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노동당의 성립과 유일체제 확립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조선노동당의 성립과정
1) 시대적 배경
2) 조선공산당 북조선 분국
3) 북조선 공산당
4) 북조선 노동당(북로당)
5) 조선노동당

2. 반종파투쟁과정 및 김일성 유일체제
1) 6.25 전쟁과 남로당의 몰락
2) 소련파, 연안파의 몰락과 8월 종파사건
3) 김일성의 유일체제 확립

본문내용

부의 틀과 구조를 고쳤는데 이는 김일성의리더쉽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여짐
* 갑산파의 숙청
- 1960년대 김일성 개인숭배가 확산 될 즈음 이에 역행하는 기류가 형성되기 시작
- 김일성이 민족문화의 우수성과 투쟁여사의 전통을 강조하면서 자신의 권력강화를 위해 힘쓰는 중에 갑산파의 민족문화의 역사성에 대한 강조가 김일성의 의도를 넘어서기 시작하면서 개인숭배 운동과 부딪히게 됨
- 당 중앙 위원회 제 4기 15차 전원회위(1967.5)에서 노동당의 요직을 맡고 있던 갑산파의 인물들을 비판, 숙청함
- 이는 김일성 지도부의 핵심을 맡았던 갑산파라도 김일성 유일체제 확립을 위해서는 그 누구도 숙청의대상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줌
* 북한체제의 변화
- 당 중앙 위원회 제 4기 15차 전원회의 이후 당의 유일사상체제확립이 더욱 강화되면서 오늘날의 수령체제로 불리우는 북한체제의 질서가 굳건하게 자리잡기 시작함
- 김일성의 개인숭배 운동에 적응하지 못한 일부 군부 고위인사들을 숙청하면서(군부파 숙청) 군대내 당조직과 정치기관의 기능을 대폭 강화시킴
- 이걱은 그 누구도 김일성 유일체제에 저항할 수 없음을 보여주었으며 이후 김일성 유일체제가 확립되는 기점이 되었음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2.12.19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58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