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Ethnic Identity를 둘러싼 연구
2. 일본의 Ethnic Group
3. 남도의 생활
4. 홋카이도Ainu의 생활
5. 상대성과 연속성
2. 일본의 Ethnic Group
3. 남도의 생활
4. 홋카이도Ainu의 생활
5. 상대성과 연속성
본문내용
경우, 이 원형이 혼슈쪽부터 영향을 받았어도 꽤 보수적으로 진화된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대해서 南島주거는 일본 본토 및 화남의 문화.기술을 많이 수용하여 크게 변용.발전 시켜온 프로세스가 추정된다.
이상과 같이 전체로서의 상대적 특이성과 요소로서의 연속성이라 한다. 한편 상반하는 관점이 南島 및 홋카이도 Ainu의 주거 공간을 설명하는 열쇠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 연속성이라는 점에 촛점을 맞추면, 南島와 홋카이도 Ainu와 주거공간을 역사적으로 해석하는 것은 [일본적 공간]의 아이덴티티를 기층문화 레벨부터 조명하는 것이다. 그 같은 것이 이 원고에도 있다고는 할 수 없어도, 만약 2가지 절차를 무시하고 [일본적 공간]의 아이덴티티를 한가지 방향으로만 검토한다면 거기에는 큰 함정이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전체로서의 상대적 특이성과 요소로서의 연속성이라 한다. 한편 상반하는 관점이 南島 및 홋카이도 Ainu의 주거 공간을 설명하는 열쇠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 연속성이라는 점에 촛점을 맞추면, 南島와 홋카이도 Ainu와 주거공간을 역사적으로 해석하는 것은 [일본적 공간]의 아이덴티티를 기층문화 레벨부터 조명하는 것이다. 그 같은 것이 이 원고에도 있다고는 할 수 없어도, 만약 2가지 절차를 무시하고 [일본적 공간]의 아이덴티티를 한가지 방향으로만 검토한다면 거기에는 큰 함정이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