〉
국세청 http://www.nta.go.kr/
조선일보 2001.11.02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2.12.14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54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