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신화에서의 신격화와 그 배경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천비낭낭 >>

<< 관제 >>

<< 서왕모 >>

<< 황제 >>

<< 두모 >>

<< 마원수 >>

<< 원시천존 >>

<< 영보천존 >>

본문내용

그녀의 등뼈 사이로 빠져나왔다고 한다. 그리고 등뼈사이로 나온 그가 원시천존이라는데 결국 태초에 세상을 창조한 반고와 원시천존은 동일인물인가 ? 아니면 반고가 태원성녀의 몸을 통해 변하게 된 것을 원시천존이라 부르는지 알 수 없다. 원시천존은 태어나면서부터 걷고 말할 수 있고 5색 채운이 그의 몸을 항상 둘러 쌓다고 한다.
<< 영보천존 >>
천존이란 도교의 고귀한 천신에 대한 존칭이다. 천존중에서도 삼청이 가장 존귀한 존재로 도교의 최고위의 3신이다. 그리고 영보천존은 이 삼청중 제2신의 위치에 있다. 영보천존은 태상도군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영보천존의 내력은 확실하지 않다. 여기에서는 두가지 주장을 소개하면 영보천존은 새벽의 정기로 누구인지 모르는 홍씨라는 여인의 몸속에서 3700년동안 들어 있다가 서나천 욱찰사 부라지악에서 출생했다고 한다. 그리고 출생한 뒤 모래나 티끌만큼 헤아릴수 없이 많은 사람들을 제도하였으며 영보천존 주변에 금동옥녀 30만인이 시중들고 있다. 또 다른 주장은 기원전 1027년에 중국 은나라의 마지막 왕이며 폭군인 주왕의 의롭지 못 하고 억압적인 통치를 전복시킨 주나라의 무왕이라는 주장이 있다. 그는 도교의 제2신의 위치에 있다

키워드

중국,   신화,   신격화,   배경,   두모,   영보천존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2.12.15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55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