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노인의 집 활성화 방안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서 론 6
II.노인의 집 활성화의 필요성 9
III.노년기의 삶의 질 향상 17
IV.노인의 집 운영상의 문제점 22
V.제 언 26
VI.결 론 29

본문내용

고 노인들의 서비스 선호도를 고려해 볼 때 노인의 집은 앞으로 지속적으로 확충되어야 할 것이다.
정부는 노인의 집을 시설보호의 대안으로 예산을 줄이려는 의도에서 시행하기보다는 노인의 주거안전성, 주거의 접근성 등을 고려한 보다 포괄적이고 효과적인 서비스 체계가 되도록 장기적인 전망을 가지고 접근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앞으로의 노인복지정책 시행에 있어서 국민기초생활보장 대상자뿐만 아니라 차상위 계층의 노인들도 노인의 집을 이용할 수 있도록 대상자 기준을 완화하여야한다. 즉, 사회적으로 열악한 환경에 있는 모든 노인들의 노후생활의 적응 도모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재조정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고양곤(1998), 노인의 집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논문집, 32.
김미영(1995), 노년기의 고독감에 관한 연고, 목포전문대학 논문집 제19집 2호.
김영모 외(1985), 지역사회복지론, 한국사회복지정책연구소.
김유석(1998), 노인의 집 이용노인의 생활실태와 만족도, 대구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태현(1986), 한국에 있어서 노인부양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경기도노인복지시설협회(2000), 경기지역 노인의 집 활성화를 위한 실태조사, 경기도노인복지시설협회부설 경기도 노인복지상담실.
맹희재(1985), 재가노인의 고독감에 관한 연구- 서울시 노인을 중심 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충선(1998), 노년기 생활시간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 학 제27호.
보건복지부(1998), 노인복지과 내부자료
서병숙(1989), 노후적응에 관한 연구- 생활만족도 및 가족의 교류도 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성명옥(1999), 노인의 집과 양로시설 거주노인의 생활만족도 비교, 선문대학교 사회과학논집, 2.
성명옥(2000), 노인의 집 운영의 활성화 방안, 노인복지연구 2000년 봄호, 한국노년학회.
윤가현·송대현(1989), 노년기의 고독감Ⅱ: 자녀와의 관계에서 파생된 고독감의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1권.
이가옥 외(1994), 노인의 생활실태 분석 및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이연숙(1995), 노인을 위한 주거환경, 고령화 사회의 위기와 도전, 서울: 나남.
이인수(1995), 노인복지와 실버산업, 서울:일진사.
이인수(1996), 장기보호시설의 개발에 관한 연구(Ⅰ), 한국노년학회지 16(1).
임철우. 윤종숙(1993), 노인을 위한 공간, 서울:경춘사.
전인진(1995), 정신지체인 공동생활가정에의 직원능력 및 프로그램이 거주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정경희 외(1998), 1998년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한국보건사 회연구원
정혜정 외(2000), 독거 여성노인의 생활만족도 연구-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33호.
총무처장관방 노인대책실(1991)
최성재(1986), 노인의 생활만족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연구 원 논총, 사회과학편, 이화여자대학교, 49.
최재향(1998), 서울시 노인의 집 노인들의 실태조사 및 동료노인의 사회적지지와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수도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국노인문제연구소(1996), 한구노인문제연구소 내부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1995), 노인생활실태 분석 및 정책과제.
Atchley, R.C(1994), Special Forces and Aging, 7th Edition, Belmont, CA; Wadwort Publishing Company.
Campell, A., Converse, P., Rodgers, W.,(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Perceptions, evaluation and satisfaction, New York Russel Sage Foundation.
Cantril, H(1965), The Pattern of Human Concerns, New Brunswick, NJ; Rutgers University Press.
Cavan, R. S., Burgess, E. W.(1949), Harvighurst, R. J. and Sheldon, S. Tobin,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16.
Liang, J(1982), Sex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Gerontology. 36.pp 85-89.
Metzen, E. J.,(1980), Quality of Life as Affected by Area Residence, North Central Regional Recherche Publication No. 270, Ames; Agriculture and Home Economics Experiment Station, iowa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Neugarten, B. L, Harvighurst, R. J. and Tobin, S. S.(1961), The Measurement of Life Sati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16. 134-135.
Nirje, B.(1993), The Normalization Principle-25 years later. Finland: The Institute for Educational Research.
Palmore, E. L., & Kivett.V.(1979), Change in Life Satisfaction; A Longitudinal Study of Persons Aged 46-70, Journal of Gerontology. 34. 841-851.
Randolph Hills Nursing Center(1994), Annual Report on the Management, Series w. Wheaton, MD, U.S.A.; Randolph Hillls Nursing Center.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2.12.19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58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